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도시] 생태도시의 특징과 사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태도시] 생태도시의 특징과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생태도시란?
2. 생태도시의 특징
3. 생태도시 원칙과 목표
4. 생태도시조성의 필요성
 1) 도시환경의 변화
 2) 지구환경문제의 대두
 3) 자원, 에너지 이용기술 및 자연 복원 기술의 진보
 4) 새로운 계획이론의 모색
5. 생태도시의 기본방향
6. 생태도시 조성의 구성요소
 1) 토지이용
 2) 물과 대기
 3) 생태 및 녹지 환경
 4) 에너지의 이용
 5) 폐기물 관리
7. 생태도시의 사례
 1) 독일
 2) 미국
 3) 브라질
 4) 일본
 5) 대한민국

참고자료

본문내용

태도시 정비에 있어 중앙정부는 해당 공공사업을 중점적으로 실시하며 방향성을 제시하고 종합적인 지원을 실시한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는 도시환경계획의 수립 등을 통해 주체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기본내용으로 하고 있다.
(1) 고베(神戶)시
고베시는 생태도시를 건설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추진하였다.
첫째, 하수 폐수처리의 고도화 및 처리 수 이용, 투수성 포장 등의 우수침투시설을 정비하고, 중수도 시설 및 합병정화조의 정비 등 수자원 재생을 위한 시스템을 정비하는 계획을 세웠다. 에너지 손실의 절감, 폐기물 소각장의 열이용 및 열 병합 발전 시설의 정비 등을 통하여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대중 교통수단의 활성화, 물류 운송체계의 합리화 등을 통해 교통 시스템의 개선을 추진하는 것이다.
셋째, 회수 재생이용이 용이한 제품을 개발하고, 회수방법의 확립, 건설 폐기물의 발생량 억제 등 폐기물의 적정 처리 및 관리를 추진하는 것이다.
넷째, 도시녹지 등의 보전, 동ㆍ식물의 서식이 가능한 수변 공간 조성 등을 통해 자연 보전을 모색하는 것이다.
(2) 다마(多摩) 신도시
다마 신도시는 동경 도심으로부터 서남방향으로 25~40km 떨어져 입지하고 있는 신도시로 개발면적은 2,983ha로 우리나라 분당 신도시보다 1,000ha정도 큰 도시지만 거주인구는 분당신도시보다 10만 명 정도 적다.
다마 신도시는 기존의 신도시와는 달리 변화하는 도시문제와 도시민의 가치관, 의식의 변화 등-지구환경문제의 중시, 주거 민의 건강, 환경문제 중시, 지역에서의 신도시 중요성 증대 등-을 적극 수용하여 환경과 공생하는 쾌적한 도시조성에 노력하고 있다. 다마 신도시는 개발 당초부터 대량의 주택공급과 양호한 주거환경의 형성 및 자연과의 조화를 목표로 추진되어 자연 지형을 살린 공원, 녹지의 정비 및 보행자 전용도로의 개설 등 ‘녹지와 오픈스페이스 계획’을 착실히 실천하고 있다. 또한 다마 신도시는 지구환경문제의 대두 등 사회상황 변화 및 주거자의 수요를 만족시키기 위해 환경 오염부하가 적은 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역 냉ㆍ난방을 도입하였고 에너지, 물, 폐기물 순환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에너지이용의 효율화, 수요억제, 청청에너지의 활용, 공급의 효율화를 목표로 업무시설의 에너지 절약적 입지도모, 쓰레기 소각열 등 도시 내 미 이용에너지의 활용 등에 노력하고 있다. 수자원은 양질의 수원확보, 지표수 및 지하수의 보전, 우수의 유출 억제, 수질보전 등을 목표로 복합기능도시에 맞게 업무시설 입지를 통해 냉ㆍ난방용 냉각수의 효율적 공급, 투수성포장을 통한 우수의 유출억제, 하천의 개수 등을 추진하고 있다. 폐기물 감량화 및 자원화에 의해 주택지는 물론이고 상업ㆍ업무 지에 분리수거를 통해 자원의 순환ㆍ재 이용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5) 대한민국
