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사]황지우 시세계 연구-1980년대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학사]황지우 시세계 연구-1980년대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황지우가 바라보는 자신의 시: 모던리얼리스트
모던리얼리스트, 비평, <제1한강교에 날아든 갈매기>
2. 비평가와 학자들이 바라보는 황지우 시
1) 해체시
(1)해체시의 기원과 특성, 그리고 의의
(2)황지우의 해체시에 대한 비평: 찬사와 비판
2) 은밀한 정치성
3) 남성적 낭만주의
4) 연극적인 구성을 통한 불합리한 세계와 자아에 대한 부정
3. 우리가 바라보는 황지우 시
비평, <제1한강교에 날아든 갈매기>

III.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
그리고 아파트가 상징하는 모던한 사회에 대한 공포와, 군부와 군부의 지배의 역사에 대한 부정, 거기에서 벗어나 새로운 대안을 탐색하는 이 시에서의 시인의 숨결은 시인 자신이 명명한 ‘모던 리얼리스트’의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이 시는 황지우 시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또한 황지우가 선택한 현실에 대한 저항의 일부인 해체시적이고 실험적인 특징이 잘 나타나지는 않으며, 그가 선택하는 관습적인 상징에 부합하지 않는 시어를 선택하기도 한다. 그리고 서사적인 구조는 좀 더 해체적인 시와 달리 시의 이해를 쉽게 해주는 면이 있다. 또, 첨언하자면, 이 시는 황지우의 교묘한 풍자와 달리 조금은 직접적인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그의 시의 맛을 떨어뜨린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해보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이 시는 ‘새들도 세상을 뜨는 구나’라는 시집의 일관성에 부합하는 작품이라고 생각되며, 황지우의 80년대의 시의 특징과 그 한계까지 고스란히 지니고 있는 작품이라고 판단된다.
III. 결론
지금까지 황지우의 1980년대 시에 대해서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 측면은 황지우 시인 자신에 대한 스스로의 관점으로써, 황지우는 모던 리얼리스트라는 용어로 자신을 규정하였다. 두 번째는 비평가와 학자들이 밝혀낸 황지우 시인과 시에 대한 특징들이었다. 해체시, 은밀한 정치성, 남성적 낭만주의, 연극적 구성이라는 네 가지 견해를 큰 틀로 잡아서 학자들이 밝혀낸 연구결과들을 비판적 시각으로 구체적으로 서술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황지우의 시 중 <제1한강교에 날아든 갈매기>를 우리 스스로 창조적으로 분석하고 비평해보는 일이었다. 이러한 창조적 분석 작업은 우리가 황지우 자신과 학자들이 언급하는 황지우 시의 특징들을 좀더 실제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그의 시의 숨겨진 매력들에 대해 더 감탄할 수 있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우리의 작업은 1980년대 시들을 중심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1990년대 이후인 현재의 황지우의 시세계에 대해서는 거의 알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닌다. 실제로 많은 평론가들은 1990년대 이후 사회주의의 몰락과 함께 황지우의 시도 상당한 변모를 변했다고 설명한다. 특히 80년대 그의 해체시와 날카로운 사회인식에 열광했던 이들은 1990년대의 황지우 시에 나타난 ‘일상성’과 ‘선(禪)’의 세계관에 몰입하면서 세상과의 화해를 시도하는 그의 모습에 실망감을 나타내기도 한다. 박순재, 「황지우의 시 연구」, 『성신 어문학』, 제6집, 돈암어문학회, 1994.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해체시의 자유정신이 불교의 선사상과 맞닿아 있다 김준오, 『해체시와 도시시』, 문학과 비평사, 1992, pp. 147-8.
는 측면에서 봤을 때, 90년대 이후의 그의 시에서 보인다는 선의 세계관은 80년대의 해체시를 더 발전시키는 과정이 아닐까 하고 생각해본다.
류철균은 “문학작품이 갖는 총체적인 의미는 어떠한 비평적 논점으로도 완벽히 포착될 수 없고...(중략)... (비평은) 작품이 갖는 총체성에 비한다면 극히 미미한 것이며 단지 그 객관적인 의의의 일단을 밝히는 데 불과한 작업”이라고 설명한다. 류철균, 「현실인식과 시적 형식의 대응구조-황지우론」, www.glinhwa.com/hom.htm, p.7.
1980년대 황지우 시인에 대해 완벽하게 분석하려는 처음의 우리의 의지는 황지우에 관해 연구를 거듭할수록 한풀 한풀 꺾여나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완벽한 포착은 불가능하다는 류철균이 말로서 우리는 우리의 연구가 처음의 바람대로 되지 않은 채 결론을 맺어야 한다는 아쉬움을 달래고, 황지우 시인에 대한 일단이라도 파악했다는 점에서 위안을 삼아본다.
참고 문헌
-단행본-
고현철, 『비평의 줏대와 잣대』, 새미, 2001.
김길수, 『우리시대 삶과 연극의 조망』, 현대미학사, 1997.
김준오, 『해체시와 도시시』, 문학과 비평사, 1992.
김준오, 『시론』, 삼지원, 2000.
김현, 『젊은 시인들의 상상세계/말들의 풍경. 김현 문학전집6』, 문학과 지성사, 1994.
윤여탁 외, 『시와 함께 배우는 시론』, 태학사, 2002.
이광호. 「초월의 지리학」,『황지우 문학앨범』, 웅진출판, 1995.
임동확,「솔섬에서 율도국, 화엄에서 진흙밭으로의 시간여행」,『황지우문학앨범』, 웅진출판, 1995.
주인석, 『통일밥』, 제3문학사, 1990.
황지우,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민음사, 1985.
황지우, 『나는 너다』, 풀빛, 1987.
황지우,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문학과 지성사, 2001.
황지우,「끔찍한 모더니티」, 『황지우문학앨범』, 웅진출판, 1995,
-논문 및 비평-
김윤식, 「한국문학의 두 가지 지향성의 변증법」, www.critics.com.
김현자,「김소월 시의 극적 구성과 미적 거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17집, 2002,
류철균, 「현실인식과 시적 형식의 대응구조-황지우론」, www.yiinhwa.com
박순재, 「황지우의 시 연구」, 『성신 어문학』, 제6집, 돈암어문학회, 1994.
서강목, 「시인이 희곡을 쓴 사연-황지우론」, 『실천문학』, 2004년 봄호, 실천문학사, 2004.
연은순, 「80년대 해체시의 한 양상 연구」, 『비평문학』, 제 13호, 한국비평문학회, 1999,
오세영, 「80년대 한국의 민중시」, www.critics.com.
이광호, 「모순으로서의 근대문학사」, www.critics.com.
이성우, 「1990년대 한국현대시에 나타난 이념의 아노미와 전환기적 모색: 박노해와 황지우 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3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4.
이윤택,「시와 연극의 만남」,『시와 시학』, 시와 시학사, 1991년 겨울호.
이형권, 「80년대 해체시와 아버지 살해 욕망: 황지우, 박남철, 장정일의 시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제 43집, 어문연구학회, 2003.
황지우, 「근대적인 것의 붉은 반점-한국 현대시의 리터리티, 기능, 양식」, 제2회 서울국제문학포럼, 2005.
황지우,「나는 이렇게 쓴다」, 『사상문예운동』, 89년 겨울호.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6.04.25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59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