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회계원리)경영자의 경영의사결정 범주와 의사결정유형별 필요한 관리회계정보, 선택적 의사결정을 위한 원가개념, 원가행동에 따른 원가유형 분류 및 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리회계원리)경영자의 경영의사결정 범주와 의사결정유형별 필요한 관리회계정보, 선택적 의사결정을 위한 원가개념, 원가행동에 따른 원가유형 분류 및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영자의 의사결정
2. 경영자의 의사결정범주와 유형별 관리회계정보
Ⅱ. 선택적 의사결정을 위한 원가개념이 무엇인지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Ⅲ. 원가행동에 따른 원가유형을 분류하고 사례를 들어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2, 1/3로 감소한다. 따라서 제품의 단위당 변동비는 항상 일정하게 된다.
(그림 ) 변동비
North Cascade Mountain에 있는 급류 래프팅 여행상품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Nooksack Expeditions의 예를 들어보자. 회사는 필요한 장비와 숙련된 가이드 및 고급 식사까지 모두 제공을 하고 있다. 식사는 1인당 $30에 구매한다. 만약 식사의 원가가 1인당 기준이라면, 원가는 $30로 일정하게 유지될 것이다. 여행에 참가하는 인원수에 상관없이, 이 원가 $30는 변동하지 않을 것이다. 이 변동원가의 형태를, 단위당 및 총액 기준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고객의 수
고객당 식사의 원가
식사의 총원가
250
$30
$7,500
500
$30
$15,000
7580
$30
$22,500
1,000
$30
$30,000
변동원가가 되기 위해서는, 원가가 어떤 것에 따라 변해야 한다. 여기에서 "어떤 것"이 바로 활동기준이다. 활동기준(activity base)이란 변동원가를 발생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활동기준은 때로 원가동인(cost driver)이라고도 불린다. 가장 흔한 활동기준의 예로서는, 직접노무시간, 기계시간, 생산량 등이 있다. 활동기준의 다른 예로서는, 외판원이 운전한 거리, 호텔이 처리한 세탁물의 무게, 소프트웨어회사의 서비스 직원이 처리한 서비스 횟수, 병원의 병상일수 등이 있다.
사람들은 원가가 생산량이나 매출량에 따라 변하지 않으면, 변동원가가 아니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틀린 생각이다. 조직내에서의 원가는 다양한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원가가 변동이냐 고정이냐 하는 것은 원가가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에 달려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서비스 원가를 분석하는 경우, 적절한 활동 측정치는 요청된 서비스 횟수이다. 서비스 횟수에 의해 총액이 변동하는 원가는 서비스 호출에 대한 변동원가이다.
4. 준고정비·준변동비
이 밖에 준고정비·준변동비 등도 있으나, 이들을 분석하면 결국 고정비와 변동비의 결합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1) 준고정비
준고정비(semi-fixed costs)란 일정한 범위의 조업도에서는 일정한 금액이 발생하지만, 그 범위를 벗어나면 원가 발생액이 달라지는 원가를 말한다. 준고정비의 원가형태는 계단식으로 표시되므로 계단원가(step costs)라고도 한다. 조업도와 준고정비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4)와 같다.
(그림 ) 준고정비
준고정비는 생산투입요소가 불가분성(indivisibilities)을 갖기 때문에 발생하게 된다. 예컨대 생산감독자 1명이 100명의종업원을 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자. 이 경우에 종업원의 수가 100명을 초과하면 1명의 생산감독자가 더 필요하게 되는데, 만약 생산감독자를 0.1명, 0.2명 등과 같이 분할하여 고용할 수 있다면 감독자의 급료는 종업원 수에 비례하는 변동비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감독자의 급료는 계단식으로 표시되는 준고정비가 되는 것이다.
(2) 준변동비
준변동비(semi-variable costs)란 조업도의 변동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는 고정비와 조업도의 변동에 따라 비례해서 발생하는 두 요소를 모두 가지고 있는 원가를 말한다. 준변동비는 고정비와 변동비의 두 가지 요소를 모두 갖고 있기 때문에 혼합원가(mixed-costs)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업도와 준변동비 사이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그림 5)와 같다.
(그림 ) 준변동비
준변동비의 예로는 전기료, 수선유지비 등을 들 수 있다. 전기료의 일부는 기본요금이며, 조업도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전기료도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또한 수선유지비 중의 일부는 기계설비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조업도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5. 발생형태와 추적 가능성에 의한 분류
(1) 직접재료비(direct material costs)
직접재료비는 재료비이면서 동시에 특정 제품에 직접 추적 가능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주요재료비·매입부품비 등이 이에 속하며, 이것은 제품원가의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된다. 한편, 제품의 제조에 소비된 재료비이기는 하나, 특정 제품과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추적할 수 없거나 또는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그럴 필요를 느끼지 않는 재료비를 간접재료비라 하며, 이는 제조간접비로 처리한다. 이의 예로는 보조재료비, 공장소모품비, 소모공구기구비품비 등을 들 수 있다.
(2) 직접노무비(direct labor costs)
직접노무비는 노무비이면서 동시에 특정 제품에 직접 추적 가능한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특정 제품의 생산에 종사한 종업원에게 지급하는 임금이 바로 직접노무비이다.
한편, 특정 제품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추적할 수 없는 노무비를 간접노무비라 하며, 이는 제조간접비로 처리한다. 이의 예로는 관리인이나 감독자 또는 경비원 등에게 지급하는 임금 등을 들 수 있다.
(3) 직접제조경비
직접제조경비는 제조경비이면서 동시에 특정 제품에 추적 가능한 것을 말한다. 그러나 직접제조경비는 그 발생 횟수나 금액이 중요하지 않으므로 보통 무시되며, 제조경비의 대부분은 간접제조경비로 처리된다.
(4) 제조간접비(manufacturing overhead costs)
앞에서 설명한 직접재료비, 직접노무비, 직접제조경비를 제외한 기타의 모든 제조원가를 제조간접비라 한다. 즉 제조간접비는 간접재료비·간접노무비·간접제조경비를 합계한 것을 말한다.
※ 참고문헌
1. 신홍철, 관리회계, 2001, 경문사
2. 김기명, 윤금상, 최신관리회계, 2004, 두남.
3. 황상오, 정종구, 실전 재무·원가관리회계, 2006, 경영과 회계.
4. 김연용, 현대 원가관리회계, 2005, 도서출판 원.
5. 이재춘 외 5명, 원가관리회계, 2002, 영화·조세통감
6. 김대근, 관리회계, 2004, 브레인코리아.
7. Garrison 저, 최태희 역, Garrison의 관리회계 (12th Edition), 2009, MCGRAWHILL.
8. 신홍철, 전략적 관점을 강조한 관리회계, 2002, 경문사,
  • 가격3,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3.25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39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