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림과 훈구의 역사적 인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림과 훈구의 역사적 인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머리말

2. 새로운 정치세력의 등장- 사림의 성장과 사회적 성격

3. 사림ㆍ훈구의 새로운 접근- 사림성격의 재인식

4. 맺음말

본문내용

사회적ㆍ정치적 대립 16세기 사림계열은 재지사족이라는 입장에서 밑으로는 농민층의 저항과 위로는 훈척세력의 침탈이라는 이중 적 대립을 받았다.
속에서 자신의 세력을 유지ㆍ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된 것이었다. 즉, 長幼有序규범이 재지사족과 농민에게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 재지사족 상호간의 나이에 의한 규정으로, 농민까지 포함한 촌락사회 전체에서는 재지사족이 長, 농민은 幼 로 규정하는 차이를 보인다.
은 이 규범이 신분계급제 이데올로기라는 점을 명확히 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사림이 주도하고 있는 16세기는 분명 신분계급제 사회였으며, 15세기 훈구가 그러했듯이 재지사족과 농민이라는 계급적 대립관계와 지배ㆍ예속의 관계를 장유라는 도덕적 윤리관계로 설명함으로써, 인간관계의 본질적 성격을 왜곡ㆍ은폐하여 신분계급제 사회질서를 유지ㆍ강화하려는 목적을 알 수 있다.
물론, 15세기 이전의 지배계급은 농민과의 관계를 奴主之分의 윤리로 인격적 예속ㆍ복종의 관계로 규정했다. 이에 비해 16세기 재지사족은 長幼有序 윤리로 농민과의 관계를 규정하였으며, 朋友라는 윤리는 학연이라는 새로운 유대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좀 더 진보적인 성격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이 진보적이라 할지라도 그것은 어디까지나 신분계급제의 이데올로기에서의 기본성격을 벗어나는 것은 아니고, 상대적인 것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4. 맺음말.
지금까지의 연구를 정리해보면, 조선초기는 사회변동 진행이 심각했던 시기로 조선의 지배층은 사림이라는 새로운 세력의 도전을 받아 ‘지배세력의 교체로 인한 사회발전’이라는 측면이 강조되어 진행되어왔다.
이러한 이태진의 연구결과는 사림의 성장과 향촌사회 관해 지나치게 대립적이고, 사회계층간의 대립으로 보는 태도를 견지한다면, 이 시대 조선사회 연구의 상당한 기여를 하였다고 생각된다. 특히, 고려말까지 지방세력은 중앙의 명문 귀족들과는 차등적 계층으로, 국가 주요결정에 관여할 수 없었으나, 조선 성종ㆍ중종 대 향촌사회가 발전하여, 중앙의 명문가문과 지방에 거주하는 사대부 가문이 신분상 구분 폭이 줄어들었으며, 지방에 거주하면서 중앙의 정치에 영향력을 주는 세력도 존재하였음을 주목한 것은 의미있는 결과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변동의 전개와는 정반대되는 측면을 사림은 분명가지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훈구 사림을 대립적으로 파악하고 지배계층의 교체로 사회발전을 논하는 것은 어느 한면 만을 지나치게 강조하고, 반대되는 면은 도외시하여 당시의 사회를 종합적으로 보지 못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즉 발전이라는 측면에 묶여 오늘날의 안목으로 당시 사회를 이해하려고 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그러므로, 조선초기의 사림과 훈구의 역사적 인식은 조선사회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조선사회 변동의 면과 같이 했음을 균형적인 안목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들어, 16세기 새로운 세력으로써의 사림의 성장이라는 인식은 그들이 보급한 유교윤리에서 이데올로기적 성격과 진보적 성격이 16세기 이후, 사림에게 부과되었던 이중적 대립이라는 과제가 해결되고, 그들이 촌락과 중앙정계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는 지배층이 되었을 때 그것이 어떤 현실적 의의를 갖고 있었는지를 평가하여야만 사림의 성격이 분명해 질 것으로 생각된다.
# 참고문헌
정두희, <조선전기 지배세력의 형성과 변천>, <<한국 사회발전사론>>, 일조각, 1992 .
최이돈, <훈구와 사림의 역사적 인식>, <<전근대사의 주요쟁점>>, 역사비평사. 2002
이태진, <사림파의 유향소 복립운동>, <<진단학보>> 34, 35, 1972, 1973.
-----, <14-15세기 농업기술의 발달과 신흥사족>,<<동양학>>9, 1978
-----, <천방관개의 발달과-사림세력 대두의 경제적 배경일단>, <<한탁근박사 정년기념 사학사논총>>, 1981
-----, <16세기 연해지역의 언전 개발>, <<김철준박사 회갑기념사학논총>>, 1981.
-----, <사림파의 향약보급운동>, <<한국문화>> 4, 1983.
--------------------------------------------------------------------이상은 이태진, <<한국 사회사연구>>, 지식산업사, 1986에 수록되어있다.
이태진, <조선전기 향촌질서>, <<동아문화>> 13, 1976.
-----, <고려말 조선초의 사회변화>, <<진단학보>> 55, 1983.
-----, <사림과 서원>, <<한국사>>12, 국사편찬위원회, 1978; <<조선 유교사회사론>>,지 식사업사, 1989.
이수건, <<영남사림파의 형성>>,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979.
최이돈, <<조선 중기 사림정치구조 연구>>, 일조각, 1994.
서평 김태영, <<한국 사회사연구>>(이태진), <<역사학보>>110,,1986.
서평 최완기, <<조선 유교사회사론>>(이태진), <<역사학보>>123, 1989.
서평 김동수, <<조선 유교사회사론>>(이태진), <<사회과학논평>>9, 1991.
이병휴, <<조선 전기 기호사림파의 연구>>, 일조각, 1984
----, <<한국중세사회사 연구>>, 일조각, 1986.
Edward W. Wagner, <이조 사림문제에 관한 재검토>, <<전북사학>> 4, 1980.
정두희, <<조선 성종조 대간 연구>>, 한국연구원, 1986.
-----, <<조선시대 대간제도>>, 일조각, 1994.
박평식, <여말선초의 상업인식과 억말책>, <<조선전기 상업사연구>>, 지식산업사, 1999.
-----, <상업론의 발전과 상업정책의 변화>,<<조선전기 상업사연구>>, 지식산업사, 1999.
김훈식, <16세기 이륜행실도 보급의 사회사적 고찰>, <<역사학보>> 107.
-----, <중종대 경민편 보급의 고찰>, <<이재룡박사 환력기념 한국사학논총>>, 1990.
윤정, <조선 중종대 훈구파의 산림천택운영과 재정확충책>, <<역사와 현실>> 29, 1999.
---, <조선 중종 전반기 정국구도와 정책론>, <<역사와 현실>> 25, 1997.
김정신, <조선전기 공인식과 군신공치론>, <<학림>> 21, 2000.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3.13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8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