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WTO 가입으로인한 우리나라 유통환경의 변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한국 유통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
1. 유통 산업의 현황
2. 국내 유통산업의 문제점

Ⅲ. 유통시장 완전개방
1. 유통기업의 대응
2. 유통 정책의 방향

Ⅳ. 중국의 WTO 가입
1. 중국 시장
2. 중국의 WTO가입의 영향
3. 국내 산업 변화

Ⅴ. 변화에 따른 대응 방안
1. 유통시장 개방에 따른 한국기업의 대응 방안
2. 중국의 WTO가입으로 인한 한국 기업의 대응 방안

Ⅵ. 중국시장개척을 위한 마케팅 전략

Ⅶ. 결론

본문내용

) 판매거점 구축 및 판매망의 다변화
상해, 광주,북경, 천진, 대련, 청도, 심천 등 제1선의 대도시와 연해 개방도시를 우선 공략하여 교두보를 확보한 다음 심양, 하얼빈, 무한과 같은 제2선의 중부내륙에 위치한 대도시로 판매거점을 단계적으로 확충해야 한다.
3) 시장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투자지역 설정
중국 투자가 싼 임금을 이유로 한 생산기지 건설에 있던 예전과는 달리, 투자동기가 내수시장개척으로 바뀌고 있는 현시점에는 임금보다는 소비확대잠재력이 크고, 통신, 수송, 유통 인트라가 비교적 좋은 대도시 지역이나 근교에 생산기지를 설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업계의 경우 임금에 지나치게 큰 비중을 둔 나머지 내수시장과의 연계성이 작고 관련산업이 상대적으로 발달되지 않은 발해만 지역과 동북 3성지역에 집중 투자하여 왔으나 향후에는 구매력 집중도가 높은 상해, 광동, 강소, 절강, 복건 및 화동, 화중지역으로의 다변화가 필요하다.
4) 전략상품의 선정과 신제품, 신 모델, 신 기호품의 지속적인 개발
진출지역이 확정되면 시장개척에 유리하고 중국 소비자층에 어필할 수 있는 전략상품을 도입기, 성장기에 있는 제품위주로 선정, 개발해야 한다. 중국시장은 그 성장속도가 매우 빨라 당해 전략상품이 잘 팔린다 하더라도 제품수명이 짧으므로 판로확대를 위해서는 신제품, 신기호품, 신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 한다.
5) 중, 고급품 및 고부가 가치품의 수출, 투자비중 확대
중국정부는 90년대 들어 첨단산업 위주의 외국인 투자유치정책을 펴고 있고, 내수시장 개발도를 기술의 선진도와 연계시키고 있기 때문에 중장기적으로 선진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중국 내수시장 진출에 유리하다.
Ⅶ. 결 론 (나의 생각)
1999년 1월 1일 이후 국내 유통시장이 개방 된지 벌써 3년이 넘게 지났다. 영세하고 취약한 구조로만 생각했던 우리의 유통구조 그간에 다소 적지 않은 유통업체가 도 산 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겠다.
미국은 1850년에 백화점이라는 개념이 처음 도입되어 유통업의 신업태 창출국 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앞서 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세계 100대 유통 기업 중 미국 기업이 40개에 이른다. 하지만 우리 나라는 일제치하로 인해 근대 상업자본주의의 기틀이 다소 늦어 진 것이 사실이다. 이후 1960년에 백화점이 처음 도입 된 후 제조업위주의 급격한 성장으로 낙후된 유통구조일 수밖에 없다고 하겠다. 지금은 비록 IMF체제 속에 있고 또한 매출액 세계 1위인 월마트를 비롯 해외 매출의존도 2위를 자랑하는 까르푸등 선진 유통업체들이 속속 들어오는 상황이지만 지역밀착형 고객서비스를 가격경쟁에서는 다소 열등하더라도 앞의 어느 백화점처럼 고객이 진정으로 원하는 물건을 원하는 가격에 원하는 곳에서 구입 할 수 있다면 충분히 국내시장을 뺏기지 않으리라고 본다.
