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독재자 - 웃음을 통한 문화적 저항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채플린?

Ⅱ. 위대한 독재자의 탄생배경

Ⅲ. 인물, 장소 분석

Ⅳ. 장면 분석

Ⅴ. 이발사의 신화적 기원 탐구

Ⅵ. 채플린 웃음의 코드

Ⅶ. 영화 위대한 독재자의 의미

Ⅷ. 웃음을 통한 문화적 저항

본문내용

기로써가 아닌 정말로 관객에게 하려는 이야기를 채플린이 하고 있음을 뜻한다. 목에 사래가 걸릴 정도로 열정적인 연설에서 채플린은 본인의 영화에서 느껴질 수 있는 자유, 풍자, 저항을 모두 표현해내는 것이 아닐까.
Ⅴ. 이발사의 신화적 기원 탐구
마이다스(미다스)의 당나귀 귀 신화
마이다스는 부와 통치자로서의 지혜 덕분에 명성을 떨치게 되었다. 한 번은 이 왕이 아폴론과 마르시아스라는 인간의 음악 경연 대회에 참석했다. 심판은 트몰로스라는 강의 신이 맡았다. 트몰로스는 당연히 아폴론에게 상을 주었다. 하지만 교만한 마이다스가 판정에 이의를 제기해, 강의 신과 마이다스 사이에 설전이 벌어졌다. 마이다스는 마르시아스의 실력이 아폴론에 못지않다고 주장했다. 이 말을 듣고 아폴론은 마이다스의 귀를 당나귀 귀로 만들어 버렸다. 그 후로 오랫동안 마이다스는 모자를 눌러 써서 당나귀 귀를 감췄다. 그리고 이발사에게 이 비밀을 절대로 누설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 비밀을 발설할 경우 이발사를 극형에 처하기로 하고서. 이발사가 마이다스의 머리를 자를 때 웃음을 참기란 사실상 불가능했다. 참다못한 이발사는 강둑에다 구덩이를 판 다음 그 안에다 대고 속삭였다. "마이다스 왕 귀는 당나귀 귀야" 하지만 얼마 후 바로 그 구덩이에서 작은 갈대 하나가 자라나, 그 곁을 지나는 사람들에게 비밀을 속삭였다. 그리하여 결국 마이다스는 이발사를 죽였다. 그러나 당나귀 귀는 변함없이 마이다스의 얼굴에 붙어 있었다.
어째서 이발사 인가?
이발사는 당나귀 귀 신화에 그 기원을 두어 ‘권력층의 비밀을 폭로하는 자’라는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그들은 가까이 하기 힘든 권력자와 가까이 할 수 있고, 권위의 상징인 모자를 벗기고 얼굴과 머리의 본래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직업이기 때문이다. ‘위대한 독재자’에서도 주인공이 굳이 이발사라는 직업으로 등장한 것은, 이러한 ‘폭로하는 자’, ‘조롱하는 자’로써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실제로 영화에서 이발사는 히틀러를 상정해서 만들어진 캐릭터인 독재자 힌켈과 대비되면서 그를 끊임없이 조롱시키고, 희화화 시키고, 풍자하지 않는가.
Ⅵ. 채플린 웃음의 코드
채플린이 처음 영화를 제작하기 시작한 곳은 키스톤 스튜디오(Keyston Studio)였다. 그러나 채플린은 키스톤 스튜디오와는 다른 방식으로 영화를 제작해 나갔다. 기존의 영화들은 웃음의 연속적인 나열을 보여주었다면, 채플린은 템포를 조절하였다. 또 판토마임과 몸짓으로 기존의 영화들이 일화와 상황을 설명했다면, 채플린은 그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것으로 관객들에게 웃음을 전달했다. 그러한 감정과 생각이 그의 주변에서 벌어지는 상황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코미디를 만든 것이다. 예를 들어서 기존의 코미디 영화들은 나무에 부딪히면서 관객을 웃긴다. 그러나 채플린 방식에서는 나무에 부딪힌 다음에 나무에게 ‘사과’를 하기 위해서 모자를 들어 올리는 것이다.
