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성의 방해를 막고, 특히 주의집중을 통하여 자신을 경계하고 공경하는 삶을 유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음을 의미한다.
-486-
이상과 같이 종교와도 유사한 퇴계의 태도는 그의 학문과 도덕성의 기초가 된다.
(이 원 열 譯)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덕적 인간관
Ⅵ. 인간관과 성리학적 인간관
Ⅶ. 인간관과 이성적 인간관
1. 이성적 인간은 비인격적이다
2. 이성적 인간은 개인주의적 · 평등주의적이다
3. 이성적 인간은 자연정복적이다
4. 이성적 인간은 비판적이다
참고문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퇴계가 마음을 말한 것과 심학파가 마음을 말한 것은 글자는 같지만 내용은 달라, 마치 공자와 노자가 모두 도덕을 말했지만 그 함의가 다르고, 자사(子思)와 육구연(陸九淵)이 모두 존덕성(尊德性)을 말했지만 그 본질이 다르며, 한유(韓愈)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퇴계 연구회 설립의 취지
Ⅱ. 이퇴계의 생애와 사상
1. 약전
2. 사람됨과 생활태도
3. 시문·서법
4. 퇴계학의 성격과 역사적 지위
Ⅲ. 저서
Ⅳ. 일본 유학의 발전과 이퇴계
Ⅴ. 좌등직방파의 이퇴계 존신
Ⅵ. 이퇴계의 철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퇴계와 같은 사람들은, 그 누구도 이 세상에 나가 경세의 일을 하기 보다도, 자기 수양쪽에 비중을 두고, 내성적인 존양성찰 공부를 학문의 근간으로 삼고 있었던 것처럼 받아들여 진다. 바깥 세계보다도, 먼저 내면적 세계에 눈을 돌리고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