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한국 여성의 지방의정 참여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졸업논문]한국 여성의 지방의정 참여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Ⅱ. 이론적 배경
1. 지방자치와 여성정책
2. 지방자치를 통한 여성참여의 필요성

Ⅲ. 한국 여성의 지방의회 진출실태 및 저해요인
1. 한국 여성의 지방의회 진출실태
2. 한국 여성의 지방의회 참여 저해요인

Ⅳ. 주요 선진국의 여성지방의원 육성정책 사례
1. 영국의 여성지방의원 육성정책
2. 프랑스의 여성지방의원 육성정책
3. 독일의 여성지방의원 육성정책

Ⅴ. 한국 여성의 지방의정 참여 확대 방안
1. 정당 내 조직과 활동 개선
2. 선거제도 개선
3. 여성 사회단체의 역할 활성화

Ⅵ. 결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성들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이해시키고 이들이 과감히 참여토록 권장해 나가야 한다. 특히 여대생들에게 직업으로서의 정치에 대한 이해를 고취하여 이들이 지방자치의 주역이 될 수 있도록 권장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여성이 준비되어야 한다. 여성이 먼저 준비되지 않으면 제도의 개선을 통해 참여의 기회가 주어졌을 때, 그것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준 이하의 여성들로 지방자치의 공간이 채워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셋째, 선거를 중요한 계기로 활용하여야 한다. 지방선거는 물론이며, 대선과 총선시 각 정당에 대해, 그리고 후보자들에 대해 여성의 권익증진과 참여확대를 위한 공약을 끌어내야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여성의 정치적 선택과 결부시켜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여성의 정치적 권익증진과 참여확충을 위한 보다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시민단체 및 여성단체 뿐만 아니라 대학에서 그 기능의 일부를 담당토록 촉구해야 한다. 정치학, 민주주의론, 여성과 정치, 그리고 지방자치론 등의 교육을 통해서 또 사회참여적 실습교육을 통해 여성들이 스스로의 정치적 한계상황을 느끼고 한국사회의 병리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대학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할 때 여성의 참여는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세계화가 진전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여성들의 정치참여에 대한 열망은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삶의 질을 개선하고 평화와 생명과 환경을 생각하는 새롭고 깨끗한 정치로의 발전은 그 동안 정치에서 소외되어온 여성의 참여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남성들과는 다른 여성의 견해와 리더십은 통제와 지배, 전쟁과 폭동, 권력투쟁 등의 남성적 규범에 의해 지배되어온 지금까지의 정치를 변화된 모습의 새로운 정치로 바꿔놓을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도 앞서 언급했듯이 중대선거구제에 의한 여성전용선거구제도가 하루 속히 도입되어 진정한 여성할당제가 조속히 실현되기를 다시 한 번 촉구한다.
< 참고 문헌 >
<국내문헌>
국회여성가족위원회, “여성들의 지방의회 진출을 위한 법적제도적 방안 모색 : 후보자와 유권자들의 입장과 태도를 중심으로”, 국회여성가족위원회 정책연구, 2005
김원홍 외, “여성전문인력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정치분야를 중심으로” 『여성정책연구』제65호, 한국여성개발연구원, 2003
김원홍김은경,『제17대 총선에서의 여성후보 선거과정과 향후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2004
김소희, “말잔치 뿐인 여성할당제”, 라이코스 408호, 2002
김애령, “여성정책의 변화에 관한 정치사회학적 연구-A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김은경, “영국 여성 정치참여 확대정책 - 노동당의 당헌 개정과 적극적 조치의 실현”,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정책자료집, 2002
김재영,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서울: 형성출판사, 1990
김정숙, 『여성과 정치』, 서울: 한국여성정치문화연구소, 1997
김지양, "한국여성의 정치참여 활성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김지윤, 『지방자치와 여성의 역할』, 서울 : 창작과 비평사, 6월호, 1995
서현진, “제17대 총선 여성후보자의 개인적 배경과 주요 정당 공천”『국제문제논총』제44집4호, 2004
손봉숙, 『한국 여성국회의원 연구』, 한국여성정치연구소, 1991
이용우, “여성할당제의 실효성 확대방안”, 『자치행정』2002년 5월호, 지방행정연구소, 2002
이용우, “여선전용선거구제의 문제점과 실효성 확보방안”, 『지방자치』, 2002년 4월호, 현대사회연구소, 2002
이진, “한국여성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이춘호, “여성의 정치참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이현우, “여성의 정치대표성과 정당요인: 미국과 호주의 경우” 『국제정치논총』제42집3호, 2002
박홍식, “한국여성의 정치세력화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6
장성자김원홍, “여성의 지방의회 참여 지원방안”, 한국여성개발원, 1994
전경옥외 2인, 『여성 정치참여 확대방안』, 1999
전라북도 여성발전연구원, 『6.13 지방선거와 여성의 정치 세력화 실패연구』전라북도 여성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2003
전라북도 여성발전연구원, 『17대총선과 여성후보 지원에 대한 연구』 전라북도 여성발전 연구원 연구보고서, 2004
전복희, “독일-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정당의 노력”,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를 위한 각국의 정책, 한국여성단체협의회, 2002
전복희,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도와 여성정치참여 확대”, 밝은 정치, 한국여성정치연맹, 2002
조정관,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대안의 검토”, 한국선거연구회 발표논문집, 2001
조현수, “여성의 지방의정 참여 확대 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주준희, 『버지니아 사피로의 여성의 정치적 통합』, 여성연구 6권 제4호, 한국여성개발원, 1998
한국여성개발원, 『지방의회와 여성유권자』한국여성개발원, 1994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 행정50년사 1948-1997』, 1999
현종민, “한국여성정치참여의 당면과제: 여성정치 참여를 위한 바람직한 지방의원”, 『선거법과 정치현실』, 사회과학논총, 제8집, 경희대학교 사회과학대학, 1999
<해외문헌>
G.A Almond, And J.S. Coleman, The Politics of the Developing Areas, (Princeton : Princeton University Prss, p.20, 1960),
I. K. Broverman nd S.R. Vogel, Sex Role Stereotypes A Current Appraisal, (Journal of Social Issue 28, pp.60, 1972)
Rachel Mclean, National Women's officer, The Labour Party, 1999
R.I Power in Women, New York: Wiley and Sond,, pp.71~72, 1990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7.11.02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0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