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간척사업 그리고 갯벌과 습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序論

Ⅱ새만금 간척사업 그리고 갯벌과 습지
1.간척사업
2.갯벌
1)갯벌의 정의
2)갯벌의 형성
3)갯벌의 기능 및 가치
(1) 어류생산 및 서식지 기능
(2) 오염정화 기능
(3) 홍수조절과 태풍피해 완화 기능
3.습지
1)습지란 무엇인가?
2)람사협약

Ⅲ. 새만금 간척사업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1.긍정적 측면
1)식량자급
2)육운개선
3)새로운 갯벌의 형성
4) 수자원 확보
5) 홍수조절
6) 해양수질의 개선
7) 양식환경의 개선
2.부정적 측면
1)갯벌의 상실
2)철새 도래지의 파괴
3)어장과 염전 등 바다를 기반으로 하는 산업의 상실
4)회유성 생물의 회유로 차단
5)공사시 해양의 오염
6)공사를 위한 육상의 영향
7)새만금 유역 상류 하천의 오염문제
8)지역공동체의 파괴
9)미래 세대의 자원훼손

Ⅳ. 結論

본문내용

과 같은 자연환경은 현재 세대만의 재산이 아니다. 즉,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았다고 하여 이를 전부 소비할 수 없으며, 탕진할 자격이 없다. 지구상의 모든 자원은 현세대와 미래세대가 공유하는 것이다. 갯벌을 매립하여 토지로 전용하는 것은 영구히 보전하여 대대로 물려주어야 할 자원을 훼손하는 것이다.
Ⅳ. 結論
갯벌은 더 이상 쓸모없는 땅이 아니다. 오래 전부터 갯벌은 인간의 삶과 대단히 밀접하였으며, 식탁에 오르는 해산물을 우리는 여전히 즐겨 먹는다. 독일은 갯벌을 국립공원으로 보전하고 있으며, 한국정부가 가입해 있는 람사협약에서도 갯벌의 보전과 현명한 이용을 촉구하고 있다. 이 정도로 갯벌의 가치는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갯벌은 현세대의 것이 아닌 우리 미래세대의 것으로 새만금간척사업은 미래세대의 자연유산을 빼앗는 범죄행위이며 갯벌에 의존하며 살아가는 인간 이외 다양한 생물들의 생존공간을 빼앗는 범죄행위이다. 때문에 새만금간척사업은 지금이라도 중단되어야 하며, 공사가 중단되면 이미 만들어져 있는 방조제는 충분히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방조제가 유실된다는 농업기반공사의 주장은 본인들이 진행하고 있는 공사의 신뢰성을 스스로 부정하는 것으로서 새만금간척사업 중단 결정이 내려지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보완이 가능하다. 이제 올바른 결단만이 남아 있으며 이러한 결단은 우리 공동의 미래를 밝게 할 것이다. 모든 생명의 근원인 새만금 갯벌은 살아야 한다.
갯벌 등과 같은 자연환경은 현재 세대만의 재산이 아니다. 즉,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았다고 하여 이를 전부 소비할 수 없으며, 탕진할 자격이 없다. 지구상의 모든 자원은 현세대와 미래세대가 공유하는 것이다. 갯벌을 매립하여 토지로 전용하는 것은 영구히 보전하여 대대로 물려주어야 할 자원을 훼손하는 것이다.
세계의 생물학적으로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생태계 중에서, 습지는 쌀과 어류, 조개 등의 풍부한 먹거리를 제공하고 농촌 주민들에게 종종 중요한 단백질의 근원을 제공한다. 세계인구가 의존하는 자연자원으로서 습지는 인간 생존에 기본적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파괴적으로 급속한 수준으로 습지가 상실되고 있다. 문제는 감소하는 담수 공급을 위한 처방을 찾거나 사라져가는 자연자원의 대체물을 찾는 것 이상이다. 궁극적으로 습지의 건전한 관리는 우리 모두가 의존하는 지구적인 생명의 다양성을 유지하면서 미래 모든 사람의 생존에 요긴한 역할을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4.07.02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90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