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황과 정약용 교육사상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퇴계 이황

1. 생애
2. 사상의 개관
1)이기론
2)심성론(인성론)
3)수양론

3. 교육사상 (이념)

4. 교육의 목적

5. 교육의 방법

6. 퇴계 이황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


♣ 다산 정약용

1. 생애

2. 사상의 개관

3. 교육사상 (이념)

4. 교육의 목적

5. 교육의 내용

6. 교육의 방법

7.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


맺음말


◉참고 문헌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한 것이다. 또, 경험론적 입장에서 교육의 실효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기도 하였는데 탁상공론적인 經傳해석에서 벗어나「大學」등의 경전이 孝弟慈의 실천에 그 목적이 있다고 주장하여 實踐倫理를 강조한 것도 근대적이다.
7. 다산 정약용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
다산은 인간, 사회, 역사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토대로 그의 독자적인 교육사상을 전개하였다. 이러한 그의 교육관은 현대적인 시각에서 교찰하면 다음과 같은 점들을 재고할 수 있다.
첫째, 새로운 학문을 통해서 사회의 구조를 개편하려고 했다. 다시 말해서 실용성에 입각해서 직업의식을 개조하려고 했으며, 과학 기술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 있다.
둘째, 이러한 경향에 부합되는 교육제도를 확립함과 동시에 사회윤리를 쇄신하려고 했다. 또한 과거제도의 모순점을 개선하고 당면한 현실의 문제를 교육과 학문과의 관련을 통해서 해결하려고 했다.
셋째, 새로운 인간고나, 즉 평등사상에 기초한 근대적인 민권의식을 토대로 교육의 효과를 높이려고 했다.
넷째, 합리적인 사고의 틀 위에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여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자아의식을 심어주고자 했다.
맺음말
이상 위에서 우리는 퇴계 이황과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교육사상 전반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현대사회에서 교육이념의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사회 전반적인 풍조와 교육적 환경이 교육현장에서 서로 긍정적 태도로 의견을 교환하면서 교육이념이 제시하는 목표가 성취되도록 노력하기도 하고, 전혀 그렇지 않기도 하다. 현재 우리의 교육현실은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를 안고 있으며, 참된 한국 교육의 건설은 우리들 자신의 힘에 의하여 우리의 땅에 이룩하여야 할 때가 도래하였다. 그러기에 우리들은 선인의 교육사상을 더듬어 우리들의 전통적 교육사상을 발굴함으로서, 새로운 힘이 되게 하는데 있으며, 이들의 교육사상을 비롯하여 교육적 인간상 및 교육과정에 관하여 부각되어진 교육사상은 그 내용으로 미루어 보아 전형적인 한국 교육철학의 구조를 밝힐 수 있는 것으로서 이들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는 자못 크다 하겠다.
==========================================================================
참고 문헌
학위논문(석사) 석 301 경98교 「退溪 李滉의 敎育思想 硏究」,임소진, 경희대학교, 1998
학위논문(석사) 석 177 경98교 「茶山 丁若鏞의 敎育思想考察」,박혜숙, 경희대학교, 1998
학위논문(석사) 석 370 고234 「茶山 丁若鏞의 敎育思想: 民權的.民族的 性格을 中心으로」, 오태진, 고려대학교, 1986
학위논문(석사) 석 370.1 경51교 「茶山 丁若鏞의 敎育思想: 理想的 人間像을 中心으로」, 박종원, 경성대학교, 1991
참고 사이트
디지털 한국학 http://www.koreandb.net
이황 공부방 http://my.dreamwiz.com/ohjs7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http://www-2.knu.ac.kr/~toegye/
해피 캠퍼스 http://happycampus.co.kr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2.25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296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