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연구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질적연구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교육행정에서 질적연구의 등장과 의의

3. 연구방법의 두 패러다임
가. 두 패러다임
나.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패러다임의 기본과정

4. 질적 연구의 특징
가. 기본적인 관점
나. 문화 기술적 연구의 기본 관점과 장단점

5. 교육문화기술과 응용
가. 교육문화기술
나. 질적 연구가 적합한 교육문제들
다. 질적 연구의 응용

6. 질적연구의 방법들
가. 참여관찰
나. 심층면담
다. 질적 연구자를 위한 면담 요령
라. 사건 분석

7. 현장에서의 기록
가. 현장 노트(세 가지 원칙)
나. 현장 연구 일지(관찰일지)
다. 현장기록의 양식과 요령

8. 자료분석

9. 질적 연구자들이 보완해야 할 점

본문내용

때 표현으로 구체화할 수 있다.(많다, 적다, 크다, 작다, 일정하다 등)
⑾ 미세사건(微細事件)도 분석해야 한다. 주요사건을 더욱 확실히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⑿ 희귀사건(稀貴事件)의 분석은 치밀하게 계획되어야 한다. 희귀사건을 관찰할 때에는 미리 그 사건의 발생을 파악하고 특별히 용의주도한 준비가 필요하다.( 예 : 영국 왕세자 결혼식)
7. 현장에서의 기록
- 현장 노트의 작성, 녹음기의 이용, 사진 촬영, 녹화(錄畵), 문화적 가공물의 수집, 지도 작성, 관찰일지의 작성 등
가. 현장 노트(세 가지 원칙)
⑴ 언어 확인의 원칙 : 사용된 언어가 관찰자의 언어인지, 제보자의 언어인지, 사회과학의 학술용어인지를 분명히 구분하여 기록, 말한 사람이 누구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⑵ 축어(逐語)의 원칙 :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하나하나 그대로 옮겨 기록하는 일. 지방색이 짙은 독특한 표현일 경우 특히 축어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⑶ 구체(具體)의 원칙 : 어떤 상태나 활동을 관찰하고 기록 할 때에는 지나친 일반화나 추상적인 표현을 피해야 한다. 구체적인 기록은 당시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 현장 연구 일지(관찰일지)
- 가급적 매일 작성하는 것이 좋으며,
- 그날의 경험에 대한 느낌, 연구 착상과 의문점, 그날의 참여관찰에 대한 잠정적 해석, 생각의 변화등을 기록한다.
- 현장 노트를 검토 분석할 때 매우 커다란 도움을 준다.
다. 현장기록의 양식과 요령
- 현장의 기입상들은 해독 가능하고, 시간적 순서로 되어야 한다.
- 기록 내용들은 자료의 범주들 사이에 구분 가능해야 한다. ( 예 : 사람들이 실제 말한 것인지, 사회적 상호작용의 무간섭적 측정 자료인지)
- 기록하는 일반적인 전략은 문법과 철자법에 따르는 것이다. ( 부호사용 관례-p.277 )
8. 자료분석
- 추상적인 개념과 구체적이고 단편적인 자료들 사이, 귀납적 추론과 연역적 추론 사이, 기술과 해석 사이를 왔다 갔다 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이다.
- 분석단계는 '전체 사건에 대한 숙고 더 작은 조각으로의 계속적인 분해 다시 전체로 재구성'하여 결론을 내린다.
◈ Miles와 Huberman의 '의미를 도출하는 방안들'
⑴ 계량화(counting) : 계량화해야 하는 이유
① 자료의 전반적 동향(경향)을 밝히기 위해.
② 대두되는 가설을 검증하거나 지지하거나 입증하기 위해.
③ 탐구자의 편견을 막기 위해.
⑵ 유형과 주제의 기록(noting pattern and themes) : 패턴을 발견하는 일은 전체적인 줄거리와 범주들을 세우는 일과 유사. 중요한 것은 똑같은 패턴의 진정한 증거를 알아차리는 것이며 모순되는 증거를 받아들이는 자세를 갖추는 것이다.
⑶ 그럴듯한 것(개연성) 파악하기 (seeing plausibility) : 연구자로 하여금 가능성(개연성), 육감, 첫인상 등등에 반응할 수 있도록 해주는 직관적 사고를 필요로 한다.
