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시대구분의 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대구분론의 전개 과정

(2) 전근대사의 시대구분
국가의 성립
고대사회에서 중세사회로의 전환
중세사회의 성격 및 그 내부에서의 사회적 변동

⑶ 근현대사의 시대구분
중세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이행
근대사회의 성격
현대사회의 성격과 그 구분 여부

(4)시대구분의 과제

본문내용

의 건설이 이루어진 해방이후의 시기를 현대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북한의 경우 초기에는 1945년 이후 사회주의 건설 시기를 현대사로 파악하였다. 그러나 주체사관이 성립된 이후에는 현대사를 1926년 이후 반제반봉건 민주주의혁명운동의 시기와 1945년이후 사회주의 건설의 시기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인민대중이 지도와 결합하여 반제반봉건 민주주의혁명단계에 진입한 현대사의 기점으로 1926년 타도제국주의동맹의 결성을 제시하였다.
현대사회에 대하여는 그것을 한 시대로서 설정할 수 있는가 하는 점에 의견의 차이가 있다. 북한학계에서는 대체로 현대사회를 독자적인 시대로 구분하고 있지만 남한학계에서는 현대사회의 설정 자체에 회의를 표시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근대사회를 민족통일의 완성으로 보는 견해에서는 분단극복이 근대사의 과제로 파악되고 따라서 아직 근대사회가 지속되고 있다고 본다.
(4)시대구분의 과제
시대구분의 과제는 여러 측면에서 지적할 수 있지만, 세계사적 보편성과 한국사에서 나타난 특수성개별성을 어떻게 상호 관련지어 이해해야 할 것인가 하는 점이 한국사 시대구분의 가장 심각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시대구분의 기준과 관련하여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은 인류사의 발전이 전근대와 근현대에 있어서 상이한 양상을 보인다는 점이다. 전 근대의 역사는 지역사적 성격을 지니고 근현대의 역사는 한범주의 세계사적 성격을 지닌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아시아사, 유럽사, 아프리카사, 아메리카사 등은 각각 지역적으로 역사전개의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이들 지역적 특징을 인정하면서 세계사적 보편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렇게 볼 때 특수성은 한 나라의 후진적 특수성으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개성을 지닌 개별성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각 나라의 개별성이 지역사적 보편성을 구성하고 이것이 다른 지역사의 보편성과 대비됨으로써 세계사적 보편성을 확인하는 방향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보편적역사발전은 개별적 역사발전과정에서 그 자신을 구체화하며 개별적 역사발전은 보편적 역사발전의 법칙을 확립하는 구성요소가 되는 것이다.
시대구분은 역사발전의 법칙적 과정을 단계적으로 구분하여 이해하기 때문에 역사의 단절성을 강조하게 됨으로써 역사의 연속성을 무시하는 한계를 지니기도 한다. 인류사회를 통틀어 장기간에 걸쳐 살필 수 있는 문제들을 간과하게 되고, 시대구분의 확정이 여러 구체적 연구결과를 그 틀에 맞추도록 강요하기도 한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시대구분은 역사발전의 원리를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현재사회의 구조와 미래사회를 전망하는 데 기여함으로써, 역사의 종합과 체계화, 그리고 역사적 실천을 위하여 중단할 수 없는 과제이다.
‡참 고 문 헌‡
한국역사연구회 / 한국역사입문① / 풀빛 / 1997
강만길 / 고쳐쓴 한국 현대사 / 창착과 비평사 / 1994
이기백 / 한국사 신론 / 일조각 / 1994
/ 한국사 강의 / 한울 아카데미 / 1996
김영미강봉룡안병우 / 「식민지 조선사회를 어떻게 볼 것인가」/ 『역사와 현실』/1994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0.02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692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