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 유형][신앙 자유][신앙 신비][신앙과 상상력][신앙과 의인화][신앙과 민속신앙][신앙과 삼신신앙]신앙의 유형, 신앙의 자유, 신앙의 신비, 신앙과 상상력, 신앙과 의인화, 신앙과 민속신앙, 신앙과 삼신신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앙 유형][신앙 자유][신앙 신비][신앙과 상상력][신앙과 의인화][신앙과 민속신앙][신앙과 삼신신앙]신앙의 유형, 신앙의 자유, 신앙의 신비, 신앙과 상상력, 신앙과 의인화, 신앙과 민속신앙, 신앙과 삼신신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신앙의 유형
1. 순종으로서의 신앙
2. 고백으로서의 신앙
3. 희망으로서의 신앙
4. 두려움으로서의 신앙
5. 신뢰로서의 신앙

Ⅱ. 신앙의 자유

Ⅲ. 신앙의 신비

Ⅳ. 신앙과 상상력

Ⅴ. 신앙과 의인화

Ⅵ. 신앙과 민속신앙
1. 민속 신앙의 특징 민속신앙의 특징에는 크게 일곱 가지가 있다
2. 민족 신앙의 종류
1) 가신 신앙
2) 마을 신앙
3) 무속 신앙
4) 점복 신앙
5) 풍수 신앙

