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의 핵심사상에 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아리스토텔레스의 핵심사상
1.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
2. 논리학
3. 자연철학
4. 심리학
5. 형이상학
6. 윤리학과 정치학
7. 예술과 수사학
8. 아리스토텔레스 윤리사상
1) 관용에 입각한 통치
2) 절충적 군주의 선출방식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가 백성 앞에서 선출되도록 모든 會衆을 소집하였는데, 이는 나중에 누구에게든 어떤 거리낌이나 의혹이 남아 있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 Policraticus, Bk.Ⅴ, Ch.6; Dickinson, p.83. 구체적인 내용은 구약성서의 민수기 18장 참조
한편 존은 왕위에 오른 군주는 단순히 선출이나 세습과 같은 인간들의 뜻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神의 선택에 의하여 그렇게 된 것이라고 보았다. 쉽게 설명될 수 없는 개념이긴 하지만, 중세인들에게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던 이러한 견해를 존은 절충주의적 신념에 입각하여 한층 더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왕위 결정문제에 관한 존의 견해는 실상 중세 초부터 이어 내려온 전통을 고수하는 것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새로운 내용은 없다 할 지라도, 그의 태도에서 한 가지 주목해야 될 점은 있다. 그것은 왕위 결정에 있어서 세 가지 요소간의 조화를 추구하던 전통이 흔들리기 시작한 그의 시대에 들어서조차 그가 여전히 종래의 전통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주지하다시피, 봉건제도가 절정에 달하고 있던 11세기 후반 이후 영국과 프랑스 등지에서는 제반 봉건적 상속관례와 함께 장자의 왕위 세습원칙이 확고하게 굳어져가고 있었다.
) 위의 책, p.203; Marc Bloch, Feudal Society. Vol.Ⅰ: The Growth of Ties of Dependence. tr. L. A. Manyon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1961), pp. 203-208 참조.
존은 이렇게 선출제적 요소가 약화되면서 세습제가 당연시 되어가고 있던 당시 궁정의 풍토에 맞서 옛 전통이 지닌 가치들을 지켜나가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존의 견해 속에는 일견 相衝하고 또 한편으로는 矛盾되기조차 한 요소들이 적지 않게 포함되어 있다. 존을 연구하는 학자들 사이에 아직까지 큰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는 폭군살해 발언이나 교속 문제에 대한 입장, 그리고 정치와 도덕의 혼합 등의 문제들도 바로 그러한 예들에 속한다.
) 캔닝은 『폴리크라티쿠스』가 후대의 중세인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정치적 저술 중의 하나였음을 분명히 인정하면서도, 이 책이 정치와 도덕이 기묘하게 뒤범벅된 "명백한 구성상의 결함"을 지니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Joseph Canning, A History of Medieval Political Thought 300-1450 (London: Routledge, 1996), p. 114.
한편 존에게서 보이는 이러한 상충성은 실상 12세기의 사상에 전반적으로 내포되어 있던 그 시대 자체의 한 특성이기도 하였다. 모랄이 적절히 지적하고 있는 것처럼, 이 시기의 사상에는 교회와 국가간의 대립, 이들 양자에 의해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던 중앙집중화와 그를 견제하려는 지방적 법률 및 관습 사이의 갈등, 그리고 성장 일로에 있던 강력한 통치권 이론과 그에 대해 견제 역할을 했던 로마법의 저항권 이론 등의 모호함이 역력히 게재되어 있었던 것이다. John B. Morrall, Political Thought in Medieval Times (New York: Harper & Brothers, 1962). 박은구 譯, 『중세 서양의 정치사상』 (탐구당, 1983), pp. 92-93 참조.
그의 사상 속에 나타나는 이러한 혼란이나 복합성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 이에 대한 해답은 그가 크게 신봉하였고 자신의 저술 도처에서 언급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중용적 또는 절충주의적 사고방식 속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Ⅲ. 결 론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은 시리아와 아랍, 그리고 유대의 전통 학문에도 널리 영향을 미치며 학자들에 의해 그의 저작들이 적극적으로 번역, 출간되었으며 이슬람교 형성에도 많은 사상적 영향을 미쳤다. 라틴계에서는 특히 13세기 초 프랑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비그리스도교적인 부분에 대한 교황청의 제지로 자연학·형이상학·심리학에 관련된 강의를 금지했으나 이 금지령은 1240년대에 이미 사문화했고 1255년에 이르면 당시 알려진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든 철학 논문은 파리의 대학과정에서 필수내용이 되었다. 또한 14세기에 각축한 토마스주의·스코투스주의·오컴주의 등의 다양한 스콜라 철학 학파들은 모두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바탕으로 삼았지만 그들 서로 다르게 해석한다.
15세기 이탈리아는 다양한 형태의 아리스토텔레스주의가 하나로 모이는 곳이 되었다. 한편 아리스토텔레스의 방법론과 자연철학은 17세기 윌리엄 하비와 갈릴레오 같은 과학자들이 계승했다. 또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근대 철학의 대부분에게도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다. 프란시스 베이컨의 방법론과 그의 기본 형이상학 개념들은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빌려 온 것이다. 코페르니쿠스는 여전히 원운동의 완전성에 매료되어 있었다. 고트프리트 빌헤름 라이프니츠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을 존중했고 질료 형상론과 관련 깊은 單子의 형이상학을 전개했다. 프랑스의 장 보댕과 같은 정치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 처럼 현존하는 유기체와 자연환경을 연구함으로써 국가의 성질을 연구했다. 문학분야에서는 1500년까지도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시학>>이 그리스어판과 라틴어판으로 읽혀지고 분석되었다. 예술은 자연의 모방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가 널리 퍼졌고, 행동·장소·시간의 일치라는 원칙은 비극 작가들의 창작 지침으로 자리잡았다. 또 1879년 교황 레오 13세가 토마스 아퀴나스를 복권시킨 이래 아리스토텔레스와 그가 그리스도교에 미친 영향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참고문헌
서양철학사 : 하기락, 형설출판사, 1981
소광희, 이석윤, 김정선 공저, 철학의 제문제, 벽호, 1994.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 : J. 반즈, 문계석 역, 서광사, 1989
현대철학과 사회 : 신일철 외, 서광사, 1992
현대와 후기현대의 철학적 논쟁 : 한정선·안드레아스 호이어 공저, 서광사, 1991
현대철학사(신학총서 철학 1) : F. 코플스턴, 차원석 역,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1990
현상학 : W. 마르크스, 이길우, 서광사, 1989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3.08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9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