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민문학론 - 백철 <농민문학 문제>, 안함광 <농민문학 문제 재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농민문학론 - 백철 <농민문학 문제>, 안함광 <농민문학 문제 재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농 민 문 학 론
- 백철 <농민문학 문제>, 안함광 <농민문학 문제 재론> -

Ⅰ. 서 론

Ⅱ. 본 론
 1. 백철 <농민문학 문제>
 2. 안함광 <농민문학 문제 재론>

Ⅲ. 결 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는 여기서 일제의 산미증식계획, 신미대량매상, 농촌교화운동, 유교부흥운동 등이 갖는 내면적 허구성에 대해 조목조목 따져간다. 그는 농민문학과의 상관성 속에서의 반종교운동에 대해서도 제안하는 바, 이 부분은 철저한 유물론자로서의 자신의 입지를 보이려 하는 시도로 생각될 뿐, 그것이 실제 농민문학과 얼마나 큰 연관성이 있는가 하는 점에서는 그리 중요한 논제가 된다고 보기 어렵다. 위의 책, p. 300.
Ⅲ. 결 론
이 두 사람 사이의 논쟁이 갖는 중요한 의의는 프로문학 진영에서 농민문학론의 방향이 일단 일정한 줄기를 잡게 되었다는 점에 있다. 그 줄기의 주요 부분들은 농민문학과 프롤레타리아문학 사이의 위상 정립, 농민문학에서 프롤레타리아 헤게모니의 중요성 인식 등으로 집약된다. 이것은 다시 농민대중을 향한 문학이 아닌 빈농층이라는 일정한 농민계층을 향한 문학 등의 구체적인 문제와도 연관이 된다. 위의 책, p. 303.
1930년대 초기의 농민문학론은 결국 백철의 견해에 집약되고 있다. 농민문학은 프로문학과 동맹의 문학이며 어디까지나 빈농의 문학으로서 농민의 혁명적 이데올로기를 내용으로 하는 문학이어야 한다는 것이 바로 그 집약된 결론에 해당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적인 개념규정은 실제적인 창작방법이 수반되지 않을 때 공허한 논리로 남게 된다. 백철 자신은 그의 『신문학사조사』에서 이러한 농민문학의 규정을 작가가 인식하고 쓴 농민문학작품은 엄밀한 의미에서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비록 그 취재의 방향은 농촌의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 많지만 그것들은 모두 프롤레타리아 문학이지 농민문학이라고 말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1930년대 초기의 농민문학론은 비록 그 실제적인 작품의 성과에 크게 미치지는 못하였다 하더라도 문학과 사회현실의 관계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이다. 비록 민족진영의 농촌계몽소설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하더라도 일단 농촌과 농민이 문학의 관심사로 부각되고 농민이 주체적인 입장에서 문학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까지도 논의될 수 있었다는 점은 뜻있는 일이라고 하겠다. 신경림편, 「농민문학론」, 권영민, <1930년대 초기의 농민문학론>, 온누리, 1983, p. 125.
※ 참 고 문 헌 ※
김영민, 「한국근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1999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민음사, 2002
이주형, 「한국근대소설연구」, 창작과 비평사, 1995
신경림편, 「농민문학론」, 온누리, 1983.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0.09
  • 저작시기201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50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