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과 음운체계(한국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음성(音聲)과 음운(音韻)
2. 분절음(segment)과 초분절음(supra-segment)
3. 음운 체계
 3.1. 국어의 음운 목록
 3.2. 국어의 자음 체계
  (1) 조음 위치에 따른 분류
  (2) 조음방법에 따른 분류
  (2) 성대 울림 여부에 따른 분류
 3.3. 국어의 모음(母音, vowel) 체계
 3.3. 국어의 운소 체계
4. 음절(音節, syllable)

본문내용

해당하지만 첫 음 /p/는 무성음이고,
유성음인 모음 사이에 있는 /d/는 무성음 /t/가 유성음 /d/로 된 것이다.
<국어의 자음 체계>
조음위치
조음방법
양순음
치조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장애음
파열음
평음
ㅂ/p/
ㄷ/t/
ㄱ/k)/
경음
ㅃ/p'/
ㄸ/t'/
ㄲ/k'/
유기음
ㅍ/ph/
ㅌ/th/
ㅋ/kh/
파찰음
평음
ㅈ/,/
경음
ㅉ/','/
유기음
ㅊ/h,h/
마찰음
평음
ㅅ/s/
ㅎ/h/
경음
ㅆ/s'/
공명음
비음
ㅁ/m/
ㄴ/n/
ㅇ/ŋ/
유음
ㄹ/l/
- 우리말 자음 체계의 특징:
ㆍ같은 조음 위치의 장애음들이 후두의 긴장이나 기의 유무라는 방식에 따라 정연한 대립 관계를 이룬다.
ㆍ즉, 파열음과 파찰음은 평음-경음-격음으로,
치조 마찰음은 평음-경음으로 대립을 이룸
ㆍ유성 파열음이나 유성 마찰음은 음소의 자격을 얻지 못한다.(유성음이 없음)
ㆍ마찰음이 적은 대신 파열음이 많다
3.3. 국어의 모음(母音, vowel) 체계
- 모음은 소리 낼 때 성대가 떨리면서 장애가 없이 나는 소리를 말한다.
- 단모음: 발음 도중 혀나 입술이 고정되어 움직이는 모음
- 단모음은 혀의 전후나 고저, 입술의 원순성 여부에 따라 구별된다.
- 혀의 전후에 따라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으로,
- 혀의 고저에 따라 고모음, 중모음, 저모음으로,
- 입술의 원순성 여부에 따라 원순 모음과 평순 모음으로 분류된다.
- 발음 중 혀가 다른 위치로 옮겨가는 모음은 이중 모음이다.
- 이중 모음은 ‘단모음+반모음’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 반모음은 홀로 발음되지 못하고 반드시 다른 모음과 결합하여 발음된다.
ㆍ‘ㅑ, ㅕ, ㅛ, ㅠ’ 등은 ‘ㅣ’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ㅏ, ㅓ, ㅗ, ㅜ’로 옮겨 발음됨
ㆍ‘ㅘ, ㅝ’ 등은 ‘ㅜ’ 위치에서 시작하여 ‘ㅏ,ㅓ’ 위치로 옮겨가며 발음됨
- 혀가 ‘ㅣ’의 위치에서 다음 위치로 옮겨갈 때 발음되는 반모음은 [j]이고
- ‘ㅗ, 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옮겨갈 때 발음되는 반모음은 [w]이다.
- 10개의 단모음을 전설 모음과 후설 모음의 2분 체계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국어의 모음 체계-(2분 체계)>
혀의 전후 위치
전설모음
후설모음
입술 모양
혀의 높이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i/
ㅟ/y/
ㅡ//
ㅜ/u/
중모음
ㅔ/e/
ㅚ//
ㅓ//
ㅗ/o/
저모음
ㅐ//
ㅏ/a/
- 이외에 전설 모음, 중설 모음, 후설 모음 등 3분 체계로 나누기도 한다.
<국어의 모음 체계-(3분 체계)>
혀의 전후 위치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입술모양
혀의 높이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ㅣ/i/
ㅟ/y/
ㅡ//
ㅜ/u/
반고모음
ㅔ/e/
ㅚ//
ㅗ/o/
반저모음
ㅐ//
ㅓ//
저모음
ㅏ/a/
- 국어의 10개 단모음을 2분 체계에 따라 혀의 전후 위치와 고저를 아울러 나타내는 모음도는 다음과 같다.
