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프 조직개편과 방향전환 논쟁 연구 - 조중곤 <낙동강과 제2기 작품>, 윤기정 <무산문예기의 창작적 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카프 조직개편과 방향전환 논쟁 연구 - 조중곤 <낙동강과 제2기 작품>, 윤기정 <무산문예기의 창작적 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조명희의 「낙동강」에 관한 논쟁
 2. 무산문예가의 창작적 태도 - 윤기정
 3. 목적의식적 방향전환론의 한계와 의의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예술 가운데 정치를 기계적으로 도입하고 예술과의 특수한 결부를 이해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근본적 한계를 지닌다. 또한, 목적의식적 방향전환에서 그토록 주장하던 현단계의 명확한 규명과 파악이 그들 자신에게서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과 강한 이론 편향성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한계를 보여준다. 아울러 당파성에 대한 그들의 피상적인 이해에서 드러나듯, 프로문학의 독자적 성격이나 미학적 원리 등을 지극히 막연하게만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그 한계를 드러낸다.
3. 결론
이상으로 조명희의 「낙동강」을 토대로 김기진과 조중곤의 논쟁으로 카프의 제2기 작품의 성격과 목적의식은 어떠한지에 대해서와 윤기정의 <무산문예기의 창작적 태도>를 통해서 목적의식적 방향전환기의 무산문예가의 창작적 태도와 문예의 성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카프의 목적의식적 방향전환기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방향전환 과정에서 카프 조직변화의 가장 큰 특색은, 카프를 단순한 예술가의 조직이 아니라 대중조직으로 개변했다는 점에 있다. 아울러 카프는 예술조직으로서의 특수성을 벗어서 정치조직의 면모를 보이게 되었다. 무산계급운동의 방향전환은 부분적 투쟁으로부터 대중적, 전체적 투쟁을 의미하는 것이니, 즉 조합주의 투쟁에서 정치투쟁을 의미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카프는 무산계급예술의 임무를 작품행동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전운동의 총기관이 지휘하는 투쟁을 실행하기 위하여 예술은 무기로 사용되어야만 함을 주장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카프의 예술운동은 정치투쟁을 위한 예술의 무기화를 수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방향전환론이 프로문예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우선 이 시기에 들어와 비로소 프로문학 활동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했다는 점과 종전의 문예의 차원에서 문예운동의 차원으로 전환됨으로써 명확히 운동성이 부여되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방향전환론을 통해 식민지 체제 아래에서 문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프로문학의 역할을 인식하였으며, 이것이 프로문학 운동의 질적 변화를 가져오는 하나의 계기였다는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그 중요성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 참고문헌
김영민, 「한국문학비평논쟁사」, 한길사, 1992.
김영민,「한국근대문학비평사」, 소명출판, 1999.
김재용이상경 외 2인, 『한국근대민족문학사』, 한길사, 1993.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카프문학운동 연구』, 역사비평사, 1990.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12.22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89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