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교수-학습 모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성주의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등장 배경

Ⅱ. 구성주의의 개요

Ⅲ. 구성주의의 특징
1). 학습자 주도의 이해의 구성
2). 현재의 이해에 의존하는 새로운 학습
3). 학습을 촉진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4). 실제세계 과제를 이용한 유의미 학습

Ⅳ. 구성주의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역할

Ⅴ. 구성주의의 수업의 원리

Ⅵ. 구성주의 교수-학습 모형
1). 문제중심학습
2). 인지적 도제 모형
3). 집단 학습모형
4). 인지적 융통성 모형
5). 앵커드 교수모형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없는 지식들, 그리고 학습의 전이에 대한 강조를 속성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의 교수 설계 시 학습 내용들에 대한 구조화는 교수-학습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
② 다양한 지적 표상들을 활용하라. 수업에서 지식의 다중적 표상들을 활용함으로써 어려운 자료들을 지나치게 단순화시키는 것으로부터 피할 수 있다. Spiro는 비구조적인 지식 영역에서 사례들마다 나타나는 불규칙성은 기존의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고 이미 지적한 바 있다. 따라서 복잡한 지식을 단순화구조화하려는 시도는 지양되어야 한다. 다양한 지적 표상을 통한 학습이 실제 세계에서 벌어지는 불규칙적인 문제 상황에의 적응력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③ 다루고 있는 지식을 나타내는 사례들 속에서 추상적인 개념들을 연결시키도록 해라. 또한 각 사례들을 다시 소 사례(mini cases)라는 더 작은 단위들로 나눈다.
④ 개념간의 상호 관련성이나 혹은 거미줄 같은 복잡한 지식의 본질을 입증하라. 인지적 융통성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서 임의 접근 수업(random access instruction)이란, 어떤 특정 과제가 주어졌을 때 그것을 다양한 맥락과 관점에서 접근해 보고 가르치는 순서도 재배열해 보며, 특정 과제와 연결하여 가능한 한 많은 사례들을 다루어 보는 방법을 말한다.
⑤ 재생산적인 기억보다는 지식의 총체(knowledge assembly)를 강조하라. 즉, 정보의 전달이 아닌 지식의 구성을 강조해야 한다.
⑥ 비구조화 된 상위 수준의 지식에 대한 초기 단계의 학습에서도 개념과 그 지식 영역의 복잡성을 도입하라. 각 소사례들은 주제와 관련하여 개념적 복잡성과 비구조적인 면을 드러내도록 해야 한다.
⑦ 학습자에 의한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는 학습이 되도록 하라. 이외에도 수업 자료로서 내용 영역들을 지나치게 단순화 혹은 구획화시켜서는 안되며, 상황에 의존하는 지식(실재적 지식)들을 고려해야 한다(Spiro & Jacobson, 1993).
요약하면, Spiro는 첫째, 다중 표상의 중요성, 둘째, 복잡한 지식의 영역과 조망(landscapes)을 이루는 사례들(cases)과 개념의 다차원적이며 다양한 관점을 통한 상호교차의 활용, 셋째, 특정 상황에 맞는 다양한 지식 자원들을 모을 수 있는 능력 등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한 하나의 전제로서 학습자들이 인지적으로 융통성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서 똑같은 지식들이 여러 가지 다른 방식으로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제시 및 습득되는 융통성 있는 환경이 요구된다.
5). 앵커드 교수모형(anchored instruction model)
앵커드 수업이론은 Vanderbilt 대학의 인지공학연구팀(CTGV, Cognition and Technology Group at Vanderbilt)에 의해 1989년 이래로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공학기반학습을 위한 중요한 패러다임이다. CTGV의 초기 작업의 초점은 교사와 학생들이 복잡하고 현실적인 문제들을 이해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상호작용적 비디오디스크 도구의 개발에 있었다. 이런 앵커들의 디자인은 종래에 교육에서 사용되던 전통적인 비디오와는 전혀 달랐다. 학습자가 활발하게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흥미롭고 현실적인 내용들이 담겨있으며 학생과 교사들이 탐구할 수 있는 내용으로 디자인되어 향후에 일어나는 모든 교수-학습을 위한 '앵커(anchors)'로 제공된다. CTGV의 의도는 결국 이러한 앵커들을 학습에 투입함으로써 학생들이 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식, 기술과 자신감을 계발하여 스스로 생각하고 학습하는 사람이 되도록 하려는 것이다. 즉, 고립된 지식의 문제점를 극복하려는 것이다. 앵커드 수업의 진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단계1: 학생들에게 앵커가 소개되는데 이 앵커 안에는 복잡한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단서들이 포함되어 있다.
▶ 단계2: 학생들은 앵커를 중심으로 분배된 기술을 개발한다. 학생들은 앵커 속에 있는 특정 장면에 여러 번 방문함으로써 특정한 관점에서의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교사는 앵커에 관한 토론을 이끌게 된다.
▶ 단계3: 앵커를 확장해 나가면서 탐색하게 된다. 앵커에 의해 제공된 정보가 부족하면 관련 정보들을 탐색하게 된다.
▶ 단계4: 문제해결을 위한 도구로서 그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사용한다. 앵커 자체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지식을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영역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그 정보를 연관시킬 수도 있다.
▶ 단계5: 앵커에 관련된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학생들에게는 그들의 지식을 다른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이 단계에서는 주제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읽고 보고서나 평가서를 작성하는 일도 포함된다.
▶ 단계6: 주어진 과제에 대해 학습한 내용을 서로 나눈다. 나누는 과정을 통해 그들의 작업에 대한 긍지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학우들이 어떻게 그 문제를 해결하였는지에 대해 알 수 있게 된다. 문제 해법을 서로 비교하여 보고 접근 방법의 장점과 약점에 대해서도 평가를 해보게 된다.
이상의 학습 단계에서 알 수 있듯이 앵커드 수업은 결국 교사 중심의 학급을 학생 중심의 학급으로 전환하는 수단을 제공해 준다. 학생 중심 수업은 교사가 정보공급자에서 학습의 동반자로 그 역할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 참고자료 >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조연순, 출판사: 학지사 (2006)
『학교학습 극대화를 위한 교육심리학』 양서원, 여광응 외 6명 공저 (2004)
『교육공학 및 수업기법』 함명식, 태일사 (2006)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이해』 양서원, 윤공보 외 2명 공저(2003)
『구성주의적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설계 방안』, 김정겸,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2000)
『구성주의와 영어협동학습』(이상권ㆍ윤인섭), 인하공업전문대학 (2006)
『구성주의 학습 환경에 기초한 초등 실과 교육과정 재구성 전략의 질적사례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류혜남 (2001).
http://cafe.daum.net/new-eduguide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3.09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2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