(1)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는 생태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토지이용부문, 생물다양성부문, 물 이용부문, 에너지이용부문, 환경관리부문에 걸쳐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토지이용부문에서는 지역중심센터의 건설, 보행자 전용지역의 설치, Trail 조성, 종합환승센터의 건설 등을 계획하고 있다.
생물다양성 부문에서는 에코 브릿지(eco-bridge) 조성, 옥상 녹화를 통한 Stepping Stone 조성, 인공경량토양에서의 자생 초 화류 재배, 지하주차장 상부녹화, 도로중앙분리대의 녹화, 자생식물 군락조성, 고유식생 천이실험, 새와 녹지를 위한 근린공원 조성 등의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물 부문에서는 친 자연형 하천정비, 중수도 시설의 설치, 우수 저류침투시설의 도입, 자연정화하수처리장 건설 등을 시행하고 있다.
에너지 부문에서는 집단에너지 공급시설 확대, 태양열 이용시설의 보급, 풍력발전시스템의 도입, 바이오매스 에너지 시설, 쓰레기 및 폐기물 이용 열 병합 시설 도입 등을 시행하고 있다. 환경관리 부문에서는 쓰레기 퇴비화사업, 폐기물의 청정에너지화, 종합적인 폐기물관리 등을 시행하고 있다.
(2) 하남시
하남시는 ‘UN인간정주회의(UNCHS/Habitat)에서 생태도시로 선정되었다. 하남시에서는 서울시민의 주 식수원인 팔당호가 있다. 그래서 팔당호와 그 주변지역이 1975년 7월 9일 수질보전을 위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다른 지역보다 개발은 현저히 느린 반면, 육상 및 수계의 생태계는 잘 보전되어 있다. 정부시책에 의한 환경보전과 아울러 UN에서 생태도시로 선정되어, 여러 가지 노력도 펼쳐지고 있다. 생태하천의 조성의 그 한 예인데 홍수방지를 목적으로 획일적으로 콘크리트를 사용해 일자로 펴온 하천을 생태하천 정비공법으로 예전의 하천으로 복원하는 계획을 마련 시행중이다. 이것은 시민의 감정을 가장 정서적으로 만들 수 있는 물에 대한 이미지를 최대한 부각시키기 위한 생태하천조성을 계획하고 있는 것이다.
(3) 순천시
순천시는 순천만에 인접한 도사동, 별량면, 해룡면 일원 25만㎡을 생태공원으로 조성하였다. 이곳에 방문자센터와 수산물센터 등 건물 두동을 세우고 야외공연장을 갖춘 공원 두 곳을 만들었다. 방문자센터는 도사 동 대대포구 옆에 2층, 연면적 2천3백㎡로 짓고 사무실, 전시실, 생태교실, 영상자료실, 조류 보호장, 조망대 등을 갖추었다. 수산물센터(연면적 1백80㎡)는 순천만에서 나는 민물장어, 장뚱어, 고막 등을 팔고 있다. 공원은 별량면(우명지구)과해룡면(와온지구)에 들어서며 해맞이 축제 등을 위해 야외공연장과 휴게시설을 만들 계획이다. 이 지역은 27㎢의 광대한 갈대밭과 5.4㎢의 갯벌이 어우러져 전국에서 가장 완벽한 해안 생태계를 자랑한다. 특히 국내 유일의 흑두루미(천연기념물 2백28호) 월동지로 철새 1백50여종이 날아들며 휴일이면 1천 여명의 탐방 객이 줄을 잇고 있다.
참고자료
국토연구원, 녹색도시 조성현황과 과제, 2011.
김현수, 생태도시의 실현을 위한 기반기술의 개발, 월간건축, 1997.
김현수, 생태도시와 기술, 토지와 기술, 한국토지공사, 2006.
유혜성, 한국형 생태도시 개발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2.
최지용, 자원순환형 생태도시의 건설 국토, 2006.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2.07.30
  • 저작시기2012.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59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