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한국전통음악)의 정의, 국악(한국전통음악) 율명과 계이름,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의의,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내용과 방해요소,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사례, 효과적인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활용방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정의, 국악(한국전통음악) 율명과 계이름,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의의,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내용과 방해요소,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사례, 효과적인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활용방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정의

Ⅲ. 국악(한국전통음악)의 율명과 계이름
1. 율명
2. 계이름

Ⅳ.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의의

Ⅴ.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내용

Ⅵ.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방해요소

Ⅶ.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사례
1. 3학년 국악 단원
1) 참새 노래
2) 실구대 소리
2. 4학년 국악단원
1) 나물노래
2) 도라지 타령
3) 천안삼거리

Ⅷ. 효과적인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활용방법
1. ICT 활용교육 방법
2. 다양한 자료 활용의 교수․학습 방법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그러므로 가사를 정간보에 적기 전에 악보를 보며 ‘♩.’음표 단위로 끊어서 그 안에 있는 가사의 리듬을 바꾸어야 하고, 세 칸마다 첫째 칸은 꼭 채워야 한다는 설명이 있어야 학생들이 올바르게 창작을 할 수 있다.
(위의 예는 12/8박자 리듬꼴 바꾸기로 접근했을 경우 나타나는 장단에 대한 잘못된 인식)
학습지는 각 정간아래에 구음을 적어놓아 전체적인 곡의 장단의 느낌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 구음 부호도 제시하는 것이 좋다.
2) 도라지 타령
지도내용을 노래부르기→장단→신체표현 순으로, 아니면 노래부르기→신체표현→장단의 순으로 바꿔야 한다. 또 수정에 따른 세부내용도 바뀌어야 한다.
세마치 장단의 완성단계이므로 쉬운 장단 지도가 이뤄져야 한다.
<전개>의 제재곡을 들으며 걷기에서 세마치 장단과 연관을 지어 손과 발동작을 해야 한다.
팔의 열중쉬어 동작보다는 어깨의 곡선을 표현할 수 있도록 팔을 자연스럽게 벌리고 곡선적인 오금의 동작을 하며 발동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민요 지도 방법의 시김새 지도 방법에 나와 있는 ‘떠는 음’에서 ♩음은 떨고, ♪에서는 떠는 부호를 없애야 한다.
민요 지도 방법의 시김새 지도 방법에 나와 있는 ‘꺾는 음’에서 ‘도’ 와 ‘시’ 음을 붙여 반복 연습할 때, 계명이 아니라 하나의 가사(‘아’ 나 ‘어’ 등)로 연습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예) ‘도시’가 아니라 ‘아아’로
3) 천안삼거리
‘시김새를 살려 부르기가 있고, 1차시에서 시김새를 살려 부르는 것에 목적이 있는데, 시김새에 대한 설명은 잘 되어 있는 듯 하지만, 본 제재 곡에 적용을 시켜서 시김새를 살릴 부분을 나타내어 주어야 한다.
장단 익히기에서 소고치는 활동은 효과적이지 않다. ‘덩’과 ‘쿵’은 소고의 북면을 치고 ‘덕’은 소고의 테를 치는 활동인데, 이 활동이 장구로 굿거리 장단 치기와 연계성을 갖지 못한다. 오히려 아동에게 혼란을 준다.
장단 3가지를 제시했는데 강세 표현이 없고, 어떻게 변형해야 우리 음악의 멋을 유지할 수 있는데 간단한 방법적인 설명이 필요하다.
‘장단을 치며 노래 불러 봅시다’의 활동에서 제시된 3가지의 정간보는 굿거리 장단을 익히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리고 3번째의 정간보의 장단은 교과서 39쪽의 정간보 장단과 같다. 천안 삼거리의 굿거리 장단과 강강술래의 중중모리 장단에서 같은 악보를 그려 놓고 장구를 치게 하고 있다. 이것은 교사용 지도서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이는 지도서 편찬방침 가. 나)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가장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도록 교사의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지도서가 되도록 하였다’라고 하였지만, 오히려 이해를 저해시키고 있다.
