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의 문학적 배경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대적 배경

2. 성립·발전

3. 멸망

4. 제도

5. 문화

6. 종교

7. 외세와의 투쟁

8. 고려 시대의 문학

본문내용

잊으려고 몸부림치는 역설적인 표백이었던 것이다.
고려속요는 은유적·풍유적인 기법이 많으며 그 밖에 상징적인 표현이 눈에 띈다. 《정과정》에서는 산접동새에 작가 자신을 비유하면서 간신과의 대비를 통한 알레고리로 선악의 상반되는 불가시적(不可視的) 사실을 밝히려 했으며, 《서경별곡》에서는 구슬과 구슬을 이어 주는 끈을 두 애인의 사이를 묶어 주는 믿음의 끈으로 묘사하였고, 《정석가》에서는 불가능한 사실을 앞에 내걸어 유덕하신 님과 이별할 수 없다는 일종의 신념과 소망을 기원하였다. 《쌍화점》은 은유에 의한 표현에 상징적인 기법을 곁들인 작품이다. 그와 유사한 수법은 《동동》과 《청산별곡》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고려속요의 또 하나의 내용적 특징은 서정적이라는 점이다. 다음으로 내용이 매우 함축성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대부분의 고려속요가 엄청난 비약 없이 당시 서민들의 정한(情限)을 매우 함축성 있게 표출하고 있다.
형태
① 고려속요는 사설을 빼고 보면 《가시리》 《서경별곡》은 3·3조를 기조로 하였고, 《청산별곡》은 3·3·2신조를 기조로 한 4구 1장의 정형이다. 그리고 《정석가》 《만전춘별사》 등은 3·4∼4·4조를 넘나들고 있는데, 이는 고려속요가 우리의 전통적인 음수율과 가까운 형태를 밟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그것은 구전(口傳)시가로서 시조와 가사에서와 같은 엄격한 율조상(律調上)의 제약을 받지 않고 비교적 자유롭게 불려졌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② 고려속요는 분절성(分節性)을 지니고 있다. 여기에 후렴의 형태가 등장하게 된다. 연(聯)과 연 사이에 후렴을 끼워넣음으로써 흥을 돋우는 것이다. 사설 가운데 <아소 님하> <아으> 등은 엄격히 따져 후렴이라고는 할 수 없으나 후렴 역할을 하는 것이고,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 얄라> <딩아돌아> <동동다리> 등은 해학적으로 삽입한 의성이 그대로 후렴이 된 것이며, <아즐가> <나 증즐가> 등은 무의미한 도움소리들이다.
③ 고려속요는 원가(原歌)의 모습을 찾기가 매우 어렵다. 조선의 시가는 그 형태가 비교적 정제(整齊)되어 있으나, 고려속요는 전수 전달에 어떤 뚜렷한 구실을 갖지 못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현재 전하는 고려속요에서만도 가요의 내용이 서로 섞여 있음을 쉽사리 찾아낼 수 있다. 《정과정곡》 3연(聯)과 《만전춘》 3연은 누구나 같은 내용의 시구인 것을 알 수 있다. 이 시구는 《서경별곡》 12절과 《정석가》 마지막 끝 연에 나오는 것과 똑같은 구절이다. 특히 《서경별곡》의 경우에는 2개의 가요가 합쳐진 흔적이 엿보인다. <장노현>
⑵ 경기체가(景畿體歌)
① 한문학에 의해 잠식당하고 있던 국문학 자체의 발전에 대한 욕구와 한학자의 현실에 대한 불만으로 말미암아 경기체가라는 새로운 시가 양식이 나타나게 되었다. 경기체가는 노래의 말미에 경기하여(景氣何如) 또는 '景가 긔 엇더하니잇고' 라는 문구를 붙이는 데서 기인한 이름인데, 이 시가는 국문학상 특이한 형태이다. 경기체가는 귀족 문학으로서, 향찰식 표기 체졔가 한자로 바뀌면서 정치적 혼란기에 문인들이 한자 어휘의 나열과 이두식 후렴구로 그들의 의식 세계를 노래한 것이다.
② 경기체가는 고려 무신난 이후 조정에서 밀려난 문인들의 현실 도피적이로 향락적인 생활을 그 주된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는 고려 가요와 마찬가지로 현실 도피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면서도, 예상적(豫想的)인 것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경기체가가 일반 민중들과 유리된 채로 한학자들 간에 일종의 유흥시로 부리워졌다면 고려 가요는 민중들의 생활 감정을 솔직하고 거침없이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⑶ 시조(時調)
① 한국 시가의 대표적인 양식이라고 할 수 있는 시조(또는 단가)의 발생은 그 정확한 연대는 알 수 없으나 대체로 고려 중엽 무렵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그 정착 시기는 대개 고려 말엽이라고 보는 것이 정설로 되어 있다. 또 시조 문학이 성립되었다는 것은 고려 문학이 국문학사에 끼친 일대 공헌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귀족 문학과 평민 문학으로 양분되어 있던 문학적 풍토에 시조 문학이 나타남으로써 새로운 국민 문학의 기틀을 형성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② 그러나 현재 전하는 작품만으로는 고려 시대 단가의 경향이나 그 시대적 특성을 살피기는 매우 어렵다. '시조'라는 명칭 자체도 조선 후기에 이형상(李形狀). 이세춘(李世春)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정착된 명칭이다. 단가는 원래 문자로 씌어졌던 것이 아니라 창(唱)으로 불리어 발전하다가 나중에 문자로 기록되어진 창의 문학이다. 이를 장가인 고려 가요에 대하여 단가라고 부를 수 있는 것이다.
⑷ 한문학(漢文學)
① 고려의 한문학은, 한국 문학사의 전 시대를 통하여 가장 융성한 발전을 보였다. 고려의 문인들까지도 고려의 한시를 가리켜 조선시대를 훨씬 능가한다고 말하고 있다. 신라 문신들의 재등용과 과거제도의 실시 및 불교의 포교는 고려 한문학을 꽃피게 하였다. 중기 이후 무신들의 득세와 몽고의 침입 속에서도, 고려는 귀족문화의 번영을 이룩하였다. 고려 청자의 우아한 색깔과 '팔만대장경'의 판각 및 세계 최초의 금속 활자 인쇄서인 '상정고금예문'의 간행 등은 그 일단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② 고려 문인, 학자들은 자신들의 문장 취미로 한문으로 쓴 일종의 기록 문학을 발전시켰으니, 이것이 곧 패관소설이다. 여기에는 전설, 야담, 시화, 소화(笑話),전기, 평론 등이 취재되어 성격상으로는 고대 수필의 형태로 나타난다.
③ 또한, 고려 중기에 활발해진 가전체 소설이라는 단편 의인 전기체는 소설문학의 싹을 틔우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③특징
(1) 향가의 쇠퇴로, 경기체가 등의 귀족문학과 고려 가요 등의 평민 문학으로 갈라지게 되었다.
(2) 신라의 불교 문화를 계승하였으며, 과거 제도의 실시로 한문학이 융성하게 하였다.
(3) 설화에서 발전한 패관문학과 가전체 작품이 소설에 접근해 갔다.
(4) 시조가 최초로 발생하였다.
(5) 내용이 향락적이고, 표현에서 진솔성과 소박성을 담고 있다.
(6) 향가, 경기체가, 고려 가요는 그 수명이 길지 못하였고, 시조는 조선시대에 와서 꽃을 피웠기 때문에 과도기적 문학의 성격을 띤다.
  • 가격1,6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3.10.31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9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