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차 』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정치관심도
2. TV토론과 정치 참여
3. 인터넷과 정치참여
4. 사회적 요인과 정치참여

Ⅲ. 연구방법
1. 조사설계 및 표본
2. 조작적 정의와 측정
1) 사회환경적 변인
2) 정치관심도
3) 매스미디어
4) 인터넷
5) 정치참여(투표참여)
3. 연구의 모형
4. 측정변수

Ⅳ. 분석
1. Pre- test 결과
2. 사회환경적 변인
3. 정치참여(투표참여)와 각 독립변수와의 분석
4. 사회환경적 변인과 정치참여(투표참여)와의 관계
1) 성별과 정치참여(투표참여)와의 관계
2) 연령과 정치참여(투표참여)와의 관계
3) 학력과 투표참여
4) 소득수준과 투표참여
5) 정당지지와 정치참여(투표참여)와의 T-test의 분석

Ⅴ. 시사점과 논의

본문내용

Pearson 값
연령
20대
2
9
2
0
0
13
.427
30대
3
9
4
0
0
16
40대
6
7
1
0
1
15
50대이상
5
4
1
0
0
10
전체
16
29
8
0
1
54
3) 학력과 투표참여
학력이 높을수록 정치참여(투표참여)가 높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학력과 투표참여에 대한 분석에서 대졸이하의 모든 학력은 투표참여에 적극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지만 대졸이상의 학력은 아직 투표참여 여부에 결정을 하지 못했다는 비율이 가장 많았다. 그러나 학력도 유의확율에서는 0.207로 나타나 학력 간 투표참여의 여부는 차이가 있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
< 표 6 > 학력 & 정치참여(투표참여)
정치참여(투표참여)
적극참여
한다
참여할 것이다
결정하지 못했다
투표하지 않을 것이다
투표하지 않는다
N
Pearson 값
학력
중졸
이하
2
1
1
0
0
4
.207
고졸
4
7
0
0
0
11
대재
4
7
1
0
1
13
대졸
5
13
3
0
0
21
대졸
이상
1
1
3
0
0
5
전체
16
29
8
0
1
54
4) 소득수준과 투표참여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정치참여(투표참여)가 높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소득수준과 투표참여에 대한 상관관계분석에서의 유의확률이 -0.119로 나타나서 소득 간에 따른 투표참여와는 차이가 있지 않다는 결론이 나왔다.
< 표7 > 소득수준 & 정치참여(투표참여)
정치참여(투표참여)
적극참여
한다
참여할 것이다
결정하지 못했다
투표하지 않을 것이다
투표하지 않는다
N
Pearson 값
소득
수준
200만원
이하
2
17
3
0
0
22
-.119
200~400만원이하
11
10
3
0
1
25
400만원이상
3
2
2
0
0
7
전체
16
29
8
0
1
54
5) 정당지지와 정치참여(투표참여)와의 T-test의 분석
정당지지가 있는 분일수록 정치참여(투표참여)가 높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표에서 나타나듯이 지지정당과 정치참여(투표참여)와의 관계는 유의미하다. 지지정당이 없을수록 투표참여를 하지 않는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즉 이 뜻은 지지정당이 있는 분일수록 투표참여에 더 적극적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 표 9 > 정당지지도& 정치참여(투표참여)
투표참여
정당지지도
여부
N
평균
표준편차
t값
유의확률
지지정당 있다
36
1.75
.841
-2.159
.036
지지정당 없다
18
2.22
.548
.017
Ⅴ. 시사점과 논의
몇 가지의 분석으로 가설을 검증하여 보았다. 매스미디어, 인터넷 그리고 사회환경적 요인과 정치참여(투표참여)를 알아보았지만 가설 검증에서 정당지지도 여부와 정치참여(투표참여)간의 연관성이 나타났다는 옳은 검증을 하였을 뿐 다른 모든 변수들은 정치참여(투표참여)와의 관계를 밝혀내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가 나왔던 것에는 몇 가지의 이유가 있다.
첫째, 표본의 숫자가 너무 작다는데 있다. 많은 문헌 연구에서 실시한 표본의 대상이 몇 백 명 이상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데이터 결과를 얻었지만 54명을 대상으로 유의미한 데이터 결과를 얻기에는 부족한 것이다.
둘째, 표본 대상 선정에 있어서의 문제이다. 표본의 대표성이 가장 중요한 이유는 표본을 일반화하기 위한 것인데 설문조사를 실시할 때 특정 대상을 상대로 설 문 조사를 실시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무작위로 대상을 선정하여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저는 가족이나 주위의 친구와 이웃 등을 대상으로 하여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결국은 저와 관련 있는 분들만의 정치참여(투표참여) 조사가 실시되었던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 통계학에 대한 공부가 부족했다는 것이다. 이번 수업을 통하여 SPSS 프로그램을 처음 접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통계학도 처음으로 공부를 하게 되었다. 책을 통하여서 공부를 하기도 하고 선배들에게 물어보면서 공부를 하였지만 많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데이터 결과를 얻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코딩작업에 의하여 데이터를 입력하고 입력된 결과를 가지고 분석에 들어간다. 데이터 분석에는 여러 가지 분석방법이 있는데 저는 어느 분석이 어디에 필요한지를 정확히 숙지하지 못했으며 데이터 결과가 나왔어도 이를 해석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조사 설계를 통하여 설문지를 작성하고 그 설문지를 가지고 설문조사를 실시할 때 표본의 정확한 선정이 필요하며 가설을 검증하고 그 가설에 대한 데이터를 알기 위해서는 통계학에 대한 정확한 공부가 필요할 것이다.
< 참고 문헌>
강경태(2003), “유권자 선거관심도: 사회환경변수 및 대중선거유세/ TV토론의 선거관심도 에 미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과국제정치 제19권 4호
(2003), “한국 대통령 선거 어떤 유권자가 참여하나? : 선거관심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7집 1호
김용철 윤성이(2004), “제17대 총선에서 인터넷의 영향력 분석- 선거관심도와 투표참여 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김정기(1996), “텔레비전 선거 관련 정치 뉴스의 이용과 효과 연구”,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의정연구, 특집 2권 2호
(1997), “대학생 유권자의 국회의원 선거뉴스 시청과 시청 효과”, 「한국언론학보, 제40호」
박찬욱(1992), “유권자의 선거관심도, 후보인지도능력과 투표참여의사: 제14대 총선 전 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26집 3호
송종길 박상호(2005), “뉴스 미디어 이용이 유권자의 정치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회 19-2
이효성(1997), “대통령선거와 텔레비전 토론”, 나남출판, 서울
황아란(1998), “정당태도와 투표 행태”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Ⅱ: 제15대 대통령 선거 를 중심으로」
< 표 >
< 표 1 > 연구모형
< 표 2 > 사회환경적 분석
< 표 3 > 정치참여(투표참여) & 매스미디어 인터넷
< 표 4 > 성별 & 정치참여(투표참여)
< 표 5 > 연령 & 정치참여(투표참여)
< 표 6 > 학력 & 정치참여(투표참여)
< 표 7 > 소득수준 & 정치참여(투표참여)
< 표 8 > 사회환경적 변인의 유의확률 값
< 표 9 > 정당지지도& 정치참여(투표참여)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04.29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3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