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학의 역사와 내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소학의 작자

2)소학의 편찬 배경과 역사

3)소학의 내용과 구조
ㄱ)소학 내용의 전반적 원칙
ㄴ)소학의 본문의 내용과 구성

본문내용

해당하는 <입교>, <명륜>, <경신>의 내용을 요순부터 공자에 이르기까지 유교 경전에 나오는 성현들의 행적을 통해 증명하고 있다.
외편의 <가언>과 <선행>은 비슷한 형식으로 漢代 이후 북송까지의 현인들의 언행을 통해 앞서 말한 『소학』의 3강령을 증명한다. <가언>은 91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인들의 아름다운 말을 중심으로 '광입교', '광명륜','광경신'으로 나누었다. <선행>은 81장으로 선한 행실을 중심으로 하여 '실입교', '실명륜', '실경신'으로 이루어졌다. <계고>, <가언>, <선행>은 『소학』의 3강령의 내용을 실증하고 강화하는 역할을 갖고 있는 부분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유학의 원리와 부합된다. 이는 <계고>를 한대 이전의 성견들을 존숭한다는 유교의 복고주의적 성향을 잘 드러내주기 위해 내편에 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또한 『소학』의 3강령을 중층적으로 구성해 유학이 말하고자 하는 교육, 윤리, 수양의 문제를 이중삼중의 촘촘한 그물망으로 엮어놓고 있다. 이는 이론적·논리적 규명보다는 실천을 중시한 유학의 태도를 엿볼 수 있다.
『소학』의 여섯 편을 한 번 훑어보게 되면 하나의 일관된 논리체계가 발견된다. 즉, 먼저 인간의 존재됨(being)의 형이상학적 선언 속에서 그로부터 도출되는 이후의 모든 윤리규정들이 불변의 진리임을 서두부터 확인시키고 있다. 이러한 전제 하에 본론에서는 인간으로서 지키지 않으면 안되는 윤리규범들을 상세히 규정하고, 이어 윤리실천에 있어서는 요청되는 자세의 기본을 강조한 다음, 나머지는 이상의 내용에 대하여 보충 겸 증명을 성현들의 권위를 빌어 역사적이고 경험적으로 이루어 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 조직 원리는 간단하게 표시하면 '성-도-교의 순환적 준거 작용'의 원리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즉, <입교>에서 교육의 목표가 性이란 형이상학적 존재의 의미로 제시가 되고, <명륜>에서 교육내용으로 그런 형이상학적 존재로부터 연역된 규범인 불가변적 윤리 규범을 채택하여, <경신>에서 교육방법으로, 敬의 자세로 궁행실천(躬行實踐)하여 '현재 상태에서 최선인 德'을 획득하게 된다. 이때 다시 보다 性의 기준에 가누어 보고, 확인, '더 나은 최선의 덕'을 닦아나가는 과정이 전제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소학』의 내용구조 속에는 오늘날 덕교육을 위한 교육 과정 개발과 또 그에 의거한 덕교육 교재 개발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고 본다.

키워드

소학,   주희,   대학,   소학의 내용,   유학,   서당,   유가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3.10.2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7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