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유통>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산물 유통>에 관한 종합적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농산물 유통의 정의

2. 농산물의 특성과 유통구조의 특수성
가. 농산물의 특성
나. 농산물 유통구조의 특성

3. 농산물 유통환경의 변화
가. 농산물 수입개방의 가속화
나. 유통시장 개방과 대형유통업체의 급성장
다. 전자상거래의 확산

4. 현재의 농산물유통구조
1) 농산물 유통기구
2) 농산물 유통경로
3) 농산물 유통마진

5. 농수산물 유통구조의 문제점

6. 농산물 유통여건의 변화

7. 농산물 유통정책방향

8. 주요 유통정책과제
1) 품목별 수급 및 가격안정대책 추진
2) 생산자조직활성화 및 산지유통혁신
3) 공영도매시장 운영혁신
4) 농산물 전자상거래 확대
5) 직거래 확대 및 소매유통 개선
6) 물류혁신 및 정보화 촉진
7) 농산물 안전성 및 품질 향상
8) 농산물 가공산업 육성

9. 결론

본문내용

O) 표시제 실시
표시조사 및 검정인력장비를 보강, 지속적 지도단 속 실시
- 유전자변형농산물 표시관리 실시단 설치운영
- 단속공무원에게 사법경찰권 부여로 단속 실효성 확보(372명)
유전자변형농산물 검정능력 제고 및 전문성 확보
- 신기술을 적용한 검정방법개발 및 외국기관(일본 영국 등)과 공동연구 추진
□고품질고부가가치 농산물유통 정착
대부분의 농산물에 품질인증 실시로 농산물 '제 값받기' 유도
- 인증물량(대상품목) : 220천톤(113개 품목) → 240(125)
주산지 협동조합 중심으로 고품질 농산물유통 추진
- 과실주산지 조합에 비파괴 당도측정기 확대 공급(15 대)
신뢰받는 브랜드 창출을 통하여 [얼굴있는 농산물]의 실명거래 추진
- 도매시장에 출하자등록제 , 등급표시 검사제 등 품질관리체계 도입
8) 농산물 가공산업 육성
□국산농산물과 식품산업 연계 강화로 수요확대와 부가가치 제고
농업 GDP 비중(4.8%)의 감소에도 불구하 고 연관산업인 식품산업을 포함한
농식 품(農食品)산업의 GDP 비중은 13%수준 유지
- 선진국의 농업비중 1%, 농식품 비중은 미국 9.2%일본 11.6% 수준
□농산물가공산업 육성 및 가공업체 운영활성화 추진
가공저장업체 시설자금 및 농산물 수매자금 지원 확대
- 시설자금/수매자금 : 54억원/3,696억 원 → 56/4,732
기술경영컨설팅 지원으로 가공업체 운영활성화
□가공식품 마켓팅 활성화 지원 강화로 농산물 수요기반 확충
식품전시회, 전통식품 TV홍보 등 확대(822백만 원 → 970)
* 2000년 SBS-TV 홍보(13회)후 평균 매출액 3.4배 증가(66업체)
김치, 인삼, 간장 등의 Codex규격화로 전통식 품 세계화 추진
- 전통식품품평회를 통해 우수전통식품 발굴과 해외홍보 강화
품질인증, 명인지정, 전통주 제조면허 부여 등 정부차원의 인증체제 구축
* 현재 : 전통식품 품질인증 146업체, 명인 20명, 전통주 면허 145업체
9. 결론
현 농산물 유통정책의 문제점들에 대해서 위에서 언급한 것과 같은 정부의 많은 정책들이 나와있다. 그 중 몇 가지 개인적 생각을 말하겠다.
첫 번째, 신생대형도매시장의 건설문제이다.
현 농산물 특히 과일의 경우 대부분의 소매점의 위치가 낮아지고 상대적으로 대형 할인점을 이용하는 고객이 많아지고 있다. 물론 다른 농산물에서도 마찬가지이지만 특히 과일부분에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몇 가지를 말하자면 우선 가격이 저렴하고 과일의 신선도가 높으며 외관이 깨끗하고 맛도 일반 소매점에 비해 뛰어나다.
그 이유에는 대형 할인점이 일반 소매점과 같이 중간단계를 거치지 않는 직거래로 상품을 대량구매하고 직접 상품의 질을 선택하기 때문이다.
이런 추세로 간다면 과일부분에서 소매상점이 설자리는 점점 사라져갈 것이다.
특히 집집마다 김치냉장고가 보편화되면서 과일을 한꺼번에 많이 구입하는 소비형태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시기에 새로운 대형도매시장의 건설은 시대에 뒤떨어진 착안이라는 생각이 든다.
두 번째, 출하와 공급양의 문제이다.
과잉생산으로 인한 가격하락의 경우에는 각각의 생산자들이 새로운 마케팅전략을 직접 수행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고 생각한다.
그 예가 가족농원의 개념이다.
세 번째, 직거래에 대한 견해이다.
농산물 직거래의 경우 소규모의 방식으로는 이루기가 힘들다.
주된 이유는 생산자주도의 소규모 직거래는 생산자가 직접 거래를 위한 마케팅이 힘들고 그 양이 한정되어 있으며 소비자의 경우에는 정보를 입수하더라도 믿음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 각 생산지역의 농협과 소비지역의 농협이 서로 연계하여야 보다 효율적인 거래가 이루어질 것이다.
네 번째, 브랜드화의 문제이다.
곡식류의 경우 품질이 종자에 따라 품질이 비슷하고 비교적 재배규모가 크기 때문에 브랜드화가 비교적 용이하다.
하지만 수박이나 딸기 등은 특히 소규모의 개별적 생산으로 브랜드를 만들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런 경우 마찬가지로 농협이나 협동기관에서 재배관리를 통한 품질을 통일시켜 지역브랜드를 만드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다섯 번째, 농산물의 수급 불안정의 문제이다.
계절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장기 저장 할 수 있는 창고와 그러한 창고들을 대형화하여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 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야 된다고 생각한다.
여섯 번째, 유통 업체의 대형화로 인하여 도매 기능의 효율의 문제이다.
대형 유통 업체들로 인하여 도매상들의 기능이 저하되고 있으며 앞으로는 대형 유통업체들의 농산물 시장의 성장으로 더욱 도매상의 기능이 약화 될 것이다. 물류 효율 또한 저하 될 것이다. 이러한 개선하기 위하여 지역 수집상에게 도매상의 기능을 부가 시켜서 도매의 기능과 직거래의 기능을 같이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
참고 문헌 ------------------------------------------------
1. http://bakwun.com.ne.kr/(김희경의 인터넷 농업 교육)
2. http://www.sunong.hs.kr/kiss59/study_bank.htm(농산물 유통 교실 학습 자료실)
3. http://cgi.chollian.net/~lyklee/spboard/board.cgi?id=aggi&action=view&gul=1377&page=1&go_cnt=0&gubun=sub_cmt&keyword=유통&start_num=(농업 경제 자료실)
4. http://www.hopia.net/ries/jes/jes_k_agr00/jes_k_agr03.htm#30
5. http://www.invagri.com/view.asp?strno=457(환경 농업)
6. http://yuksa.new21.org/data/so2-422-4.htm
7. http://www.kamis.co.kr/jsp/inquiry/DItem.jsp(농산물 유통 정보)
8. http://www.afmc.co.kr/(농산물 유통 공사)
9. http://www.maf.go.kr/(농림부)
10. http://www.garak.co.kr/(농수산물 공사)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4.07.28
  • 저작시기2004.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20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