|
본연지성(천명지성/천명지위성)
(2)기질지성
(3)본연지성과 기질지성 사이의 관계
2)심=마음=기(氣)
3)성과 심의 관계
4)인심/도심
3)정(情)
(1)성발위정
<심통성정의 관계> (심주성정이라고도 한다.)
<인론(仁論)>
<수양론>
1)수양의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II. 인성에 관한 논의가 중국철학에서 점하는 위치
III. 중국 인성론의 일반적인 특징
IV. 중국 인성론의 여러 형태
1. 성선설과 성악설
2. 성무선무악설
3. 성선설과 성악설의 융합과 전개
4. 기질지성과 본연지성
V. 나오면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을 별개의 존재로 파악하는 데 반해, 이기의 혼륜을 강조하는 주기론은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이 별개의 것이 아니며, 다만 기질지성 가운데 이의 측면을 가리켜 본연지성이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연지성(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나누어 생각하였다. 그러나 사람은 누구나 이 두 가지의 성을 소유한다고 생각하면, 우리는 개념적 혼란에 빠지게 된다. 왜냐하면, 본연지성은 형이상의 본체, 즉 인간이 하늘로부터 부여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본연지성, 사단, 도심과 기질지성, 칠정, 인심을 각기 이기에 분속하는 것은 우리의 마음이 둘이라고 하는 것과 같으므로 옳지 않다고 보고 그의 이기론에 따라 본연지성과 사단이 별도로 있는 것이 아니라 본연지성은 기질지성 가운데 理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