<국어의 모음 사각도>
<전설> <중설> <후설>
[ㅣ], [ㅟ]
[ㅡ]
[ㅜ]
[ㅗ]
[ㅔ], [ㅚ]
[ㅓ]
[ㅐ]
- 이상의 기본 모음 이외에 반모음은 그 자체로 체계를 이루고 있다기보다는 이중 모음을 형성하여 이중 모음의 형상으로 체계를 이룬다.
- 국어의 이중 모음은 두 가지 형태가 있다.
ㆍ상승 이중 모음: ‘반모음+단모음’
예) /ㅑ/=/ㅣ/+/ㅏ/, /ㅛ/=/ㅣ/+/ㅗ/, /ㅢ/=//+/ㅣ/ 즉
/i/= //+/i/
ㆍ하강 이중 모음: ‘단모음+반모음’
/ㅢ/ = /ㅡ/+/ㅣ/ 즉
/j/= //+/i/
- 이중 모음 ‘ㅢ’는 단모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아 하강 이중 모음은 사라지는 단계에 있다.
- 국어의 이중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국어의 이중 모음 체계>
혀의 전후 위치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상승
j계
고모음
ㅠ/ju/
중모음
ㅖ/je/
ㅕ/j/
ㅛ/jo/
저모음
ㅒ/ja/
ㅑ/ja/
w계
고모음
ㅟ/wi/
중모음
ㅞ/we/
ㅝ/w/
저모음
ㅙ/w/
ㅘ/wa/
하강
j계
고모음
ㅢ/j/
<참고> /ㅢ/의 두 가지 견해
단모음+반모음 인 하향 이중 모음으로 보는 견해 /j/
/ㅡ/ /j/
반모음+단모음 인 상향 이중 모음으로 보는 견해 /I/
// /ㅣ/
※ 참고
<현대 국어의 이중 모음체계-이문규>
/j/ 계
/w/ 계
// 계
전설
후설
전설
후설
전설
후설
평순
원순
고모음
ㅠ/ju/
ㅟ/wi/
ㅢ/j/
중고모음
ㅖ/je/
ㅕ/j/
ㅛ/jo/
ㅞ/we/
ㅝ/w/
저모음
ㅒ/j/
ㅑ/ja/
ㅙ/w/
ㅘ/wa/
3.4. 국어의 운소 체계
- 우리말의 초분절음 중 운소로 인정되는 것은 모음의 길이, 즉 장단(長短)이다.
- 방언에 따라 고조(高調)와 저조(低調) 등의 성조 대립이 있는 경우도 있다.
- 강원도, 경상도, 함경도 방언의 일부에서는 성조가 운소의 자격을 가지고 있다.
- 장단은 대개 1음절에서 변별적 역할을 한다.
예) 말:[言], 말[馬, 斗], 눈:[雪], 눈[眼], 밤:[慄], 밤[夜]
가정:[假定], 가정[家庭], 사기:[士氣], 사기[詐欺]
무력:[武力], 무력[無力] 사고:[事故], 사고[史庫]
- ‘손(手)’과 ‘손(客)’, ‘우리(cage)’와 ‘우리(we)’ 등에서 고조와 저조가 분화 한다고 한다.
※ 참고
<중국어의 성조>
1성
2성
3성
4성
冬天 겨울
(dngtin)
忙 바쁘다
(mng)
我 나
(w)
最近 요즈음
(zujn)
4 음절(音節, syllable)
- 음절(音節)이란 음의 한 마디로, 한 뭉치로 이루어진 소리의 단위이다.
- 즉, 단어 또는 단어의 일부를 이루는 발음의 단위이며.
- 단숨에 내는 모음과 자음이 어울린 한 덩어리의 소리를 말한다.
- 한글 문자는 각각의 낱글자를 음절 단위로 모아쓴다.
예) 대한민국 → 4음절 단어
Chinese → 3음절 단어
- 음절은 분절음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분절음을 구성하려면 정해진 규칙에 따라야 한다.
- 음절구조제약 규칙: (자음)+모음+(자음) [(C)+V+(C)]
- 이 규칙에 따르면 음절 구성에 있어 모음은 필수적이나 자음은 그렇지 않다.
- 이때 음정 중심을 이루는 모음을 중성(中聲), 모음 앞 자음을 초성(初聲), 모음 뒤 자음을 종성(終聲)이라고 한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2.09.22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84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