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학교육론 요약본 Part2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과학적 탐구방법
2. 개념도
3. Vee도
4. 드라이버의 대체적 개념틀 모형
5. 통합적 탐구과정
6. 과학적 탐구활동
7. 기본적 탐구과정
8. TTTI모형
9. 발생학습모형
10. 순환학습모형
11. 개념변화모형
12. Gagne와 Briggs의 처방적 교수이론
13. 스키너의 강화이론
14. 과학적 사고의 종류
15. 교육목표
16. 탐구적 학습지도
17. 시범실험
18. 강의법
19. 질문법
20. STS수업

본문내용

파악하기 위한 진단평가의 기능을 갖는다. 반면, 수업 중간에 사용되는 질문은 배운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를 점검하기 위한 형성평가의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수업이 끝난 후에 이루어지는 질문은 학습자의 학습목표 도달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총괄평가의 기능을 한다.
효과적인 질문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조건이 있다. 교사는 질문 후에, 먼저, 학생들이 질문에 대해 생각하고 반응할 시간을 줄 필요가 있다. 이는 교사의 질문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다듬고 정교화하기 위한 시간을 주기 위함과 동시에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켜 주기 위한 시간적 여유를 주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호명 뒤 질문을 하는 것보다 질문 뒤 호명을 하는 것이 좋다. 그 이유는 여러 사람들에게 문제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능력 있는 교사는 수업 중에 묻고자 하는 좋은 질문을 제시할 줄 알아야 한다. 좋은 질문의 조건은 의미가 명백하고 간단히 진술되며,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또한, 질문은 가능한 고차원적이고 창의적이며 비판적인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며, 특히 과학과목에 있어서는 과학적 탐구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어느 과목에서나 질문은 그 목적이나 내용에 상관없이 학생들이 그 의미와 의도를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최대한 단순하고 직접적인 형태여야 한다. 좋은 질문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예”나 “아니오”로 답할 수 있는 저차원적 질문을 피해야 하며, 교사는 질문을 구성하는 단어들을 신중하게 고를 필요가 있다. 또한, 단답형 질문을 해야 할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왜”나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덧붙여 물어봄으로써 학생들이 고차원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이렇게 고차원적으로 질문이 이루어진다면 대기시간이 늘어나야 한다. 만약, 교사가 학생의 주의를 구체적인 상황에 집중시키기 원한다면 수렴적 질문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그래도 가능하면 발산적 질문이나 고차원적인 질문을 사용하는 것이 학생들의 인지발달증진에 효과적이며 질문은 학생들에게 친숙한 용어로 구성되어야 한다.
20. STS수업
STS수업이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사회(Society)와 관련한 과학수업을 일컫는 말로 최근 전 세계적인 추세로 잡아가고 있는 교육이다. STS교육이란 과학적 소양을 가진 민주시민을 양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교육으로 과학적 내용을 사회와 관련시켜 과학과 사회의 상호작용 및 과학적 방법을 이해하고, 과학과 기술과 사회에 대한 공통적이고 통합적인 사고를 유도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교육이다. STS교육이 이루어질 때 주제는 학생들의 관심사에 부합하고 일상생활에 밀접한 것일수록 효과적이다. 이렇게 학생들은 실제적인 문제를 내면화하고 그 문제 해결책을 찾도록 할 때 비로소 개괄적인 정보를 깨닫게 되며 이때 그 정보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이용하게 된다. STS교육은 과학과 기술이 학생 개인과 사회에게 주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지역문제에 관심을 갖으며,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즉, 과학적으로 교양 있는 시민을 양성하는 것이 STS교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STS교육은 사회적 문제의 해결에 필요한 기술과 기능의 습득에도 목적을 둔다. 이러한 사회적 문제에 관련된 문제는 학생들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제공해준다. 고로 학생들은 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그들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탐구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게 된다. STS수업이 이루어지고 난 후, 평가가 이루어질 때는 단순한 지필 평가를 지양하고 학생들의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실제적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교사는 효과적인 STS수업을 위해 적절한 기준을 가지고 수업을 계획해야 한다. STS교육은 또한,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간을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데 과학적 소양을 갖춘 인간은 과학개념을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정책 결정과정 혹은 의사결정과정에 요구되는 기본적 과학지식을 함양하고 있는 과학적 그리고 민주적 시민을 일컫는다.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과학의 주요한 개념과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수업이 요구되며 이와 관련하여 적절한 소재 선정이 필수적이다. 이를 테면, 효과적인 STS수업을 위한 소재 선정 기준으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
ㆍ실생활에 유용한가?
ㆍ학생들의 인지발달에 맞는 소재인가?
ㆍ사회적으로 중요한 관심을 갖고 있는 소재인가?
ㆍ과학이 아닌 다른 분야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소재인가?
ㆍ학생들에게 흥미 있는 소재인가?
STS수업은 협동학습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먼저, 과제에 대한 논의는 소집단으로부터 시작해야 하며, 이후 각 집단의 생각을 공유하면서 최종적으로는 반 전체가 논의하는 순서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여기서 협동학습이 이루어질 때 좌석배치는 중요한데, 가장 좋은 자리배치는 원형이다.
STS이론에 대해 전통적 과학철학의 관점과 상대주의적 과학철학의 관점이 존재한다. 여기서 전통적 과학철학에 기초한 STS교육과 상대주의 과학철학에 기초한 STS교육은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물론, 과학, 기술, 사회의 상호작용에 있어서 공통적인 맥을 같이하는 것은 맞지만, 전통적 과학철학에 입각한 STS교육에서는 과학적 개념이나 방법은 객관적임을 전제로 하고 있고 이러한 과학지식을 인간이 경험하는 세계에서 가르치고 배우기 위한 교육을 추구한다. 반면, 상대주의적 과학철학에 입각한 STS교육은 과학지식의 상대성을 가정한다. 즉, 과학적 지식은 잠정적이며 단지 일시적인 지위를 점할 뿐이라고 보는 것이다. 여기서는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 자체가 시대적 상황과 가치관에 따라 변하며, 과학지식도 그에 따라 변한다. 즉, 상대주의에 입각한 STS이론에서는 절대적 진리로 구성된 합리적 체계로서의 과학지식보다는 실용적 가치가 있는 잠정적이고 가설적인 체계로서의 과학지식이 교수되어야 할 것을 강조한다.
  • 가격3,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7.01.31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75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