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문제연구론]우리나라의 현행 학교교육과 관련하여 교육본위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문제연구론]우리나라의 현행 학교교육과 관련하여 교육본위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논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학교 교육의 교육본위의 관점
1. 학교교육
2. 교육본위론
3. 학교교육에 대한 교육본위적 접근
1) 학교교육의 구조
2) 교육의 소재
3) 교육의 가치 및 주체
4) 교육과정

Ⅲ. 우리나라의 현행 학교교육과 관련하여 교육본위의 관점에서 비판
1. 교육에 대한 경제, 정치 논리의 틀
2. 교육본위적 관점의 교육열 아닌, 신분상승을 위한 지나친 교육열
3. 학교교육의 교육본위 공교육제도의 동요
4. 내재적 가치를 도외시하고 외재적 가치로 치중
5. 본질과 비본질의 대립
6. 학교교육의 불평등
7. 학교교육의 양극화
8. 구조기능주의에 입각한 지나친 통제형, 암기형 입시위주의 학교교육
9. 사교육비의 부담 증대
10. 교사의 교권 실추

Ⅳ. 교육본위 관점의 우리나라의 현행 학교교육 비판에 대한 해결 방안
1. 교육본위 관점에서 학교교육 문제의 재인식
2. 교육의 내재적 가치와 외재적 가치의 조화
3. 교육본위에 입각한 교육열 회복
4. 교육의 불평등 및 양극화의 개선
5. 교사의 자질향상을 통한 교권 회복
6. 입시위주 통제형, 암기형 교육의 탈피
7. 진로교육과 직업탐색교육 확대

