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교육정책][교육제도]교육과정의 의의,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교육과정의 개발 접근, 교육과정의 중심축, 교육과정의 수준과 위상, 교육과정의 교사 역할, 교육과정의 평가와 질 관리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교육정책][교육제도]교육과정의 의의,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교육과정의 개발 접근, 교육과정의 중심축, 교육과정의 수준과 위상, 교육과정의 교사 역할, 교육과정의 평가와 질 관리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교육과정의 의의

Ⅲ.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1. 특성화된 교육의 충실
2. 현장과 연계된 교육의 충실
3.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의 충실
4. 혁신적인 교육의 충실
5. 전문 교육의 충실
6. 미래 사회에 대비할 수 있는 교육의 충실

Ⅳ. 교육과정의 개발 접근
1. 의사결정(decision making)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1) Management by Objectives (MBO)
2) Decision Tree
3) 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inque (PERT)
4) Problem Solving
5) The Advocate Team Process
2. 체제접근(system approach)에 의한 교육과정 개발

Ⅴ. 교육과정의 중심축
1. 교과
2. 사회
3. 개인

Ⅵ. 교육과정의 수준과 위상

Ⅶ. 교육과정의 교사 역할

Ⅷ. 교육과정의 평가와 질 관리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러한 학교 수준 교육과정은 교육목표, 내용, 방법, 평가, 운영방식 등을 핵심으로 구성한다. 우리나라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학교 수준 교육과정은 국가가 결정한 교육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국가와 지역 수준의 교육과정을 지침으로 삼아 만들어진다.
Ⅶ. 교육과정의 교사 역할
초중등 교육법 제 23조 1항에는 학교는 교육과정을 운영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말 그대로 교과서 중심의 학교 교육과정 체제에서 교육과정 중심의 학교 교육체제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또한 국제화, 정보화 시대에 학습자의 요구가 다양해 가는 시대의 요청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의도된 교육과정(국가 수준의 교육과정)과 전개된 교육과정(학교 수준의 교육과정), 또한 실현된 교육과정(교사 수준의 교육과정)과의 간격을 최대한으로 좁혀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참으로 학교 교육과정의 최종 결정자는 교사이다. 교사야말로 의도된 교육을 행하는 학교 교육의 주체자이며 실천자이다. 아무리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이 훌륭하게 만들어지고 학교 교육과정이 면밀히 작성되어진다 하여도 교육 실천자인 교사가 명확한 교육적 의도를 가지지 않으면 교육 목표나 내용은 공중에 떠돌고 학교 교육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가 없을 것이다.
Ⅷ. 교육과정의 평가와 질 관리
가. 이 교육 과정 질 관리를 위하여 국가 수준에서는 주기적으로 학생 학력 평가, 학교와 교육 기관 평가, 교육 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평가를 실시한다.
(1)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교과별, 학년별 학생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 결과는 교육 과정의 적절성 확보와 그 개선에 활용한다.
(2) 학교의 교육 과정 편성운영과 교육청의 교육 과정 지원 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와 관련 교육청에 대한 평가를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3) 교육 과정 편성운영과 지원 체제의 적절성과 실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한다. 이 교육 과정이 적용되는 첫 해부터 다양한 절차를 거쳐 해당 학교, 학년, 학생에게 적절한지를 조사하여 평가하되, 교육 과정 평가 연구는 교육 과정의 편제, 시간(단위) 배당, 편성운영 지침의 적절성과 그 적용 효과에 중점을 둔다.
나. 국가 수준에서는 학교에서 교육 과정의 정신을 구현한 평가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서 학교 현장에 제공해 주어야 한다.
(1) 교과별로 ‘절대 평가 기준’을 개발, 보급하여 학교가 교과 교육 과정의 목표에 부합되는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2) 국가 수준의 평가 문항 은행을 구축하여 에듀넷 등 컴퓨터 통신망을 통해 학교가 평가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3) 교과별 평가 활동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 방법, 절차, 도구 등을 개발하여 학교에 제공한다.
다. 학교에서 실시하는 평가 활동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1) 평가는 모든 학생들이 교육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교육의 과정으로 실시한다.
(2) 학교는 다양한 평가 도구와 방법으로 성취도를 평가하여 학생의 목표 도달도를 확인하고,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3) 교과의 평가는 선다형 일변도의 지필 검사를 지향하고, 서술형 주관식 평가와 표현 및 태도의 관찰 평가가 조화롭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4) 실험실습의 평가는 교과목의 성격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세부 평가 기준을 마련하여 실시한다.
(5) 정의적, 기능적, 창의적인 면이 특히 중시되는 교과의 평가는 타당한 평정 기준과 척도에 의거하여 실시한다.
(6) 학교와 교사는 학교에서 가르친 내용과 기능을 평가하도록 유의한다. 학생이 학교에서 배울 기회를 마련해 주지 않고, 학교 밖의 교육 수단을 통해서 익힐 수밖에 없는 내용과 기능은 평가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7) 초등 학교의 교과 활동 평가는 학생의 활동 상황과 특징, 진보의 정도 등을 파악하여, 그 결과를 서술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8) 재량 활동에 대한 평가는 교과 재량 활동과 창의적 재량 활동의 특성과 학생의 특성을 감안하여 평가의 주안점을 학교에서 작성, 활용한다. 다만, 창의적 재량 활동의 평가는 그 결과를 문장으로 기록하도록 한다.
Ⅸ. 결론 및 제언
우리나라에서는 교육과정의 변화라는 말보다는 교육개혁이라는 말이 더 낯설지 않다. 다시 말하면 교육과정의 변화는 곧 교육개혁이라는 말과 상통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만큼 무엇인가를 계속 뜯어 고치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 교육에서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사교육비, 대학입시 문제는 오늘만의 문제가 아니다. 몇 십 년 전부터 문제시되어 왔지만 지금까지 고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그 문제의 해결을 근본적인 제도 개혁으로 보지 않고 교육과정을 바꾸는 교육개혁으로만 보고 바꿔 나가려고 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또 우리나라의 교육열의 좋지 못한 측면만을 부각시켜 어떻게 하면 승화시켜서 좋은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까라는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통제하고 억제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만을 추구하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는 생각을 해본다.
결론을 내리면 요즘과 같이 지식정보사회, 다변화 사회의 시대에는 어느 한 단일교육사조와 이론의 지배는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배제한다는 뜻의 말은 아니고 교과, 경험, 그리고 학문 세 가지 측면은 오늘날의 교육에 있어서도 밑바탕에 지속적으로 추구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세 가지 측면들이 조화롭게 반영되고 그 시대상황에 맞는 교육과정이 추구될 때 균형과 선택이라는 교육내용의 성격도 잘 조화되어서 교육이 인간성과 능력을 모두 갖춘 훌륭한 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서 외 3인,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1999
교육인적자원부, 교육마당 9월호, 2001
교육인적자원부, 재량활동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실제,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료Ⅲ, 2001
교육개혁위원회,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1995
오수학, 수행평가와 실기평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 교수-학습계발센터, 2003
이경섭, 최신교육과정, 서울 : 교육과학사, 1987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7.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3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