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을 알 수 있다. 따라서 P제어를 적용하여 상승시간과 정상상태오차를 감소시키고 지나침을 증가시켰으며 정착시간을 약간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다.
PI제어)
I제어(Ki)는 상승시간을 감소시키고 지나침과 정착시간을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어기의 특징으로는 빠르다는 점과 정상상태오차가 남는다는 점이 있다.
(2) 적분동작(Integral control action) - I 동작
제어대상에 주어지는 조작량의 변화속도가 동작신호에 비례 하는 동작, 적분동작은 적분 시간을 조정하여 적분동작을 크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어는 단독으로는 사용하지 않는데 그 이유로서는 이 제어동작이 입력신호의 과도기간 중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위의 회로도에서
C1=0.01u, 0.022u, 0.047u, 0.1u
일때의 보드선도이다.
PID(비례적분미분) 제어기
P요소, I요소, D요소를 결합한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어
이번엔 P제어에 I제어의 빠른 Rise time과 D제어의 overshoot감소 이득을 결합한 PID제어를 시도해 보았다.
- Step Input
* Closed-loop Transfer Function
* Steady state error
* M-file
kp=10; % 10,12,16값 선정
ki=2
kd=2 % 2,4,6,10값을 대입
num=[0 1 2];
den=[1 1 0];
sys=tf(num,den);
|
- 페이지 5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I제어는 과거에서의 편차를 적분한 치에 의하여 편차가 없어지는 방향으로 출력을 산출하는 연산으로서 Parameter는 적분시간(Ti)라고 한다. 적분 연산 결과가 그 편차에 의한 비례연산의 결과와 동일하게 되는 시간까지의 변하는 시간을 적분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