Ⅴ. 결 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세계의 중심국가가 되겠다는 야망을 온 천하에 천명했던 한국 정부가 아직도 통제만능의 교육 후진국임을 자인한 셈이다.
지난 정부가 대학의 본고사를 금지하는 법령을 제정한 것은 규제완화와 대학의 자율권 확대를 강조해 온 그 동안의 정부정책을 스스로 부정하고 나선 것이다.
대학 본고사를 보지 못하게 하니, 대학들은 면접구술고사를 보고 면접구술과외라는 신종 사교육사업이 생겼다. 학업계획서와 자기소개서를 점수로 반영하니 그것을 돈을 받고 대신 써주는 곳도 생겨났고 돈이 없는 부모를 둔 수험생에게는 치명적인 제도이다.
1시간도 아닌 20여분정도의 면접시험으로 당락이 결정 날 수 있는 지금의 본고사 대체용 구술시험은 빈곤계층의 수험생들에게는 매우 불리한 제도이다.
그러므로 대학입시에서 교육본위의 순수한 내재적 가치판단의 폭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7. 진로교육과 직업탐색교육 확대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대학진학만을 위한 교육에 치중하고 있다. 20대 30대 실업자가 전체에서 67%(김경은, 2002)를 차지하는 것은 직업교육의 구조적 문제에 기인한다.
직업교육이라 하면 실업계 학교에서나 하는 것으로 생각할 정도로 직업교육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대학으로 진학할 학생들에게는 필요 없는 것이라고 할 정도로 그 필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초등학교 단계에서부터 진로교육과 진로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직업을 선택하고 그에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갖추도록 도움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다. 대학도 적성과 소질에 따라가지 않고 수능점수에 맞추어가기 때문에 지식기반시대의 한국대학이 실업자를 양산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진로교육과 직업탐색교육 확대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Ⅴ. 결 론
교육의 역사는 소수 지배 집단의 배타적 교육 단계에서 대중적 학교 교육, 즉 공교육 단계에 이르렀으며, 이제 학습 사회 단계로 접어들고 있다. 학습 사회 단계는 교육의 민주화 과정의 완성을 의미한다. 교육의 민주화란 교육 상황에서 시민이 교육의 주권자로 등장함을 의미한다. 이제까지 오로지 교육의 객체로만 인식되어 오던 시민들이 교육의 주체로 등장하는 것이다. 시민들이 자신의 교육을 통제하는 것은 자신들이 자연적인 학습의 권리를 행사하는 한 방편이다. 교육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고서는 자신들의 학습의 자유에 관한 권리를 확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교육이 민주화된 사회에 있어서는 교육을 위하여 학습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을 위하여 교육이 존재하는 것으로 된다.
교육의 이러한 민주화는 인류 역사가 끊임없이 성취해온 민주화의 긴 역사의 완성을 의미한다. 종교 개혁을 통하여서는 신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고 신앙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종교의 민주화를 이룩하였다. 또한 경제 혁명을 통하여 개개인이 경제 활동의 자유를 보장받는 경제의 민주화를 성취하였으며, 프랑스 대혁명을 위시한 정치 혁명을 통하여 시민들이 정치 체제를 선택할 자유를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제 인류는 교육의 민주화를 성취하여야 할 단계에 도달한 것이다.
인류가 종교, 경제, 정치에 있어서 민주화를 이룩하였다고 하지만, 교육의 민주화를 이루지 않고서는 완전한 민주화를 성취하였다고 말할 수 없다. 왜냐하면, 특정 정치 이념만을ㄹ 주장하는 교육에 의해 훈련받은 시민들이, 즉 헤게모니의 틀 안에서 ㉠교육된 시민들이 ‘자유롭게’ 정치적 결정을 내린다 하더라도 그 헤게모니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는 ㉡‘자동인형’이 된다면 참된 의미의 정치적 민주 사회는 못되기 때문이다. 종교와 경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특정 종교만을 어려서부터 교육받은 사람들은 종교 선택의 자유가 주어진다 해도 다른 것을 선택할 능력을 상실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결국 어려서부터 모든 정치 이념과 종교 신앙, 경제 체제에 관하여 편중되지 않고 자유롭게 학습할 수 있을 때에만 진정한 의미의 주체적 인간이 길러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교육이 민주화될 때에만 이제까지 성취해 온 종교, 경제, 정치의 민주화가 완성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해진다.
교육의 민주화, 다시 말해 교육 상황에서 학습자가 주체자가 되고 교육자가 보조자가 되어야 한다는 것은 아직도 많은 사람들에게는 선뜻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교육관이다. 현재의 지배적 교육관은 교육의 주체는 교육자이고 학습자는 객체로서의 대상에 불과하다는 전제에 입각해 있다. 즉, 학습권보다 교육권이 우선한다는 생각이다. 교육권 우선의 교육관에 바탕을 두고 있는 사람들에게 학습권이 교육권에 우선한다는 새로운 주장은 이해하기도 어렵고 받아들이기는 더욱 어려운 것이다.
오랫동안 이 교육관에 사로잡혀 있어서 새로운 주장을 이해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지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사는 바뀐다. 인류의 역사가 민주화의 방향으로 진행하는 한, 반드시 학습권이 우선하는 시대가 온다. 새로운 시대는 이미 시작되었다. 현대의 학교 본위 교육 제도에 대하여 제기되고 있는 회의와 비판들의 대부분이 ‘교육의 주체가 누구여야 하는가?’란 물음에서 출발하고 있다. 학교 제도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평생 교육이 대두된 것도 따지고 보면, 그 밑바닥에는 학습자 주체의 교육에 대한 갈망이 깔려 있는 것이다. 이 시대는 교육사적으로 볼 때, 중대한 과도기라고 할 수 있다. 교육권 우선의 시대로부터 학습권 우선의 시대로 이행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지적으로, 인격적으로 성숙하기 위하여 학습할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 권리는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이에 국가는 국민의 지적, 인격적 성숙을 위한 학습을 지원하고 보장할 책임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학습 사회 시대의 국가적 기능이다. 이와 같이 학습권이 보장되는 사회의 도래를 촉진시키고, 국민 각자가 학습의 주체로서 학습 공동체를 현명하게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일이야말로 교육학도의 우선적인 임무이다
[참고 자료]
양미경,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교육과학사, 2008
이일용, 한국 학교교육문제 연구, 문음사, 2007
노희관, 교육학의 새로운 파라다임, 교육과학사, 2000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3
최미정, 민용성, 학교 교육과정 개발론, 학지사, 2008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0.10.0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30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