Ⅷ. 효과적인 초등학교교육 국악지도 활용방법
1. ICT 활용교육 방법
ICT 활용 수업의 다양한 활동 형태는 정보 통신 기술의 특성 및 정보 통신 기술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과 관련해 정보 탐색하기, 정보 분석하기, 정보 안내하기, 웹 토론하기, 협력연구하기, 전문가와 교류하기, 정보 만들기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ICT 활용 수업 유형은 학습자 중심, 실생활의 문제 해결 중심, 활동 중심, 교육과정 통합 형태 수업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2. 다양한 자료 활용의 교수학습 방법
성공적인 수업은 적절한 교수 학습 자료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업의 흐름에 따라 그 때 그때에 적절한 자료를 제시할 때, 학생들은 더욱 흥미를 가지고 음악수업에 참여할 것이다.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여 음악수업에 오디오, 비디오 자료, 다양한 악기, 음악 소프트웨어가 활용되어야 한다. 컴퓨터, CD, MIDI 악기(디지털 피아노 등) 등이 활용되어야 하고 인터넷을 통한 음악 정보의 활용 등으로 음악교육의 폭을 넓혀야 할 것이다 특히 감상곡과 관련된 삽화, 영상자료, 음악과 관련된 문화적인 배경 자료 등을 감상수업에 활용하여야 한다.
Ⅸ. 결론
정간보 및 리듬악기 가락보를 활용한다. 전통악기를 다루어 보고 우리가락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과 몸짓이 하나가 되었으며 전통음악에 대한 친숙함과 자신감, 우리가락을 이해하는 마음이 향상되었다.
그림자료를 활용한다. 국악동요에 대한 유아의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었으며 보다 쉽게 우리가락을 접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유아의 우리가락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었다.
동작활동 자료를 활용한다. 장단을 흥겹게 부르며 신체표현을 하였으며 동작활동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써 유아가 신체표현에 자신감을 가지는 계기가 되었다.
게임자료를 활용한다. 규칙과 질서를 지키며 유아간의 활동이 다양해지고 문제 해결능력이 향상 되었다.
퍼즐자료를 활용한다. 노래의 주요 장면을 인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소근육 발달 및 표현력과 탐구심이 신장되었다.
신체활동 자료를 활용한다. 우리가락에 대한 교육이 유아에게 흥미로운 체험활동으로 자연스럽게 인식될 수 있었고 협동심과 민첩성이 향상되었다.
수준별 활동지를 활용한다. 국악동요의 내용에 대하여 다양한 연계 학습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우리 가락의 이해 능력이 향상되었다.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다. 유아가 주도적으로 우리가락을 체험해 봄으로써 우리가락 체험활동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었으며, 교사용 교수자료로서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우리가락 체험활동을 위한 다양한 교재, 교구를 개발 활용한다. 유아의 우리가락에 대한 이해와 우리가락을 아끼는 마음이 신장되었다.
우리가락의 체계적인 체험활동을 활용한다. 우리가락을 보다 쉽게 배우고 친숙함을 느끼게 되어 우리 것에 대한 관심과 자긍심을 갖게 되었다.
참고문헌
국립국악원, 국민학교 국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국립국악원 국악연구실, 1990
국립국악원, 국악교육 체계화 연구, 국립국악원국악연구실, 2002
박용수, 국악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강원대 석사논문, 1993
변미혜, 초·중등 음악과 수업모형, 나도 국악을 가르칠 수 있다, 서울 풍남, 1991
정성자, 어린이 국악 교육의 실재, 창지사, 2000
정성자, 어린이 국악교육, 창지사, 1990
한국 음악학 연구회, 국악교육의 이론과 실기, 서울 국립국악원, 1992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