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reading 과정을 제대로 시행하고 triplicate와 같이 세장을 가지고 평균을 내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또한 이번실험에서 오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피펫을 이용하여 희석하는 과정에서 피펫의 눈금을 읽는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날 때까지 Spreading을 한다.
∞ 원래 Broth의 1㎖ 당 집락수 구하기
CFU(Colony forming Unit)은 기본단위가 CFU/㎖로 1㎖당 얼마만큼의 세포 또는 균주가 있는지 나타내는 말로 미생물의 생균수를 측정하는 단위이다.
희석배율 짜리 희석액을 사용한다.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8.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희석하여 Nutrient agar배지와
Czapek-Dox agar 배지에 도말한다. (streaking & spreading)
(백금이를 알코올 램프에 멸균 한 뒤 토양샘플에 백금이를 묻힌다. 그런 다음 각각의
균을 배지에 Streaking을 할 것.)
⑥ Nutrient agar배지는 37℃, Czapek-Dox agar 배지는 25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3.05.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희석배수 했기 때문에 희석배수에서 이상적인 결과가 나오려면, 평균 15개의 colony가 검출되어야 하는데 그러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오차의 이유는 유리 피펫 사용 시 정확한 0.1ml를 희석배수에 옮기지 못한 것일 수 있고, 또한 spreading을 하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균이 많이 섞여 있게 되는데 Streaking을 하여 마지막 4획의 미생물집락을 통해 순수배양이 제대로 되었는지를 확인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생물을 분리하여 배양한 배지의 균 수를 Cellcounting 하여 희석배수와 균 수를 통해 원액의 균의 수를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