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소앙의 삼균주의 사상 연구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소앙의 삼균주의 사상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 론
제 1 절 연 구 목 적

제 2 장 본 론
1. 삼균주의(三均主義)의 이론적(理論的) 배경
제 1 절 조소앙의 역사관(歷史觀)
제 2 절 전통사상의 계승(傳統思想)
Ⅰ. 단군사상(檀君思想)
Ⅱ. 원효사상(元曉思想)
Ⅲ. 동학사상(東學思想)
제 3 절 외래사상의 유입(外來思想)
Ⅰ. 삼민주의의 영향(三民主義)
Ⅱ. 강유위(慷有爲)의 대동사상(大同思想)의 영향
Ⅲ. 사회주의(社會主義)의 영향

2. 삼균주의의 이론체계(理論體系)
제 1 절 삼균주의의 성립(成立)
Ⅰ. 삼균주의의 형성기(形成期)
Ⅱ. 삼균주의의 완성기(完成期)
제 2 절 삼균주의의 이론체계(理論體系)
Ⅰ. 기본이념(基本理念)과 구조(構造)
제 3 절 조소앙의 정치사상(政治思想)의 실천(實踐)
Ⅰ. 독립운동시기(獨立運動時期)
Ⅱ. 해방(解放)이후
Ⅲ. 정치사상사적(政治思想史的) 평가


