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전략]중국 군사사상의 변천과정 및 전략적 변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신중국 수립 후 중국 군사사상의 변천과정
(1) 인민전쟁론
(2) 군사사상의 전략적 전환의 시작
(3) 첨단 하이테크 국지전에 대한 대비

3. 덩샤오핑에 의한 중국 군사사상의 전략적 변화
(1) 덩샤오핑 군사사상의 형성 배경
1)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론과 마오쩌둥 사상의 영향
2) 국제정세 환경에 대한 재인식
3) 덩샤오핑의 개인적 경험
(2) 덩샤오핑 군사사상의 내용
1) 군사사상의 전략적 전환
2) 혁명화 전제, 현대화 중심, 정규화 중점
3) 국방 전략과 국가 발전 전략의 관계
4) 질량(質量)위주의 정병(精兵)정책과 무기와 장비의 현대화
5) 교육훈련의 강화

4. 장쩌민 집권시기 첨단 군사전략 이론의 수립과 발전
(1) 첨단 군사전략 이론의 수립
(2) 첨단 군사전략 이론의 내용

5. 결 론

본문내용

제고된다고 하였다.
) 『解放軍報』, 1996年 12月 3日.
첨단 하이테크 전쟁은 첨단 정밀 무기뿐만 아니라 인간의 두뇌에 의해서 수행된다. 중국은 해방군이 외국군과 비교할 때 무기와 장비의 차이도 있으나 장병의 수준에도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래서 과학기술 강군을 실현하기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인재의 육성으로 첨단 하이테크 기술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는데 두었다.
군사 훈련은 군의 주요 일상 업무로 전투력을 응결해 내는 장치이다. '두 가지 근본적 전략 전환'의 최종 목적도 전투력을 효과적으로 제고시키는데 있다. 전투력 지수는 훈련 강도와 무기의 과학화 정도에 정비례한다. 그런데 첨단 기술 전쟁은 기존의 군사 훈련에 대해 새로운 변화를 요구한다. 중국은 첨단 기술 전쟁에 대비한 교육 훈련의 중점 방향을 첫째, 신속한 반응 둘째, 삼군 일체로 총체적 전투력 발휘 셋째, 모의 훈련 실시 넷째, 군사 학교교육의 강화에 두고 있다.
) 『解放軍報』, 1997年 1月 21日.
중국은 효율적으로 전투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현대적 훈련을 늘리고 그 훈련 방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90년대 중국의 군사 훈련에 세 가지 변화가 있었는데 첫째, 훈련 규모가 커지고, 훈련 시간이 길어졌으며, 다양한 내용으로 모든 병과와 모든 군종이 참가하는 종합 훈련으로 발전했으며 특수 훈련을 중시하였다. 둘째, 가상적을 상정하여 대항 훈련을 실시하였다. 셋째, 모의 훈련을 보편화하였다.
) 平可夫, 앞의 주, p. 81.
중국은 정보 기술을 핵심으로 하는 첨단 기술이 군사 영역에서 부단히 활용되면서 전쟁의 형태와 작전 방식을 변화시켰다고 본다. 걸프전 이후 중국은 스스로 서방 과학기술 수준에 20년 뒤진다고 평가하고 국제 수준을 따라가기 위해 과학기술 강군을 강조하면서 방대한 인력과 물자를 투자하였다. 중국의 이러한 노력에 대해 일각에서는 조합적 발전이 부족하고 아직도 서구에 많이 뒤져 있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그러나 현재 중국은 세계 군사력 발전의 추세를 받아들여 본격적으로 군비 증강을 도모하고 있으며 21세기에도 이를 지속할 것이다. 더욱이 현재 중국의 군사력 수준도 미국과 비교할 때 차이가 있다는 것이지 중국과 인접해 직접 위협을 받을 수 있는 우리 한국과 차이가 난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군비 증강으로 21세기 국제적 영향력을 제고하려는 중국의 움직임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우리의 대응 전략 수립을 위해 필수적인 과제라 하겠다.
5. 결 론
