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의 필요성, 발달단계,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과 상동행동, 악기놀이,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과 장난감놀이, 효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의 필요성, 발달단계,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과 상동행동, 악기놀이,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과 장난감놀이, 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의 필요성

Ⅲ.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과 발달단계

Ⅳ.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과 상동행동

Ⅴ.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과 악기놀이

Ⅵ.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과 장난감놀이

Ⅶ. 자폐(자폐성장애, 전반적발달장애)아동 놀이활동의 효과
1. 대인관계 적응능력의 효과 분석
2. 언어 적응능력의 효과 분석
3. 집단 적응능력의 효과 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으로 관찰하였는데, 신체를 통합하는 놀이활동은 자폐성 아동의 대인관계 적응 능력의 개선에 크게 효과적이었다. P아동은 다른 사람에 무관심하며 자기중심적이던 행동에서 많은 변화를 보였고, J아동은 고집이 세고 상대방을 기피하려는 행동이 크게 개선되었다. 중증자폐아인 G와 L아동은 친구들과의 상호관계에서 많은 문제가 있었으나 상당히 개선되어 교류가 대체로 잘 이뤄지고 있다.
대인관계의 영역 중 부모와의 관계에서 아동들 모두가 자신의 요구에 근거를 둔 반응을 하는 정도였으나, 이제는 부모 모두와 정상적인 관계를 갖게 되었거나, 어머니 한 사람의 요구에는 대체로 잘 반응하는 결과를 가져 왔다.
다른 어른들과도 의미 있는 결과를 보였는데, 주위 사람들의 요구에 대체로 반응하거나 자신의 요구에 근거를 둔 반응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른 아이들과의 관계에서 중증 자폐아인 G아동은 다른 아이들에게 전혀 무관심하였으나, 이제 친구들의 요구에 대체로 반응하는 단계에 이르러 크게 향상을 보였다.
2. 언어 적응능력의 효과 분석
연구대상 아동들의 개인별 언어능력 부 적응 사례 중 대부분의 항목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와 효과적이었다. P아동이 상대방과의 대화를 기피하거나 혼잣말을 계속 중얼거리는 경우, 그리고 J아동의 의미 없는 반향어의 사용과 대화 기피 현상도 상당한 수준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G와 L아동의 언어능력은 전체적으로 상당히 열약한 편이었는데 높은 개선효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간단한 지시 따르기는 특별한 경우 외에 거의 그런 행동을 나타내지 않고 있다.
언어능력 중 언어의 이해 부분에서는 유의미한 증가를 가져 왔는데, 대부분 일반적인 지시를 이해하고 있으나, G아동은 일상장면에 따른 언어적 지시를 이해하고 있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언어표현에서는 일정한 의미를 갖지만 장면에 맞지 않는 등 부적절한 언어사용을 하였으나 크게 개선되었다. 그리고 의사소통의 경우 P와 J아동은 몸짓으로 어느 정도 대답과 요구를 하는 정도였으나, 짧은 문장으로 대답과 요구를 하는 수준으로까지 상당한 증가를 하였다. 언어영역에 대한 종합적 변화의 결과에서 P아동이 가장 높은 증가를 보였다.
3. 집단 적응능력의 효과 분석
집단에의 적응에 나타난 변화 결과를 보면, P아동은 집단활동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제는 전혀 그런 경우가 없을 만큼 집단에 잘 적응하고 협조적으로 개선되었다. J아동은 전 항목에 걸쳐 개선되었는데, 특히 지시에 잘 따르지 않았던 행동의 빈도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G아동은 차례를 지키려 하지 않는 행동에서 크게 개선되었으며, 다른 항목에서도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L아동의 경우 주의 산만으로 인해 집단활동에 지장을 주었으나 상당히 개선되었다.
집단에의 적응 영역에 대한 아동들의 변화 결과는 다른 영역 보다 큰 증가를 나타내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P아동은 집단이 있다는 정도는 의식하지만 적절하지 않은 행동이 많고, 집단 안에서 모든 규칙을 지키고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게 되었고, J아동은 간단한 규칙을 이해하고 부분적으로 적절한 행동을 하는 등 개선되었으며 나머지 아동들 모두가 집단에 대한 무관심한 반응이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다.
이상의 종합적 분석에서 신체통합을 촉진하는 놀이활동이 자폐성 아동의 사회적응 능력 전반에 상당한 개선효과를 보여 주었으며, 아동 개인별 부 적응행동의 변화에서는 경증의 자폐아가 중증 아동의 경우보다 높은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영역별 결과에서는 집단적응 능력에서 가장 효과가 컸으며, 다음으로 대인관계의 영역에서 상당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놀이활동 프로그램의 적용 및 실천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다른 아동들과의 교류가 이루어져 더욱 큰 효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여진다.
참고문헌
1. 김경화, 한국전통놀이의 자폐아동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상학회, 2004
2. 신선미 외 1명, 치료놀이가 자폐 유아의 사회적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0
3. 유수옥, 통합유치원에서 자폐유아의 사회적 놀이 행동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98
4. 윤미원, 자폐 아동의 사례분석을 통한 치료놀이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2005
5. 정순옥, 소집단 협동놀이가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2008
6. 장미연 외 2명, 자폐성향 유아의 상징놀이 향상 단기프로그램 적용 사례연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05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8.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09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