제 3 장 결 론

조소앙 연표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이라 할 때 가장 시급한 것은 한국적 가치관의 이념을 정립하는 것이다. 그런데 한 사회를 지탱하는 보편적인 정서로 뿌리내릴 수 있는 독창적인 사상의 발전은 과거의 사고와 경험을 무시하고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특별히 개항 이후 해방까지 한국 근대사의 사상적 경험은 우리에게는 귀중한 경험을 준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독립운동시기 한민족의 역사와 철학에 기초를 두고 민족을 그 출발로 하여 사회주의를 부분적으로 사용하면서 그것의 한계를 극복하며 민족주의와 사회주의의 변증법적 신체제를 지향하고 있는 삼균주의는 한민족의 사상적 귀감이 될 것이다.
아울러 아직도 우리에게는 민주적 절차에 따른 평화통일이 민족적인 과제로 남아있고, 새로운 세기를 맞으면서 이데올로기의 장벽을 완전히 허물고 인간해방을 앞당겨야 할 책무가 가로놓여 있는 점, 그러면서도 진보와 통일의 역사를 쉽사리 이어가지 못하는 것이 또한 우리의 현실이며, 때문에 통일을 지향하면서 평등사회를 실현하려는 조소앙의 정치활동과 노선은 다시 음미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연표 ◀
[연 도]
[일 대 기]
1887년(출생)
(단기 4420, 고종 24년) 4. 30 (음4. 8) 낮12시경에 경기도 고하군(파주군) 원동면에서 조선광조 세조때 생육신의 한사람 漁溪公 함안 조氏의 제16대손 理化薺 幀奎와 모친 瀋火陽 의 6남1녀중 2남으로 출생.
1899년(13세)
한문 사서를 독송.
1902년(16세)
성균관 입학. 李夏榮등의 매국음모를 방지하기 위해 신채호와 성균관 일동 을 격동하여 항의 성토.
1903년(17세)
해주부윤 吳信의 차녀 英善과 결혼.
1909년(23세)
1월 대한흥학회를 창립. 5월 대한 흥학회 주필, 국내 각 학회, 신문등과 호응하며 배일 사상고취.
1912년(26세)
명치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귀국 후 잠시 경신학교, 양정의숙, 대동법률전문학교 등에서 교편을 잡으며 상해 동제사의 신규식 등과 연락을 취하며 망명을 기다림.
1913년(27세)
북경을 거쳐 상해로 망명함. 신규식, 박은식, 홍명희 등과 동제사를 개조하여 박달학원을 창립.
1914년(28세)
이 해에 홍명희, 문일평 등과 교의.
1915년(29세)
국내외 동포의 대동단결을 정신적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종교통일의 「六聖 敎」를 제창. 중앙학교장 취임 청탁 거절.
1916년(30세)
상해로 제차 망명. 황각등 중국인사들과 「대동당」결성을 추진하며 인도, 중국, 대만, 미얀마, 필리핀, 조선 월남 등 7개국지사들의 총단결 책동 중국 혁명지사와의 연합을 제기.
1917년(31세)
국내외 동포에게 대동단결 선언서를 작성, 인도하고 장차 만국평화회의에 출석할 준비로 한국독립의 역사적인 「주권불멸론」, 「주권민유론」, 「최고기관창조의 필요론」 등 취지서 작성. 이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개최하는 국제 사회당대회에 한국 문제의 의제로 제출하고 통과시킴.
1919년(33세)
4월초순 한성정부의 교통경에 추대.
1920년(34세)
2월 딴유바 노동사회개진당 대회참가. 노동당 지도자, 맥도날드 등 인사와 합작하여 영국 하원에 한국문제에 관한 4개조의 토의 안건을 제출케 하며 일본을 규탄함은 일본에 치명적인 사건.
1921년(35세)
3~5月 모스크바 공산당 대회에 참관하고 5~12月에 북경에서 범한 독립당을 발기하였으나 실패.
1923년(37세)
임시정부, 노백린 내각의 외무총장직에 취임.
1929년(43세)
이동녕, 안창호, 이시영, 김구, 조성환, 조완구, 엄대위, 김두봉 등과 한국독립당을 창당하고 삼균주의에 입각한 당의, 당령을 작성.〈태극기 민족 혁명론〉을 제창하고 〈적기 혁명론〉을 배격.
1934년(48세)
10月 임정 내무총장 명의의 국정보고서에서 〈삼균주의에 의한 삼균제도 강조〉, 11月임정 국무회의에서 삼균주의의 제도를 국시로 체택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 건국강령」의 통과.
1936년(50세)
11月이동녕, 이시영, 김구 등의 한국 국민당 창당선언에서 삼균원칙 채택.
1941년(55세)
11月에 임시정부는 정식으로 삼균주의에 입각한 「건국강령」을 공포. 12월에 「임시정부 관보」제72호에 「건국강령」전문을 게제 발표.
1945년(59세)
3月한국독립당 하와이 총지부로부터 구미위원장 이승만의 언행을 비판하는 공문 제55호를 접수 처리. 9月 임정발표의 「당면정책14개조」 중 제8조 삼균주의를 채택함. 12월1일 개인자격으로 김구 등 임정요인과 함께 귀국. 12월12일 기자회견에서 혁명론을 개진함.
1946년(60세)
임시정부의 후계체로 비상국민의회를 조직하고 의장에 당선됨. 취임거부. 한국독립당의 대동단결을 위하여 국민당(안재홍), 신한민족당(권동진,오세창) 기타 각파를 포함하여 부 위원장에 당선. 45개 강연장, 강연시간78시간에 청중인원 연6만5천여명에 달하는 성황을 이루어냄.
1948년(62세)
김구, 김규식, 김창숙, 조성환, 조완구, 홍명희 등과 같이 총선거에 불참하는 공동성명 발표. 남북협상.
1950년(64세)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성북구, 득표(34,035표) 최고(전국) 득표자가 됨. 조병옥은 차점자(13,498표)후보 압도. 6월5일 신익희 안재홍 등과 신당운동 추진.「서울신문」보도, 6월11일 기자회견에서 「자유신문」보도, 9월 초순에 납북됨.
▶ 참고문헌 ◀
강만길(편) ,「조소앙」, 서울, 한길사, 1982.
강만길,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서울, 역사비평사, 2003.
조동걸, 임시정부수립을 위한 1917년의 대동단결선언,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한국학 논집」, 1987.
정학섭, 일제하 해외 민족운동의 좌우합작과 삼균주의, 한국사회사 연구회,「한국의 근대국가형성과 민족문제」,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86.
박영석, 「한민족독립운동사연구」, 서울, 일저각, 1983.
홍선희, 「조소앙의 삼균주의 연구」, 서울, 한길사, 1982.
홍선희, 「조소앙 사상」, 서울, 태극출판사, 1975.
김영일, 조소앙의 삼균주의 연구, 연세대 대학원, 1988.
권영건, 조소앙의 삼균주의론, 박사학위논문, 한양대 대학원, 1985.
송호수, 「한민족의 뿌리사상」, 서울, 가나출판사, 1984.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7.10.17
  • 저작시기201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6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