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관련분야 GIS구축 및 활용현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지 분석
1. GIS를 이용한 산사태 분석 방법

[2] 자연환경종합 GIS-DB구축
1. 사업 목표
2. 데이터베이스 구축내용
3. 대상업무별 추진방향
1) 생태자연도
2) 영상정보
3) 문헌정보
4) 인터넷서비스·자료관리시스템
4. 공간적 범위

본문내용

헌정보
4) 인터넷서비스·자료관리시스템
4. 공간적 범위
◆ 참고 문헌 ◆
◎ 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지 분석
) 김영삼 (2002) 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지 분석 -경기도 광주시를 대상으로 -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 서울대학교

1. GIS를 이용한 산사태 분석 방법
GIS를 이용한 산사태 분석 방법에는 산사태의 취약성 분석, 가능성 분석 및 위험성 분서이 있다.
이러한 분석 방법들은 대축척, 중축척, 소축척 등으로 나누어 적용된다. 산사태 취약성은 집중호우나 지진과 같은 충격을
받았을 때 산산태가 일어 날 수 있는 상대적인 가능성을 말한다.
이러한 산사태 위약성 분석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고 이러한 방법들은
적절히 사용되어야 만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법들은 산사태 분석 방법이 1:500,000 이상으로 입력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며, 중축적은 1:23,000 ~ 1:500,000 의 자료를, 대축척은 1:5,000 이상의 입력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한편, 광역적 축척에서는 지도 중첨 방법이 사용된다. 그 방법은 전문가의 의견 및 전문가의 판단한 각 요인의 가중치에 의해서 산사태 취약성도를 작성하게 된다. 중축척에서는 통계적인 방법이 사용된다. 그 방법은 산사태와 관련되는 요인과 산사태와의 관게가 통계적으로 분석 한 다음, 그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산사태 취약성도가 작성되게 된다.
대축적에서는 안전율 분석과 경험론적인 계산방법이 사용된다. 안전율 방법은 사면안정 모델을 적용하여 안전율을 계산하는 것이고, 경험론적 계산 방법은 계산표를 준비하여 계산표대로 현장 조사하고 그 점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성 분석 방법은 단계적으로 적용되며, 더 정확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실시된다.
산사태 취약성 분석을 위한 인자는 수치 지형도로 부터 추출한 경사도, 경사길이, 경사길이, 경사위치, 사면 형태 등의 지형자료를, 토양도로부터 토질, 매수, 지형, 모재, 유효토심 등의 자료를, 임상도로부터 임상, 경급, 영급, 소밀도의 자료를, 지질도로부터 암상을, 위성영상으로부터 토지 피복도를 추출할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취약성 분석을 위해서 GIS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한다.
산사태 분석 단게에서는 취약성(vulnerability), 가능성(possibility), 위험성(risk) 분석 등 3가지 단계가 있다.
산사태 취약성은 강우, 지진 등 산사태를 직접적으로 유발시티는 요인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지역이 산사태 발생에 얼마나 취약한지를 분석하는 것이고, 산사태 가능성은 해당 지역의 산사태 위약성에 강우, 지진 등 산사태 유발 요인의 발생 가능성을 백분율로서 표시하고 이를 첨가하여 해당지역의 산사태 가능성을 확률로서 분석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산사태 위험성은 산사태 취약성과 가능성에 인명, 시설 등의 피해도 함께 고려한 것이다.
그림 공간적 범위
◎ 자연환경종합 GIS-DB구축
)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me.go.kr

1. 사업 목표
▷ 자연환경업무의 질적향상
▷ 과학적인 환경행정구현
▷ 인터넷을 이용한 대국민서비스
▷ 유관기관 정보공유체계 구축
2. 데이터베이스 구축내용
▷ 생태자연도 구축
▷ 문헌정보 구축
▷ 항공정사 사진제작
▷ 인공위성 사진제작
3. 대상업무별 추진방향
1) 생태자연도
▶ 자료특성
▷ 원시자료오류 (식생도의 등급누락등)
▷ 각 주제도의 경년 변화에 따른 갱신문제
▷ 식생도·임상도와의 경계모호성 문제
▷ 분포도 제작에 있어 표현의 표준화 문제
▷ 생태자연도 제작단계 분석요구
▶ 구축방안
▷ 본 사업자의 경비부담으로 재조사 보완
▷ 최신 위성·항공사진을 이용한 검색·갱신
▷ 상호경계의 모호함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환경부와 협의 후 처리
▷ 원시데이타를 준용하는 표준안 마련
▷ 식생 우수지역에 대해서는 GIS 분석처리
▷ 기타지역은 분포도를 이용한 처리
그림
( 출처 :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me.go.kr )
2) 영상정보
▶자료특성
▷ 좌표보정을 위한 정밀지상기준점 부재
▷ 산악지의 지상기준점 추출난이
▷ 단기간 내에 많은 물량제작
▷ 적정정확도 유지 (X·Y·Z : 5·5·10m)
▶ 구축방안
▷ 수치지도 활용
▷ Bundle Adjustment와 수치 미분편위 수정기법 적용
▷ 공정세분화, 분업화
▷ 검수팀 운영을 통한 단계별 정밀 검수 수행
3) 문헌정보
▶ 자료특성
▷ 종정보 자료는 분야별 전문성 요구
▷ 모든 DB는 생태자연도, 권역도 및 영상자료와 함께 인터넷서비스가 가능토록 구축을 요구
▶ 구축방안
▷ 생물전공학과 출신의 인력 적극 유치
▷ 전문가의 감수를 통한 DB의 품질확보
▷ 인터넷서비스 개발
4) 인터넷서비스·자료관리시스템
▶ 자료특성
▷ 다양한 형태의 자연환경자료 (문헌, 종 정보, 영상, 생태 자연도 등)
서비스 요구
▷ 종합 환경정보시스템으로 발전예상
▷ 대용량, 대규모 자료의 효율적 관리요구
▷ 년차별, 시계열 자료의 효율적 관리요구
▶ 구축방안
▷ 환경자료간의 상관성을 활용할 수 있는 자료구축 및 통합서비스
시스템 구현
▷ GIS기능을 이용한 인터넷시스템 구축
▷ 향후 확장성과 타 시스템의 연계를 고려한 시스템개발로 효율적 자료관리
4. 공간적 범위
전국자연환경조사는 규모에 따라 대권역, 소권역, 평가소단위로 구성
- 육상지역 : 11개의 대권역, 206개의 소권역
- 해안지역 : 6개의 대권역, 145개의 소권역

'97년
'98년
'99년
'00년
'01년
'02년
조 사
권역수
육지
206개
26개
30개
29개
28개
36개
54개
해안선
145개
전해안선기초조사
30개
30개
30개
29개
26개
합 계
348
26개
60개
59개
58개
65개
80개
조사대상지역은 우선조사지, 일반 조사지역으로 구분
그림
( 처 : 환경부 홈페이지 http://www.me.go.kr )
◆ 참고 문헌 ◆
1. 김영삼 (2002) GIS를 이용한 산사태 취약지 분석 -경기도 광주시를 대상으로 - 서울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 서울대학교
2. 환경부 홈페이지 ( http://www.me.go.kr )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12.20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394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