Ⅶ. 신앙과 삼신신앙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성황당이라고도 한다. 서낭당은 보통 마을 어귀나 고개마루에 원뿔모양으로 쌓은 돌무더기와 마을에서 신성시되는 나무 또는 장승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형식은 5색 헝겊을 걸어놓은 서낭나무와 돌무더기를 쌓아놓은 누석단이 결합되 것이 일반적이나 누석단 또는 서낭나무만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그리고 두 번째로 동제는 마을 신앙을 실천적으로 표상화한 것이다. 농촌과 어촌에서는 요즘도 풍년과 풍어, 건강과 마을의 평안을 위해 동제를 지낸다. 동제의 시기는 음력 정초에 택일하여 정월 초이틀이나 사흘에 하는 마을이 있고, 대보름 첫 시간, 즉 자정에 하는 마을도 있다. 동제는 산고사동고사별신굿장승제용궁맞이풍어제배서낭굿 등 그 지역의 생태적 조건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치러진다.
3) 무속 신앙
무속은 무당을 주축으로 민간층에서 전승되는 종교다. 무당은 신을 섬기며 굿을 전문으로 하는 사제자다. 무당의 유형은 크게 강신무와 세습무로 나누어지지만 이를 성격에 따라 분류하면 무당형, 단골형, 심방형, 명두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무당형이란, 중부와 북부 지역의 무당과 박수가 포함된다. 강신에 의해 영력을 획득하고 이에 의해 점을 치기도 한다.
또, 단골형은 호남과 영남지역에 분포되어 있으며 혈통에 따라 사제권이 세습되고 단골판이라는 일정한 관할 지역이 있어서 그 지역에서만 굿을 할 수 있다.
심방형은, 제주도에 분포되어 있는 무당을 일컫는 용어다. 이들은 혈통에 이해 계승되는 세습무로 무속상의 제도화된 일면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명두형은 숨진 아이가 영이 된 사아령의 강신체험을 통해서 된 무당으로 혈연관계가 있는 아이의 영이 강신된다. 여자아이의 영이 내린 무당을 명두, 남자아이의 영이 내린 무당을 동자 또는 태주라고 한다. 남부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4) 점복 신앙
예로부터 인간의 생활사는 점복 신앙에 강하게 구속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집을 정하는 데에서부터 전쟁에 이르기까지 점으로서 모든 것을 판단했다. 통칭 우리말처럼 쓰이는 한자어 점 대신에 원래는 점복이란 말을 썼다. 점복은 점과 복의 합성어이다.
점복에는 여러 유형이 있다. 자연관상점을 비롯하여 상복몽점신비점인위점작괘점관상점상지점 및 도참 예언 등이 있다.
점복 신앙의 기능에는 지적호기심 충족의 기능정서적 불안 해소의 기능제액초복의 기능농사 등에 관한 과학적 기능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는 주술적 기능수신과 노력을 촉구하는 교육적 기능놀이의 기능사회 분위기를 이끄는 정치적 기능 등이 있다.
5) 풍수 신앙
풍수는 지리에 대한 하나의 이론적 모델에서부터 사상적 측면뿐만 아니라 신앙적 측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는 용어이다. 풍수풍수설풍수지리풍수신앙풍수도참사상풍수사상지술 등의 다양한 어휘로 통칭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풍수’라는 용어는 ‘바람을 갈무리하고 물을 얻는다.’는 장풍득수에서 비롯된 것이다.
풍수 신앙은 산물방위사람을 구성요소로 하여 간룡법장풍법득수법좌향론형국론 등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중 간룡법은 산의 흐름의 좋고 나쁨을 살피는 방법이다. 그리고 장풍법은 명당에 자리 잡은 혈장을 찾아내기 위해 명당 주위의 지형과 지세를 파악하는 방법이며, 득수법은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관계를 따지는 방법이다. 좌향론은 혈의 뒤쪽 방위를 좌, 혈의 정면을 향으로 하여 방위를 따지는 방법이고, 형국론은 산천의 형세를 인물과 금수의 형상에 유추하여 판단하고 길흉을 따지는 방법이다.
Ⅶ. 신앙과 삼신신앙
인간은 생로병사의 어려움으로 해서 많은 신앙을 고금동서에 가져 왔다. 특히 어린 생명의 생병사는 그 나름으로 또 하나의 신앙형태를 이루어 왔으니 그 대표의 하나가 삼신신앙이라 하겠다. 더구나 의학의 발달 보급을 보지 못했던 옛 사회에서는 산모나 산아의 사망률도 많았으니 삼신신앙은 세계적인 하나의 현상이기도 했다.
그 중에서도 근세조선시대의 삼신신앙 특히 기자신앙을 자극해 왔던 것으로 이른바 칠거지악의 무자라는 것을 들 수가 있다. 이 무자라는 것은 결국은 아들을 의미한다. 부가장권사회의 남아존중사상으로 모든 부인들은 아들 낳기를 원했으나 그것은 인간의 마음대로 되는 일은 아니었다. 낳기는 낳되 딸만 낳을 수도 있다. 이래서 더욱 기자신앙삼신신앙은 더 자극되어 왔다고 할 수 있고 남아존중의 경향은 지금껏 도회지에서도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전제하에서 이제 삼신신앙을 살피려 하거니와, 여기에는 통과의례의 산육속과 중복되는 면이 많이 생길 것이 예상된다. 통과의례에는 산육속 전반에 걸쳐서 단계적으로 살펴지겠기 때문에 여기서는 주로 안방의 삼신신앙에 한정을 해서 간략한 전망을 해 나가기로 하겠다.
이능화는 가택신 종류에서는 삼신에 언급하지 않고 무행신사명목의 하나로 삼신신사를 들고 다음과 같이 간단히 언급을 하고 있다.
속칭 ‘신풀이’ 라는 것이 있다. 우리 풍속에 태를 보호하는 신을 삼신이라고 한다. 또 우리말에서 태를 ‘삼’이라고 하는데 소위 삼신이라는 것은 태신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삼신의 ‘삼’을 숫자로 보는 것은 옳지 않다.
일단은 들어 둘 말이라 하겠다. 최남선추엽융임동권들의 삼신에 대한 언급이 있으나 특별히 여기 인용할 말은 없겠다.
이상 삼신신앙의 개략을 살펴 온 바, 그 형태는 전국적으로 단지바가지주머니들이 안방에 모셔지는 상황이었다. 그리고 이 삼신신앙에도 많은 조심성을 볼 수가 있었다. 산속 특히 영아의 산육속 등에서는 의학이 아무리 발달해도 조심성이란 필요한 것이다. 금줄을 치고 외인의 출입을 금한다든가 머리를 감고 새 옷을 입는다든가 하는 것은 다 종교적인 금기[taboo]라는 이름으로 해이해지기 쉬운 이 조심성의 재강화를 서로 다짐하자던 징표로 봐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중기 외(1982), 한국교회성장과 신앙양태에 관한 조사연구
김태곤(1998), 기독교대학의 정체성 문제와 효과적인 신앙교육에 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명곤(1994), 기독교신앙위인전, 크리스챤다이제스트
이성삼(2000), 한국감리교회사 : 대한감리회(1945-1998)편, 신앙과 지성사
정사무엘(1990), 성막과 복된 신앙생활, 세계교회성장연구원
차준희, 구약성서의 신앙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4.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5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