⑷ 군집화(clustering) : 유사성을 보이는 것들끼리 집단을 형성시키는 방안(사건의 수준에서, 행위 수준에서, 개별적인 행위자의 수준에서, 과정의 수준에서, 장면의 수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 모든 상황에서 유사한 패턴과 특징을 가지는 대상들을 집단화하고, 그리고 나서 그것을 개념화함으로써 어떤 현상을 더 잘 이해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⑸ 은유 만들기(making metaphors) : 은유는 많은 말을 하지 않고도 상당한 정보를 전달해 줄 뿐만 아니라 최종의 연구결과를 작성할 때 보고서에 특유의 의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⑹ 변인들이 분할(splitting variables) : 분석이라는 것이 변인들을 묶는 문제로 흔히 여겨질 수 있지만, 어떨 때는 특정 변인 혹은 특정 범주가 두 가지 요소로 분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도 하다.
( 예 : '무책임성'이라는 변인이 '사회적 미성숙'과 '물리적 무책임성'으로 분리된 경우 )
⑺ 특수한 것들을 일반적인 것에 포함시키기 : 군집화의 방안과 유사.
⑻ 요인화(factoring) : 개별적 사실들에서 공통점을 파악하게 하는 그 어떤 것이 바로 '요인'이다. - 요인들은 특정 사례의 이해 혹은 그것의 기본적인 역동성에 대한 이해에 기여해야만 한다.
⑼ 변인들 간의 관계 나타내기 : 변인들 혹은 개념들이 서로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보는 것. - 본질적으로 어떤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가설들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⑽ 매개변인들의 발견 : 함께 엮어야 할 두 변인들이 서로 잘 들어맞지 않는 경우, 두개의 변인의 엮어졌을 때 그 관련성이 왜,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하는지가 불분명할 때.
(제 삼의 변인 Q를 통제할 수만 있다면, 변인 A와 변인 B와 관련성은 더 분명해진다.)
⑾ 증거의 논리적 연결성 구축하기 : 분석의 범주들, 가설들, 은유들 및 주제들을 하나의 통일성 있는 전체로 통합하려는 전략이다.
⑿ 개념적/이론적 통합화 : 연구하고 있는 현상의 방식과 이유를 설명해 주는 여러 연구들이 제시한 지배적인 이론적 진술들 속에 연구결과들을 연결시키는 하나의 이론구축 활동이다. ( 정교하고 세밀한 수준의 분석과 해석이 요구됨. )
특정의 개별적인 정보들을 조작하는 것에서 출발하여 자료들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통합된 이론형성에 이르는 전과정을 설명하는 것.(질적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들을 다루기 용이한 규모로 변형시키기 위한 것.)
9. 질적 연구자들이 보완해야 할 점
⑴ 연구자들은 제대로 훈련을 받지도 않은 채 질적 연구방법들을 사용하려고 한다.
⑵ 삼각법을 적용하기보다는 참여관찰 방법에 전적으로 의존하려고 한다.
⑶ 자신의 선입관과 기대가 자신의 관찰에 영향을 미치도록 내버려 둔다.
⑷ 관찰 시간이 너무 짧다.
참고문헌 ------------------------------------------------------
1. 『교육마당21』 2001년 11월호
2. 신옥순 역 지음, 교육연구의 세 접근 ; 질적연구, 교육과학사, 1991.
3. 김영천 편 지음, 질적연구, 문음사, 2001.
4. S.스타인백 외저 지음, 김병하 옮김, 질적연구의 이해와 실천, 특수교육, 1992.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4.05.02
  • 저작시기2004.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8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