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 3성에 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동북 3성 개황
1)요녕성
2)길림성
3)흑룡강성

2. 동북 3성의 중요성
1)동북 3성의 천연자원과 생산량
2)동북 3성의 GDP

3. 동북공정에 관한 고찰
1)세계질서 재편에 대한 중국내의 4가지 시각
2)실용주의적 대외정책
3)중국 지도부가 취하고 있는 중국 대외정책의 목표

4. 동북 3성 진흥계획
1)목표 및 수립 배경
2)동북 3성 진흥계획의 세부 내용

5. 동북 3성과 주변국
1)동북3성의 무역현황
2)동북3성의 지리적 조건과 주변국과의 관계
3)러시아
4)일본
5)북한

본문내용

국에서 생산하겠다는 기업도 조금씩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의 입장에서 중국은 세계적인 큰 시장이다. 보다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기 위해 현재 중국의 대륙횡단철도는 유럽까지 연결되는 철로를 건설 중이다. 한국의 경우 남북한이 남북철도를 연결하면, 중국과 러시아, 유럽까지 연결되어 진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한국과 대륙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해저터널을 이용하여 한국과 같이 일본에게 유리한 조건을 만들어서 큰 이익을 기대하고 있다. 우선 대륙횡단 철도가 연결 되면, 운송비 절감을 할 수 있고, 보다 쉽게 중국은 물론 유럽까지 접근할 수 있는 접근성이 뛰어나 중국과 유럽의 진출이 보다 활발해 질것이다. 항만 시설의 이용보다 위험성도 보다 적고, 시간적으로도 훨씬 유리할 수 있기 때문에 일본은 해저터널을 건설을 추진하고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철도가 유럽까지 연결되는 것을 가정해 보았을 때에 한국과 중국, 러시아 세 나라는 자신의 나라가 정거장 역할을 한다면, 그로 인한 경제적인 이득도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본의 중국 진출계획에도 문제점이 가능할 수 있다. 과거 한국, 북한, 중국 등과 역사 문제로 인하여 자칫 불매운동 등과 같은 일본에 대한 불신이 생겨난다면, 경제에도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또 일본과 북한간의 국교 교섭의 지연, 러시아의 아시아 태평양지역으로의 진출에 대한 중국의 경계, 일본 러시아 간의 북방4도 반화문제에 따른 마찰 등이 아직 미해결된 상태로 남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이 중국은 물론, 주변국가와의 갈등으로 붉어진다면, 일본 기업의 중국 진출이 난항을 겪을 것이다.
5)북한
동북 3성 가운데 2개성(길림성, 요녕성)은 북한과 접해있다. 북한의 중국에 대한 의존도는 잘 알려진 사실이다. 중국은 북한에 대해 유일한, 최대의 후원자역할을 떠맡았다.
북한의 중국과의 무역의존도가 심화된 데에는 북일관계 악화로 인해 대일수출물량이 상당 부분 중국으로 전환되었다는 점과 북핵문제와 관련해 국제사회의 대북지원이 줄어들자 북한은 부족한 에너지, 식량은 중국으로부터 조달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북한의 산업은 현재 동북 3성과의 연계성이 강하다는 점이다. 즉 북한이 중국에서 수입하는 물자의 대부분은 동북 3성에서 나오는 것이다. 게다가 북한의 경제개혁 이후 중국자본들의 북한 진출이 활기를 띨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북한의 그 주요지역으로 나진선봉 경제무역지대를 볼 수 있다. 나진선봉 지역은 북한의 경제개혁과 개방을 선도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급격한 시장경제화에 대한 평양의 정책으로 인해 1998년 4월 공식 명칭도 자유경제무역지대에서 경제무역지대로 변경되었다.
