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쓰기 언어의 3가지 영역: 쓰기 표현, 철자, 필체
Ⅰ. 쓰기 표현
2. 쓰기과정
3. 쓰기과정의 단계들
4. 쓰기과정을 가르치는 원리(쓰기과정 교수원리)
5. 컴퓨터와 워드프로세서
Ⅱ. 철자
1. 철자학습의 발달단계
2. 철자에 관련된 문제
3. 창안된 철자(Invented Spelling)
4. 철자를 위한 인지학습 전략
5. 철자 교수시 단어선택의 두 가지 이론
6. 철자사정
Ⅲ. 손으로 쓰기(필체)
1. 필기체 쓰기 대 인쇄체 쓰기
2. 왼손잡이 학생
3. 키보드 또는 티이핑 기술
Ⅳ. 교수전략들
1. 문어표현 교수전략들
2. 워드프로세스 이용전략들
3. 철자교수 전략들
4. 손으로 쓰기 교수전략들
Ⅰ. 쓰기 표현
2. 쓰기과정
3. 쓰기과정의 단계들
4. 쓰기과정을 가르치는 원리(쓰기과정 교수원리)
5. 컴퓨터와 워드프로세서
Ⅱ. 철자
1. 철자학습의 발달단계
2. 철자에 관련된 문제
3. 창안된 철자(Invented Spelling)
4. 철자를 위한 인지학습 전략
5. 철자 교수시 단어선택의 두 가지 이론
6. 철자사정
Ⅲ. 손으로 쓰기(필체)
1. 필기체 쓰기 대 인쇄체 쓰기
2. 왼손잡이 학생
3. 키보드 또는 티이핑 기술
Ⅳ. 교수전략들
1. 문어표현 교수전략들
2. 워드프로세스 이용전략들
3. 철자교수 전략들
4. 손으로 쓰기 교수전략들
본문내용
팅이나 쓰기
- 소금, 모래, 진흙쌓기,
- 손가락이나 막대기 이용하여 형태, 문자, 수
- 젖은 스폰지로 칠판 위에 그리기
3) 자세확립:
의자에 편안히 앉고, 적당한 높이의 탁자, 발을 편편하게 놓고, 두 앞부분 팔을 종이위에, 직접 쓰지 않는 손은 종이 윗부분을 잡아야
4) 종이: 인쇄체 쓰기를 위해 종이를 경사지지 않게 똑바로
필기체 쓰기를 종이를 60도 기울게(수평선에서 오른손잡이에게는 왼쪽으로, 왼손잡이에게는 오른쪽으로)
5) 펜잡기
많은 쓰기장애 아동은 적절히 손가락으로 펜을 잡는 법을 모르거나 잡을 수 없다. 적절한 펜위치에 테이프나 고무밴드를 부착할 수, 잡기곤란 아동에게는 펜에 골프공을 끼워서 이용할 수도, 진흙을 펜손잡이 테두리에
- 큰 사이즈 연필, 큰 크레용, 펠트팁 펜이 쓰기초보 단계에 유용,
- 짧은 펜 이용은 좋지 않다.
6) 형판
- 카드나 플라스틱 판에서 기하도형, 문자, 숫자를 오려낸 것
- 손가락, 펜, 크레용으로 추적 후 판을 떼어 낸다→형태, 문자가 만들어진다
7) 추적
- 형태나 문자를 추적: 대각선, 원으로 시작→수평, 수직선, 기하도형,→문자, 숫자
- 크레용이나 펜으로 종이 위에서 추적
- 문자를 투명종이에 놓고 칠판이나 대형종이에 글자상을 투사
8) 선사이로 그리기
- 다양한 넓이와 모양의 이중선 사이로 길만들기→문자의 이중선 사이로 문자쓰기
- 화살표와 숫자로 선이 지시(방향)와 순서를 표시
9) 점 잊기
완전한 형태를 그리고 → 같은 형태를 점으로 그리고 → 점을 연결해서 형태를 만들도록
10) 단서줄이기 추적: 처음에는 완전한 문자나 단어를 쓰고 추적 → 첫부분만 쓰고 학생이 추적하고 완성하게 → 상위 획에만 단서를 주고 학생이 전체를 쓰게
11) 선 그어진 종이 이용: 선이 그어진 종이를 이용하면 후에 문자의 공간적 배치에 도움
- 칼라 단서가 있는 선 그어진 종이 이용→문자배치에 도움
12) 형판선:
- 선 안에 쓰기 곤란한 아동을 위해 선 아래와 위에 테이프 부착
- 빳빳한 판에서 창처럼 오려내서 그 공간에 문자를 쓰게
영어에서 1선 문자: a,b,e,i,m,n
영어에서 2선 문자: b,d,h,k,l,t
영어에서 3선 문자: f,g,j,p,q,z,y
13) 문자 난이도
초보문자: m,n,t,u,w,r,s,l,e
어려운 문자: x,z,y,j,p,b,k,f,g,q
복합문자: me,be,go,it,no,등
14) 언어적 단서: 지시를 들음으로서 쓰기운동에 도움. 예) 아래로, 위로...