채플린의 영화를 종합해보면, 하나의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는데 바로 ‘휴머니즘’이다. 당시 채플린의 라이벌이었던 키튼은 우울한 얼굴을 통해서 관객을 웃겼다. 키튼에게 있어서 ‘눈물’이라는 요소를 넣어서 대중들에게 감정적으로 호소하거나 문명과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을 포함하는 것은 ‘희극’이 아니라고 여겨졌다. 이에 반해서 채플린의 영화에서는 조금은 설교적인 느낌을 받게 되는데, 그것은 채플린이 ‘웃음’의 본질은 인간 사회라고 여기며, 그 인간 사회의 모순을 날카롭게 분석함으로써 인간 자신을 표현해내는 ‘휴머니즘’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Ⅶ. 영화 위대한 독재자의 의미
“희극을 만드는 예술가가 현실을 비판하기로 한 것은 자만에서가 아니라 자신을 우상으로 삼았던 수많은 사람들에 대한 의무감 때문이었다.”
-1931년 친구인 토마스 버크와의 대화
채플린을 힘없는 사람들의 상징으로 만든 것은 비평가들이 아니라 그를 사랑하던 일반인들이었다. 채플린은 이에 대해서 항상 막중한 부담감을 느꼈으며, 강한 책임감을 지니고 있었다. 그가 세계 어디를 찾아가도 구름처럼 몰려 온 사람들은 거의 옷깃이라도 잡아보려고 아우성치며 웃고, 눈물을 흘렸던 것이다. 채플린은 대중들이 자신에게 이런 사랑을 보내는 것에 보답하기 위해서라도 냉혹한 현실을 풍자하고, 비웃을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서 많은 사람들에게 ‘웃음’을 전달하려고 노력했던 것이다. 이러한 채플린의 현실 참여적인 성향은 위대한 독재자에도 여실하게 들어난다. 히틀러와 유대인 이발사의 1인 2역으로 등장하여 독재 권력의 양면성을 비웃는 것이다. 이 양면성이 지니고 있는 모순은 이 영화의 마지막에서 유대인 이발사가 히틀러를 대체하면서 극복된다. 이발사는 호소력 짙은 웅변을 통해서 종국적인 민중의 승리를 암시한다.
그렇다. 위대한 독재자에는 현실을 ‘잊기’ 위한 웃음이 아니라 현실을 ‘이겨내기’ 위한 웃음이 채플린의 풍자를 통해 담겨 있었던 것이며, 이것이야말로 위대한 독재자가 현재에도 빛나는 예술 정신으로 기억되는 이유이다.
Ⅷ. 웃음을 통한 문화적 저항
웃음은 다른 어떤 것보다 정직하다. 마음속에 억눌려 있는 감정이나 거부하고 싶은 가치들에 대해서 웃음만큼 강한 힘을 발휘하는 것은 없다. 진정한 웃음은 농담짓거리나 허튼 수작이 아니라, 진정한 웃음을 웃는 그 사람에게 자신감을 심어주고, 그 순간 웃음은 웃음의 차원을 넘어서 사람들에게 감동을 준다. 그렇기 때문에 웃음은 세계의 존재하는 어떤 부정에도 저항할 수 있는 힘을 지닐 수 있다. 위대한 독재자에서 웃음은 ‘세계를 정복’하려는 거대한 야심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장황하고, 높고, 커다란 것들을 계속해서 비웃으면서 말이다. 나치스의 거대한 광기와 아돌프 히틀러의 ‘위대한 계획’이 웃음거리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할 수 있게 만든다는 것이말로 그 어떤 것보다도 뛰어난 저항이 되는 것이다.
당신은 아리안족(arian)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이발사는 “전 채식주의자(vegetarian)인데요” 라고 응수한다.
여기서 당시의 사람들은 웃을 수 있었고, 이 웃음이야 말로 아리안족 만의 세계를 만들겠다는 히틀러에 대한 가장 강력하고도 효과적인 ‘적’이 되었음을 기억하자.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2.12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06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