현대 중국 군사사상의 전략적 전환은 1985년 6월 북경에서 개최된 중앙군사위원회 확대 회의에서 본격화되었다. 이 자리에서 덩은 전쟁의 위험은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국방을 튼튼히 하는 것은 필수적이나 당면한 국제 정세는 평화와 발전이 주를 이루어 당분간 세계대전이 일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분석하면서 상대적으로 안정된 시기에 제한된 범위 내에서 계획적이고 단계적으로 무기 현대화를 추진하는 경제성을 고려한 전력 강화를 강조하였다. 이 때 덩샤오핑은 병력 감축과 군사사상의 전략적 전환에 관한 제안서를 제출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은 군사전략을 임전태세에서 평화시기에 맞도록 전환하였고 국방 정책도 현대화, 정규화로 방향을 잡았다. 이것이 소위 중국에서 말하는 제1차 군사전략의 전환이다. 이로써 해방군의 현대화를 위한 이론적 기반이 마련되었고, 과거 모호하던 국방 전략도 전체 국가 발전 전략 속에서 명확한 자리 매김을 하였다.
덩샤오핑의 전략적 사상 전환에 따라 중국군 고위 지도자들은 이를 정책적으로 구체화시켰다. 1988년 5월 당시 당 총서기 자오쯔양은 북경에서 개최된 해방군 고위 간부 회의에서 첫째, 국지전에 대비한다. 둘째, 정예부대(拳頭部隊)를 집중 육성한다. 셋째, 장차전에 대비한 국방 정책을 수립한다는 3대 전략 방침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80년대 말부터 중국은 과감한 병력 감축을 중심으로 한 군 구조 개혁을 단행하였다.
군사사상의 전략적 전환은 해방군이 질적 변화를 모색하는 근거가 되었다. 즉 중국 지도부는 단기간 내에 대규모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판단하고 이 시기를 중국이 군을 현대화하는데 적기라 보았고 이를 위해 단계적으로 정책을 수립 실천한 것이다.
중국은 냉전이 종식됨에 따라 대규모 핵전쟁 발발의 위험성은 줄어들었으나 국지적 충돌의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다고 인식한다. 중국의 전략 전문가들은 미래의 전쟁은 일정한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한적인 충돌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장차전의 양태는 걸프전에서 미군이 보여준 것과 같이 원거리에서 신속히 첨단 무기를 동원하여 상대에게 집중적이고 강력한 공격을 가하는 형태가 될 것이며, 이러한 전력의 구비 정도가 장차전의 승패를 결정할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근거해 중국은 1993년 자국을 둘러싼 국지적 충돌에 대비하기 위해 80년대의 '현대적 조건하의 인민전쟁(現代條件下的人民戰爭)'전략을 '첨단 하이테크 국지전(高技術局部戰爭)'전략으로 조정하였다. 이에 따라 군의 발전 목표도 신속한 기동에 의한 즉각 대응 능력의 향상과 첨단 하이테크 전력의 확보에 역점을 두고 있다.
중국은 1997년 3월 중앙군사위 확대회의에서 '두 가지 근본적 전략 전환'을 신 국방 전략으로 제출하였다. 소위 '두 가지 근본적 전략 전환'이란 첫째, 과거 재래식 전투준비 태세에서 첨단 하이테크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는 전투준비 태세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둘째, 과거 대규모 병력 위주의 군 구조를 효율성을 중심으로 한 첨단 장비 위주의 구조로 전환함을 가리킨다. 이로써 과학적으로 군을 육성하여 새로운 군사력 발전 추세에 적응한다는 것이다. 80년대 이전까지 중국은 경제적 요인 때문에 방어적인 군사정책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90년대 들어 개혁·개방의 경제적 성과를 바탕으로 첨단 하이테크 국지전 전략을 수립하고 전면적인 무기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군비 증강은 개혁·개방 이후 축적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는 국제 질서가 재편되는 과정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군사력을 증강한다면 강대국으로 발돋움할 수 있다는 중국의 자신감과 의지로 보여진다.
  • 가격2,9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10.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24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