앞서 보았듯이 우리의 유통기업도 국내의 시장에 만족하지 말고 해외시장으로 진출해야 된다고 생각한다. 유통시장은 아직 낙후된 국가들이 많이 있다. 이들 국가들을 미국, 일본, 유럽의 기업들만이 차지하라는 법은 없다. 우리의 유통기업들도 진출 국에 대한 사전 시장조사와 더불어 현지 유통업계와 합작을 통한 적당한 규모의 진출이 필요하다고 본다. 세계 매출액 1위인 월마트도 국내에 진출하면서 기 진출해 있는 마크로를 인수한 것은 진출당시 한국의 경제사정이 불확실하기 했지만 조심스럽게 진출을 한 것이라고 본다.
국내 유통시장의 향후 판도에 중요한 것은 유통업체 뿐만 아니라 제조업들과 소비자들의 역할도 크다고 하겠다. 먼저 제조업은 이제까지와는 달리 대량 유통망을 가진 업체들로부터 가격 결정권을 빼앗길 수 있다. 울며 겨자 먹기로 생산비용도 나오지 않을 만큼 싼 가격으로 납품해서는 안 된다. 또한 소비자들도 무조건 싸 다고 구입하게 된다면 당시는 싸게 구입했더라도 나아가서 국내제조업 전반에 걸친 자금난으로 이어져 걷잡을 수 없는 지경으로 몰고 갈지도 모른다.
여성취업인구의 증가, 정보통신의 발달, 컴퓨터의 보급 등으로 인해 무 점포 거래가 전개되고 있으나 아직은 전통적인 쇼핑관습과 통신판매의 한계로 인해 당분간은 주요한 유통경로로 부상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유통업체들은 사업규모 확대보다는 벤치마킹, 리엔지니어링을 통한 이윤창출과 앞으로 다가올 전자상거래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중국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은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경제에 앞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세계의 많은 기업들은 중국이 제공할 새로운 기회로부터 이익을 얻기 위해 중국시장으로 과연 진출해야 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중국의 WTO 가입이 중국으로의 빠른 진출을 약속하지는 않지만 중국시장을 뚫는 것은 아주 길고 험난한 과정이 되리라고 여겨진다. WTO는 중국의 문을 열어 줄 것이다. 하지만 기회는 아주 신중하게 검토돼야 한다. 우선 중국 모든 계층의 관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외국기업들의 활동에 대한 허가권을 쥐고 있는 지방 정부들은 허가절차를 거부하거나 지연하는 방법을 통해 WTO 가입 이후 중국으로 들어오는 외국 경쟁기업에 대해 저항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설령 관료들과 좋은 관계를 갖는다 하더라도 중국기업들은 중국시장을 그렇게 호락호락하게 내놓지는 않을 것이다. 중국기업들은 외국기업들에 비해 내수시장과 친밀성을 지니고 있으며 정부 관료들은 그들의 편에 서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이 같은 사실은 어떠한 장애물이라도 뛰어 넘는 데 선수인 한국의 사업가들에게는 전혀 새로운 것이 아니다. 이렇게 한국 시장의 변화에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 단순히 국내에서의 경쟁에 전념을 하다보면 세계화 시대의 경쟁 구도에 이탈되기 쉽다. 우리 나라 기업들은 국내의 유통시장의 개방으로 인한 외국기업과의 무한경쟁과 중국의 WTO가입으로 인한 국내외 경쟁에 발 빠르게 참여하고 대응해야만 한다.
♧ 참고 자료 ♧
·중국시장 개척을 위한 마케팅전략
(이종일 / 대한무역진흥공사 중국실 실장)
·중국내 소재한 한국 대사관의 인터넷 자료
·유통시장 완전개방 현장에서는 어떻게 보고 있나
(저자 LG경제연구원 박병수)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10.27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88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