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와 자폐증 아동의 행동수정기법 이론 및 소감 보고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발달장애와 자폐증 아동의 행동수정기법 이론 및 소감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발달장애의 이해
발달장애의 진단기준
자폐증의 개념
자폐증 아동의 원인
자폐증의 특성
자폐증의 증상
자폐증 아동의 행동수정기법
자폐증 아동의 사례
조원소감(리포트를 마치면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독립심이 있고 의욕이 넘치는 아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할머니는 John이 사람에 대한 흥미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다.
John은 한 살 때 걷기 시작했지만 두 살 경에는 기대만큼 발달이 진행되지 않았다. 소리는 냈지만 말을 하지 못했다. 의사소통 능력이 아주 제한적이어서 세 살이 되었을 때에도 엄마는 John이 무엇을 원하는지 정확히 알 수가 없어 추축 할 뿐 이었다(또래 보다 훨씬 어린애처럼). 엄마는 자신의 추측이 맞기를 바라면서 John에게 마실 것이나 먹을 것을 주곤 했다. John은 가끔씩 엄마의 팔을 잡아끌기도 했지만 '마실 것'이라고 말하거나 가리킨 적은 없었다. 그 당시 John의 부모는 John의 독립성이 지나치게 강하다고 걱정하기 시작했다. 넘어지거나 다쳐도 John은 부모에게 도움을 청하지 않았다. 엄마가 John을 이웃이나 친척에게 맞기고 외출할 때도 떨어지지 않으려고 떼를 쓰는 법이 없었다. John은 실제로 사람보다는 장난감에 더 관심이 있는 듯 했다. 몇 시간씩 장난감들을 같은 색깔, 같은 모양끼리 정확하게 줄을 세우면서 놀았다.
부모는 특히, John이 이름을 불러도 아무 반응이 없을 때는 귀머거리가 아닌가하는 생각도 했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집 위로 비행기가 날아가는 아주 작은 소리에도 고개를 돌리곤 했다. 주치의는 안심시켰지만, John이 세 살이 된 후로 부모들은 걱정이 점점 더 걱정이 심해졌다. John은 말을 해서 의사를 표현한 적이 없었고 아이들과 노는 데에도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손을 흔들어서 인사를 하지도 않았고 아이들과 놀 때도 정말로 즐거워하는 것 같지는 않았다. 엄마가 껴안으면 벗어나려고 몸부림쳤다. 하지만 아빠와 거칠게 뒹굴면서 노는 것은 좋아하는 것 같았다. 엄마는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걱정했고 우울한 기분과 죄책감을 느끼고 거절당한느낌을 받았다.
[John이 세 살 반이 됐을 때] 주치의는 John에 대해 직소퍼즐과 같은 공간 지각능력은 정상아라는 진단에 더해서 John이 자폐증이라고 부모에게 말을 했던 정신과 의사에게 John을 의뢰했다. 정신과 의사는 John의 병이 얼마나 진행된 상태인지를 말하기는 아직 이르지만, 다른 자폐아에 비해 호전될 가능성이 몇 가지 있다고 했다. John은 특수 놀이 집단에 보내졌고 그 곳에서 언어치료를 받았다. 심리학자의 집에 방문해서 John과의 의사소통을 늘리고 분노발작을 줄이는 방법을 모색하도록 부모를 도와주었다. 네 살 때, John이 갑자기 완전한 문장으로 말을 하기 시작했다. John의 부모는 걱정을 덜었고, 한동안은 John의 문제가 완전히 끝난 줄로 믿었다.
하지만, John이 하는 말은 아주 이상했다. 가령, 부모가 뭐라고 말하든 그 단어를 거꾸로 반복했다. "Do you want some drink?" 라고 물으면 "You want some drink"라고 하는 것이다. 더 놀라운 경우도 있다. 가령, 며칠 전에 그 말을 했던 사람과 아주 똑같은 목소리로 "정말 우습군"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하지만, John이 사용한 이런 문장들은 처해 있는 상황에 맞지 않는 것이며, 분명한 의미도 없는 것이었다.
두 살이 지났는데도 말문이 트이지 않거나 매사에 반응이 굼뜨는 아이가 있다. 부모는 아이에게 이상이 없기를 바라며 조마조마한 마음으로 그저 기다리기 마련. 병원에 가야 하나. 아니면 그냥 둬도 되나. 부모는 답답할 따름이다. 어떻게 해야 할까.
리포트를 마치면서...
심○○ : 조별 발표숙제를 준비하면서, 자폐증이 어떤 건지 알게 되었다. 자폐증의 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내심인 것 같다. 짜증만 낼 것이 아니라, 계속 반복적으로 알려주면 자폐증 아동의 행동을 수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항상 모든 장애아동을 사랑과 인내로 보살펴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김○○ : 세상과의 소통을 할 수 없게 만드는 병 자폐증. 요즘 들어 자폐증을 가진 아동이 많아 진 것 같다. 자폐증이라는 병명은 이제 더 이상 생소할 것 없는 병명이 되었다. 하지만 자폐증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지 못했고 그런 아이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알지 못했었는데 이번 발표준비를 하면서 그러한 아이들에 대해서 더욱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또한 이 원인도 알 수 없고 완벽한 치료법도 없는 답답한 병의 가장 좋은 치료법은 부모와 주위사람들의 사랑과 관심, 끝까지 그들을 놓지 않는 끈기임을 알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다.
조○○ : 요즘 들어 발달장애아동과 자폐아동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사회에서도 이러한 현상에 대해 많이 신경을 쓰는데 이번과제를 통해 발달장애와 자폐아에 대해 깊게 조사 할수 있어서 참 좋았다. 사회의 시선이 바뀌어 이러한 아이들을 사랑의 눈으로 바라보고 더 관심을 많이 갖아 주었으면 좋겠다.
박○○ : 요즘 영화나 TV를 통해 자폐아에 대해서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 영향에서인지 자폐에 대한 사람들의 부정적인 인식도 많이 바뀐것을 볼 수 있다. 자폐는 ‘스스로 마음의 문을 닫는 증상’이라는 뜻이다. 그러므로 자폐를 가지고 있는 것을 숨기고, 세상과 단절시키는 것 보다는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을 통해 스스로가 자신의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도와주는 것 또한 우리들의 몫인 것 같다. 이번 과제를 하면서 그동안 주변에 자폐를 가진 사람을 어떻게 대했는지 나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는 그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편견 없는 마음으로 대해야겠다고 다짐했다.
고○○ : 자폐증에 대해 조사하면서 우리들이 살아가는데 있어 이런 어려운 사람들이 주위에 많이 존재 한다는 것을 알고, 또 이런 자폐에 걸린 아이들 하나 하나 또한 우리와 똑같은 인간으로써 대해 주면 우리와 똑같은 일상생활이 까지는 아니지만 그들 나름대로 생활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이를 위해서라도 많은 배려와 관심이 필요하고, 그들에 대한 지원 또한 아끼지 말아야겠다.
<참고문헌>
아동행동연구 학지사 강경미
옛날한의원 화병클리닉에서 참고
http://blog.naver.com/kojm_2000?Redirect=Log&logNo=20010338103
연세필정신건강네트워크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0.09.30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26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