15) 단어와 문장
- 문자→단어→문장
- 공간배치, 크기, 경사도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쓰기장애의 추가정보>
- 쓰기의 범위는 단순히 글자를 쓰는 낮은 수준의 능력부터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높은 수준의 능력까지 다양.
- 쓰기능력은 듣기, 말하기, 읽기능력이 발달한 후에 발달, 전단계의 어느 부분에서 문제를 지니게 되면 쓰기장애로 연결,
- 많은 아동의 경우 쓰기능력은 읽기능력보다 어려운 과제
ㄱ) 습자
학습장애 아동의 75-90%가 소근육 운동의 장애로 습자에 어려움.
- 습자문제가 있는 아동들은 일반적으로 글 쓰는 속도가 느리고 매우 힘들여 쓰고, 연필을 부자연스럽게, 너무 힘을 주어 잡는다. 연필 및 종이에 필요이상의 힘을 준다. 글씨의 크기, 기울기, 모양이 고르지 못하고, 글자와 글자간, 단어와 단어간에 간격에도 문제가.
◎ 습자문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시지각 문제 - 학습장애 아동의 약 25%가 지각장애(시각적으로 정보를 해독하고 회상하지 못함으)로 습자문제를 갖는다. 글을 쓰다가 글자상을 머리속에 떠올릴 수없어서 가끔씩 멈춘다.
* 통합되지 못한 운동기능 - 종이위에 적절히 움직이지 못한다. 손놀림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어색, 글을 쓸 때 글자를 쓰는 기계적인 일에 너무열중, 산출하는 아이디어는 비조직적, 조잡.
* 부주의 - 써야할 문자나 단어를 자세히 살피지 않고, 본 글자를 정확히 기억해 내지 못하고, 문자들간의 관련성이나 단어들간의 관련성을 파악 못하고, 글자를 바르게 적기 위한 적절한 공간활용 을 계획을 못한다. 난잡하게 쓰고, 잘못 적은 글자 위에 덧쓰기를 하거나, 지우개로 지우더라도 검은 얼룩이 많도록 깨끗이 지우지 않는다.
<도서관 66-67쪽 학습장애 아동의 글씨모형 참조>
ㄴ) 철자쓰기
쓰기장애:
- 난서증(dysgraphia): 손의 근육운동이 정상이고 잘 읽지만 글씨를 쓰는데 곤란.
- 보고는 쓸 수 있으니 구두로 제시하면 쓰는데 곤란.
- 철자법이 틀리거나 문법규칙을 따르기가 곤란.
◎ 학습장애 아동의 철자쓰기 오류형태:
학습장애 아동들은 철자를 쓰는 과정에 필요한 음운론적 규칙, 재표상화, 철자법의식의 곤란이 있다. 청각적 정보처리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단어를 음운론적으로 분석하는데 곤란, 읽기과정에서 접해보지 못한 단어는 적을 수 없다. 시각적 정보처리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읽기과정에서 접하지 못하는 단어도 소리나는데로 쓸 수는 있으나 잘 아는 단어도 재표상화에 곤란이 있다. 청각적 정보처리에 곤란이 있는 아동이 더심한 장애.
- 첨가
- 생략
- 대체
- 소리나는 데로 쓰기
- 모음을 다르게 쓰기
ㄷ) 문어적 표현
- 문어적 표현은 언어발달에서 가장 높은 단계.
초등3 학년-파생어, 접두사, 접미사, 어근, 기타 쓰기 규칙(마침표, 쉼표)을 획득. 간단한 이야기, 시, 편지, 보고서 등의 문어적 표현.
◎ 문어적 표현수준의 범주:
아동들은 5가지 범주에서 점차적인 정교화 체계화를.
이야기- 대상, 등장인물, 시간, 상황을 묘사하는 정도.
