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도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 리 말

Ⅱ. 화랑도의 조직

Ⅲ. 화랑도의 사상적 배경
1. 불교사상
2. 유교사상
3. 도교사상
4. 천신사상
5. 화랑도와 세속오계

Ⅳ. 화랑도 정신의 현대적 의미
1. 민족리념의 계승
2. 국민적 자질 향상의 문제
1) 인간성 상실
2) 가치관의 혼란
3) 국민적 자질향상

Ⅴ. 맺 는 말

본문내용

신의 각 요소들을 보면, 忠·孝·信·勇·寬·美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을 압축하면 世俗五戒와 美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다.
文武兼備人의 양성이라는 目的 下에 화랑도 교육에서 추구한 교육적 인간상은 花郞 즉 風流的 人間이다. 이상적 인간상인 화랑의 인격적 특성은 忠·孝·信義·勇氣·宗敎的 信仰心·美的 요소를 겸비한 조화로운 인간이다.
이러한 인강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랑도의 성격을 각 화랑들의 행적에서 도출해 본 결과 政治·軍事的 성격, 宗敎的 성격, 道德的 성격, 敎育的 성격이 들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적인 인간상으로서의 花郞이 탄생하기 위한 하부구조로서의 교육과정에서는 화랑도의 교육조직, 교육내용, 교육방법 그리고 그 성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교육조직에 있어서는 대체로 <國仙·花郞 - 僧侶郎徒 - 一般郎徒>로 이루어져 있다. 교육내용에 있어서는 그 구체적인 전모를 파악할 수는 없지만 "相磨以道義 相悅以歌樂 遊娛山水"라는 글을 통하여 인격수련·가무·산천유람 등을 짐작할 수 있고, 여러 화랑들의 행적 속에서 볼 수 있는 말타기, 활쏘기, 검술, 창술 등이 그 내용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을 뿐이다. 교육방법에 있어서는 모방에 의한 교육, 집단적인 방법, 실제적·체험적 방법, 자연습득적인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고 할 수 있다.
(3) 三國統一 이후의 화랑도 교육은 본질적으로는 삼국통일 이전의 화랑도 교육과 별 차이가 없다. 다만 인간상 부분에서 美行者三이 본받을 만한 것으로 등장하여 화랑의 인격적 요소에 신의와 용기가 빠지고 謙遜, 儉素, 慈愛가 첨가되었음을 볼 수 있다. 조직에 있어서는 <朝廷花主 - 國仙·花郞·僧侶郎徒 - 一般郞徒>의 형태가 되었다는 것을 추정해 볼 수 있다. 통일 이후의 화랑도에서 주목할 것은 전반적인 사회의 변화가 화랑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화랑도가 쇠퇴의 길로 들어서게 하는 변화였다.
國學과 당 나라에의 遊學은 화랑도의 사회적인 필요성을 소멸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등장했다. 통일 이후 신라에서는 당의 유교 문화에 영향을 받아 儒敎 敎育을 진흥시키는 방면의 奬學策을 폈다. 국학을 설치하고 당 나라에 많은 유학생을 보낸 것은 그러한 장학책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그 결과 화랑도는 극소수의 귀족들에게서만 볼 수 있는 것이 되어 버렸다.
이상 敎育學的 側面에 본 화랑도는 시대적인 요청에 따른 所産物로서의 敎育制度였다. 우리 나라 교육사로 보면 신라 고유의 토착적인 교육 형태를 지닌 것이기도 하다. 敎育制度로서의 花郞道는 신라 당대의 것으로 끝났다. 그러나 화랑도는 우리 나라 교육의 원형적인 모습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그 意義가 있고, 화랑도 심층에 흐르고 있었던 근본 정신은 우리 민족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는 사상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花郞道가 민족적 정신의 근간 중 일부분을 형성하게 된 것은 그 思想的 脈絡을 보면 알 수 있다. 화랑도 혹은 풍류도의 근본 바탕은 古朝鮮의 정치적 군장 겸 제사장이었던 단군에로 소급된다. 단군은 고대적 의미에서 일종의 무당이었다. 여기에서 우리 나라의 古代文化가 巫文化였다는 것을 一見할 수 있게 해 준다. 이러한 巫的 要素가 농후한 단군의 유풍이 삼한에 이르러서는 천군으로 나타났고, 新羅에 이르러서는 花郞道로 具體化되어 하나의 국가적인 제도로 나타났던 것이다.
花郞道가 巫적인 요소를 기본바탕으로 하였기 때문에 外來思想을 받아들임에 있어서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화랑도에 맞는 요소들을 받아들인 결과 彌勒信仰이 武와의 적극적인 결합을 통해 전개되었고, 道敎도 思想的인 면에서 山神思想의 形態로 나타날 수 있었던 것이다.
☞ 참 고 문 헌
李基東,「新羅花郞道의 社會學的 考察」,『朝鮮上古史硏.下』, (부산:동아대출판부, 1985),
李基東, 『新羅骨品社會와 花郞道』, (서울:일조각, 1984).
柳東植, 『韓國宗敎와 基督敎』(서울:대한기독교서회, 1975)
이기백, 『新羅時代의 國家佛敎와 儒敎, (서울:한국연구원, 1978)
신형식, 『新羅史』, (서울:이대출판사, 1985)
이기백, 『新羅思想史 硏究』, (서울:일조각, 1986)
김정곤, 『花郞道와 世俗五戒』, 정신문화연구 제36호 (성남: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변태섭. 『新羅의 花郞道』, (서울:독서 신문사, 1977)
성낙동, 『韓國儒敎思想史』, (서울:고대민족연구소. 1972)
박연수, 「壬申誓記石에 관한 考察:화랑의 (천) 및 국가관」, (육사 논문집. 1982)
강종구. 「花郞精神이 三國統一에 미친 영향」, (성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한상옥, 「花郞道 精神을 통한 國民倫理를 재정립시키기 위한 方案」,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변태섭, 『新羅의 花郞道』, (서울:독서 신문사, 1977)
이만열, 『韓國史 大系』, (서울:삼진사, 1973)
차주환, 『韓國의 道家思想』, (서울:동화출판사, 1984)
이병도, 『국사대관』.
김충렬, 「花郞五戒의 思想 背景」, (아시아연구 1971).
윤천근, 「花郞이 갖는 思想史的 意味」, (성남: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홍흥기, 「花郞道에 관한 一硏究」,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이필영, 「檀君神話의 基本構造」, (백산학보. 1981)
이기백, 『신라오악의 성립과 그 의의』, (신라정치사회 연구소. 일조각. 1974)
이기동, 「新羅花郞道의 起源에 관한 一考察」. (역사학보, 제9집, 1976)
이선근, 『花郞道』. (서울:형설출판사. 1971)
김춘현. 「花郞道 敎育思想에 관한 一硏究」. (공주교대논문집, 제14집 2호, 1987)
안계현. 『新羅 世俗五戒와 國家觀』. (서울:일신사, 1966)
모연호, 허경진, 장동익. 『花郞道의 花郞列傳』. (서울:학문사, 1978)
張眞鎬. 『民族敎育의 展開』. (서울:實學社, 1974)
韓國敎育開發院編. 「敎育發展의 展望과 課題 (서울:한국교육개발원. 1978)
文敎部. 『國民精神敎育』. (서울:삼화서적주식회사, 1973)
孫仁銖. 「文獻上으로 본 弘益人間」. 敎育學硏究, 第11號, 韓國敎育學會, 1969.
白樂濬. 『韓國의 現實의 理想』. (서울:동아출판사, 1963)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1.06.21
  • 저작시기20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89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