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단칠정 논변에서 퇴계가 만년 정론으로 내 Ⅰ. 서론
Ⅱ. 본론
1. 율곡의 생애 및 그의 학파에 대하여
1) 율곡의 생애
2) 율곡과 우계의 논쟁
3) 율곡의 학파와 계승
2. 율곡의 철학과 사상
1) 율곡의 주요 철학이론
2) 율곡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0.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등의 성리설과 예학 등에서 많은 학문적 성과를 남겼는데, 특히 송익필·김장생·송시열 등으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예학은 현종대에 남인과 맞서 극렬한 예송논쟁(禮訟論爭)을 일으키게 하는 사상적 기반이 되기도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황과 고봉의 논쟁
'사단'은 맹자가 인간의 본성으로 제시한 인의예지(仁義禮智)이고, '칠정'은 예기에서 제시한 인간의 일곱 가지 감정,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惡慾)을 말한다. 사단 칠정론의 핵심은 인간의 본성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을 리가 발한 것으로 보았다는 점에서는 이황의 입장에 가까워진 것이기는 하나, 기본적으로는 사단과 칠정의 관계를 상대적인 것으로 보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논쟁은 다시 원점으로 되돌아간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2. 논쟁에 대한 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6.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2003.
<인터넷자료>
1) 성리학 - http://ko.wikipedia.org/wiki/%EC%84%B1%EB%A6%AC%ED%95%99 1. 성리학의 정의 및 개관
2. 이퇴계와 이율곡의 사상 비교
가. 이기론 비교
나. 사단 칠정론 비교
다. 심성론 비교
3. 성리학의 의의와 나의 생각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단 칠정론이다.
㉿ 사단- 인의예지 ㉿칠정- 희노哀구愛오욕 ㉿사단 칠정론은 우리의 성리학이 중국 주자학과 뚜렷이 구별되는 독자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인물성 동이(人物性 同異) 논쟁 ( 이이의 이통기국설이 발달로 기국의 문제가 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칠정은 이기적인 욕망과 잠재적인 惡의 근원으로 간주된다.
\"四端과 七情을 명확히 구별하고, 그들이 각각 발한다고 말하는 것이 이미 주희가 體와 用을 구별한 식으로 그 둘을 구별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21:9a). 본성과 氣를 혼동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쟁은 학풍, 즉 실제를 떠난 청담공론에 전념하느냐아니면 \'실사구시\'를 택하느냐 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있었다. 13세기 말에서 14세기 초까지 정주리학이 조선에 들어온지 얼마 되지 않아 조선의 유학자들은 연구와 토론에 온힘을 다 기울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쟁
1662년
제언사 설치
1674년
(현종 15)년 2월 제2차 예송논쟁
1678년
상평통보 전국에 유통
1680년
(숙종 6)년 4월 경신환국 : 남인이 쫓겨나고 서인이 정권을 장악.
1683년
(숙종 9)년 4월 서인이 노론과 소론으로 나뉨.
1689년
2월 기사환국(己巳換
|
- 페이지 5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논쟁의 미묘함을 강조하면서 그는 말했다:
義理(문자적으로는 정의의 원칙, 신유교주의의 용어에서 철학적 논쟁을 지시함)의 공부는 극단적으로 미묘하다. 사람은 모름지기 넓게 틔여 있어야 하며 목표를 높이 지녀야 한다. 편견된 사고를 너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