유창성- 사용된 단어의 수
응집성- 문장, 생각, 사건 등의 논리적 전개의 정도
현실성- 내용의 현실성
스타일-독특한 작문형태
◎ 학습장애아동의 문어표현 형태:
또래에 비해 여러 측면에서 열등- 사용된 단어수가 적고/ 아이디어 빈약/ 주제가 미성숙/시작과 중간, 끝이 비논리적/등장인물의 동기, 사고, 감정에 대한언급이 빈약하거나 없다/철자가 맞지 않고/ 비교, 대조, 은유의 표현이 거의 없다/ 독특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기보다는 자신이 알고있는 내용을 말한다/ 중심주제 파악이 곤란/ 쓰기전에 준비적인 계획이 없이 무작정 쓰는 경향.
- 소금, 모래, 진흙쌓기,
- 손가락이나 막대기 이용하여 형태, 문자, 수
- 젖은 스폰지로 칠판 위에 그리기
3) 자세확립:
의자에 편안히 앉고, 적당한 높이의 탁자, 발을 편편하게 놓고, 두 앞부분 팔을 종이위에, 직접 쓰지 않는 손은 종이 윗부분을 잡아야
4) 종이: 인쇄체 쓰기를 위해 종이를 경사지지 않게 똑바로
필기체 쓰기를 종이를 60도 기울게(수평선에서 오른손잡이에게는 왼쪽으로, 왼손잡이에게는 오른쪽으로)
5) 펜잡기
많은 쓰기장애 아동은 적절히 손가락으로 펜을 잡는 법을 모르거나 잡을 수 없다. 적절한 펜위치에 테이프나 고무밴드를 부착할 수, 잡기곤란 아동에게는 펜에 골프공을 끼워서 이용할 수도, 진흙을 펜손잡이 테두리에
- 큰 사이즈 연필, 큰 크레용, 펠트팁 펜이 쓰기초보 단계에 유용,
- 짧은 펜 이용은 좋지 않다.
6) 형판
- 카드나 플라스틱 판에서 기하도형, 문자, 숫자를 오려낸 것
- 손가락, 펜, 크레용으로 추적 후 판을 떼어 낸다→형태, 문자가 만들어진다
7) 추적
- 형태나 문자를 추적: 대각선, 원으로 시작→수평, 수직선, 기하도형,→문자, 숫자
- 크레용이나 펜으로 종이 위에서 추적
- 문자를 투명종이에 놓고 칠판이나 대형종이에 글자상을 투사
8) 선사이로 그리기
- 다양한 넓이와 모양의 이중선 사이로 길만들기→문자의 이중선 사이로 문자쓰기
- 화살표와 숫자로 선이 지시(방향)와 순서를 표시
9) 점 잊기
완전한 형태를 그리고 → 같은 형태를 점으로 그리고 → 점을 연결해서 형태를 만들도록
10) 단서줄이기 추적: 처음에는 완전한 문자나 단어를 쓰고 추적 → 첫부분만 쓰고 학생이 추적하고 완성하게 → 상위 획에만 단서를 주고 학생이 전체를 쓰게
11) 선 그어진 종이 이용: 선이 그어진 종이를 이용하면 후에 문자의 공간적 배치에 도움
- 칼라 단서가 있는 선 그어진 종이 이용→문자배치에 도움
12) 형판선:
- 선 안에 쓰기 곤란한 아동을 위해 선 아래와 위에 테이프 부착
- 빳빳한 판에서 창처럼 오려내서 그 공간에 문자를 쓰게
영어에서 1선 문자: a,b,e,i,m,n
영어에서 2선 문자: b,d,h,k,l,t
영어에서 3선 문자: f,g,j,p,q,z,y
13) 문자 난이도
초보문자: m,n,t,u,w,r,s,l,e
어려운 문자: x,z,y,j,p,b,k,f,g,q
복합문자: me,be,go,it,no,등
14) 언어적 단서: 지시를 들음으로서 쓰기운동에 도움. 예) 아래로, 위로...
15) 단어와 문장
- 문자→단어→문장
- 공간배치, 크기, 경사도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쓰기장애의 추가정보>
- 쓰기의 범위는 단순히 글자를 쓰는 낮은 수준의 능력부터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높은 수준의 능력까지 다양.
- 쓰기능력은 듣기, 말하기, 읽기능력이 발달한 후에 발달, 전단계의 어느 부분에서 문제를 지니게 되면 쓰기장애로 연결,
- 많은 아동의 경우 쓰기능력은 읽기능력보다 어려운 과제
ㄱ) 습자
학습장애 아동의 75-90%가 소근육 운동의 장애로 습자에 어려움.
- 습자문제가 있는 아동들은 일반적으로 글 쓰는 속도가 느리고 매우 힘들여 쓰고, 연필을 부자연스럽게, 너무 힘을 주어 잡는다. 연필 및 종이에 필요이상의 힘을 준다. 글씨의 크기, 기울기, 모양이 고르지 못하고, 글자와 글자간, 단어와 단어간에 간격에도 문제가.