중국이 훈춘을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지점이라고 생각한다면, 북한에게서의 훈춘은 나진선봉경제특구를 살릴 수 있는 지점이다.
나진선봉 특구는 북한의 개방을 이끌 견인차 구실을 할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은 우선 철도와 도로 등 편리한 교통을 이용해 이 지역을 대외 중개수송업의 메카로 만든다는 목표를 세워놓고 있다. 특히 태평양으로 통하는 항구가 없는 중국은 나진항 의존도가 높은 편이다. 또한 나진선봉 특구는 러시아가 시베리아 철도 개발에 박차를 가하면서 더욱 부각되고 있다.
북한의 개방은 동북3성 재건의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남한과의 연결도 중요하지만 일본과의 연결도 중요하다. 북한이 개방하기만 한다면 자본과 기술이 풍부한 남한 및 일본과의 연계 가능성도 비약적으로 증가할 뿐만 아니라 동북3성은 중국의 광대한 내륙지역과 한반도 및 일본을 연결하는 전략적인 요충지로 발돋움할 수 있다.
◎시베리아 철도
러시아 서(西)시베리아 지방의 첼랴빈스크에서 블라디보스토크까지를 연결하는 대륙횡단철도. 정식으로는 ‘대시베리아철도’ 또는 ‘시베리아횡단철도’라고 한다. 이 철도는 1850년대 극동지방의 군사적 의의(意義)의 증대, 시베리아 식민, 대중국무역 등을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철도의 예정선은 종래의 철도의 예정선은 종래의 시베리아 가도(街道)를 따라 건설하기로 계획하고 1887년에 조사를 시작하여 1891년부터 다음해에 걸쳐 착공하였으며, 1897년에는 부분적으로 첼랴빈스크∼이르쿠츠크가 개통되었다. 특히 러시아·일본 간의 긴장으로 갑자기 공용(供用)을 개시하기 위해서 바이칼 호상(湖上)에 주정교(舟艇橋)를 설치, 연락했기 때문에 화제가 되었으며, 또 만저우리[滿州里]에서 둥칭철도[東淸鐵道]를 중간에서 이용하여 합선(合線)하는 등의 방법을 취하기도 하였다. 러 ·일전쟁 후 하바로프스크를 경유하여 국내만을 통과하는 본래의 시베리아철도 전간이 개통하게 된 것은 1916년이었는데 총공사비는 10억 루불에 달하였다. 시베리아철도는 러 ·일전쟁에 의해서 그 군사적 의의가 실증되었으나, 동시에 척식철도(拓殖鐵道)로서의 성격을 띠었다. 철도에 의한 이민은 1891∼99년간에 113만에 이르렀으며 첼랴빈스크에서 이르쿠츠크 간의 철도 수송인원은 1900년에 97만에서 1914년에는 517만으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1937년 전 구간의 복선화가 완성되었으며, 아울러 제2차 세계대전 중 국방에 기여한 역할은 매우 컸다. 현재 거의 전선이 전화(電化)되었으며 서쪽으로부터 투르크시브 철도, 남(南)시베리아철도, 바이칼호와 레나강 유역을 연결하는 바이칼-아무르 철도 등의 지선이 본선에서 갈라진다. 시베리아철도는 동서 2개의 총관리국이 있고 다시 그 밑에 10개의 관리국을 두어 관리하고 있다. 또 모스크바∼블라디보스토크의 9,334 km를 운행하는 열차는 세계에서 가장 긴 직통열차로도 유명하다.
*목 차
1. 동북 3성 개황
1)요녕성
2)길림성
3)흑룡강성
2. 동북 3성의 중요성
1)동북 3성의 천연자원과 생산량
2)동북 3성의 GDP
3. 동북공정에 관한 고찰
1)세계질서 재편에 대한 중국내의 4가지 시각
2)실용주의적 대외정책
3)중국 지도부가 취하고 있는 중국 대외정책의 목표
4. 동북 3성 진흥계획
1)목표 및 수립 배경
2)동북 3성 진흥계획의 세부 내용
5. 동북 3성과 주변국
1)동북3성의 무역현황
2)동북3성의 지리적 조건과 주변국과의 관계
3)러시아
4)일본
5)북한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6.05.11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489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