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교육론] 살아있는 민요교육-노동요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 교육론] 살아있는 민요교육-노동요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민요교육의 현주소
2. 민요교육을 통해 얻고자 하는 바
3. 민요교육에 대한 기본 입장
Ⅱ. 본론
1. 학습목표 설정
2. 지도계획 및 지도안
2-1. 지도계획
2-2. 지도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리: 3차시에 걸친 소단원의 내용 및 의의를 정리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사설, 가락, 기능이 함께 고려되는 ‘살아있는’ 민요교육의 시도로서, 논매기 노래를 중심으로 3차시 지도안을 작성해 보았다. 특히, 민요의 연행 현장을 매체를 통해 간접적으로나마 살펴보면서 그 속에 드러난 조상들의 일 문화를 엿볼 수 있고 나아가 오늘날의 일문화와 비교해 봄으로써, 고전문학이 단지 과거의 화석화된 산물이 아니라 현재화된 문학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고된 노동의 공간을 놀이의 공간으로 만드는 선조들의 낙천적인 삶의 의식을 학생들에게 단지 사설을 통해서가 아니라, 실제 연행되는 ‘현장’속에서 느끼게 하고 싶었다. 생활환경이 바뀌어 더 이상 노동요가 생산되지 않는 지금, 민요교육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회의적인 생각을 보이는 사람들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우리 조상이었던 평범한 농민들의 삶에 대한 의식, 노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 데 민요는 적절한 장르이다. 민요를 접함으로써, 자연히 구비문학의 속성도 알아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학생들이 모둠원들과 함께 민요를 실제 연습해 봄으로써 단지 교과서의 한 텍스트로 기억될 것이 아니라, 의미있는 활동으로 기억될 수 있을 것이다. 하다보니 방법상의 참신한 시도보다는 민요교육의 전체적인 시각을 조망하는 쪽으로 치우치게 된 것 같다. 부족한 점은 의견공유를 통해 보완될 수 있기를 바란다.
■ 참고 문헌 및 사이트
1. 이강엽 외, 「디지털 시대의 국어과 수업모형」, 평민사, 2002.
2. 한국역사민속학회, 「민요와 민중의 삶」, 우석출판사, 1994.
3. 이창식, "구비문학교육론", 「동국어문학」6, 1994.2.
4. 장석규, "구비 문학 교육 현실의 진단과 처방(1)", 「문학과 언어」21, 경북대, 1999.5.
5. 장석규, "구비 문학 교육 현실의 진단과 처방(2)", 「어문학」67, 한국어문학회, 1999.
6. 송춘길, "학교 현장에서의 효과적인 민요 교수법", 「함께여는 국어교육」, 1998.겨울.
7. 최종민, "한국의 문학어법을 가르치는 민요 지도법", 「향토민요 이렇게 가르쳐 보세 요」, 국립국악원, 1999.
8.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http://www.urisori.co.kr
9. 고성농요 홈페이지, http://www.nongyo.com
10. 팔도소리-브래태니커 백과사전, http://www.paldosori.co.kr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06.03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61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