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꾼다든지, 또는 사전에 학부모나 교사들끼리는 충분한 참관 수업을 거친다든지 하는 객관성을 확보할 충분한 절차 역시 필요하다. 또한 평가단을 평가대상이 아닌 교사 중에서 교과별, 부서별 무기명 비밀투표 등을 통한다면 학교 내 불신적 분위기를 조장할 수 있다는 우려는 어느 정도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교원평가제에 앞서 위로부터 내려오는 공문이나 일지 등 교사의 과중한 업무를 줄이고 교사가 좀 더 학습을 위한 연구와 준비를 위해 시간을 투자할 수 있게 교육 현장 자체의 질서 변화가 시급하다. 이러한 교육 여건이 보장된 상태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보완된 교원평가제가 도입된다면 \'교육 경쟁력 상승\', \'교원 경쟁력 강화\', \'교육 복지 격차 해소\'등 교육의 질은 충분히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추천자료
교원 성과급제도에 대한 정당성 고찰
새로운 교원평가제도와 대안제시
교원 평가제도
교원의 정치 활동, 바람직한가
새로운 교원교육 평가인정체제 개발의 효율적 관리방안
[인사행정][학교인사행정][교원인사관리][교원인사행정]학교인사행정, 교원인사관리, 교원인...
교원연수(교원연수제도)의 기본원리, 교원연수(교원연수제도)의 종류와 교원연수(교원연수제...
[교원승진제도]교원승진제도(교장임용제도)의 현황과 교원승진제도(교장임용제도)와 자격체계...
교사평가(교원평가)의 목표와 기능, 교사평가(교원평가)의 유형과 방법, 교사평가(교원평가)...
[교육행정]교원능력평가제도의 쟁점및 개선과제
교원능력개발평가정책 연구논문에 대한 요약 및 비판
교원징계(교육공무원징계)의 종류, 사유, 교원징계(교육공무원징계)의 대처방법, 주의사항, ...
[교직실무] 교원능력개발평가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