◎ 습자문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
* 시지각 문제 - 학습장애 아동의 약 25%가 지각장애(시각적으로 정보를 해독하고 회상하지 못함으)로 습자문제를 갖는다. 글을 쓰다가 글자상을 머리속에 떠올릴 수없어서 가끔씩 멈춘다.
* 통합되지 못한 운동기능 - 종이위에 적절히 움직이지 못한다. 손놀림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어색, 글을 쓸 때 글자를 쓰는 기계적인 일에 너무열중, 산출하는 아이디어는 비조직적, 조잡.
* 부주의 - 써야할 문자나 단어를 자세히 살피지 않고, 본 글자를 정확히 기억해 내지 못하고, 문자들간의 관련성이나 단어들간의 관련성을 파악 못하고, 글자를 바르게 적기 위한 적절한 공간활용 을 계획을 못한다. 난잡하게 쓰고, 잘못 적은 글자 위에 덧쓰기를 하거나, 지우개로 지우더라도 검은 얼룩이 많도록 깨끗이 지우지 않는다.
<도서관 66-67쪽 학습장애 아동의 글씨모형 참조>
ㄴ) 철자쓰기
쓰기장애:
- 난서증(dysgraphia): 손의 근육운동이 정상이고 잘 읽지만 글씨를 쓰는데 곤란.
- 보고는 쓸 수 있으니 구두로 제시하면 쓰는데 곤란.
- 철자법이 틀리거나 문법규칙을 따르기가 곤란.
◎ 학습장애 아동의 철자쓰기 오류형태:
학습장애 아동들은 철자를 쓰는 과정에 필요한 음운론적 규칙, 재표상화, 철자법의식의 곤란이 있다. 청각적 정보처리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단어를 음운론적으로 분석하는데 곤란, 읽기과정에서 접해보지 못한 단어는 적을 수 없다. 시각적 정보처리에 문제가 있는 아동은 읽기과정에서 접하지 못하는 단어도 소리나는데로 쓸 수는 있으나 잘 아는 단어도 재표상화에 곤란이 있다. 청각적 정보처리에 곤란이 있는 아동이 더심한 장애.
- 첨가
- 생략
- 대체
- 소리나는 데로 쓰기
- 모음을 다르게 쓰기
ㄷ) 문어적 표현
- 문어적 표현은 언어발달에서 가장 높은 단계.
초등3 학년-파생어, 접두사, 접미사, 어근, 기타 쓰기 규칙(마침표, 쉼표)을 획득. 간단한 이야기, 시, 편지, 보고서 등의 문어적 표현.
◎ 문어적 표현수준의 범주:
아동들은 5가지 범주에서 점차적인 정교화 체계화를.
이야기- 대상, 등장인물, 시간, 상황을 묘사하는 정도.
유창성- 사용된 단어의 수
응집성- 문장, 생각, 사건 등의 논리적 전개의 정도
현실성- 내용의 현실성
스타일-독특한 작문형태
◎ 학습장애아동의 문어표현 형태:
또래에 비해 여러 측면에서 열등- 사용된 단어수가 적고/ 아이디어 빈약/ 주제가 미성숙/시작과 중간, 끝이 비논리적/등장인물의 동기, 사고, 감정에 대한언급이 빈약하거나 없다/철자가 맞지 않고/ 비교, 대조, 은유의 표현이 거의 없다/ 독특한 이야기를 만들어 내기보다는 자신이 알고있는 내용을 말한다/ 중심주제 파악이 곤란/ 쓰기전에 준비적인 계획이 없이 무작정 쓰는 경향.
추천자료
말하기,듣기,쓰기 교과수업양상 연구
[문학교육원론]`바꾸어 쓰기`를 통한 희곡 교수-학습
음성언어 발달과 읽기발달 및 쓰기 발달
깨닫는 즐거움. 과정중심 쓰기 지도
비판적 역사 읽기와 역사 쓰기
우리말, 우리말 제대로 알고 쓰기
초등국어교육 - '쓰기'영역 재구성 및 수업지도안
영유아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에 관심을 갖기 위한 언어활동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각 ...
[국어교육론] 쓰기 교육
초등학교 영어동시를 활용한 읽기, 쓰기 지도 방법
인터넷을 활용한 역사 그림일기 쓰기 수업 시 발생하는 학습 효과와 문제점
이메일 주문형 뉴스의 주관적 기사쓰기 방식에 관한 연구
사범대학 한문교육과 학생들의 쓰기 태도에 대한 인식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