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 후 학교 운영현황과 영어교육의 개선 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과 후 학교 운영현황과 영어교육의 개선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방과 후 학교의 개념
2. 방과 후 학교 교육의 목적
3. 방과 후 학교 운영현황
4. 방과 후 학교의 영어수업 및 연계방안
5. 방과 후 학교 영어교육의 개선방안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한 활동들은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영어 과목에 대한 흥미를 높여주는 데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5. 방과 후 학교 영어교육의 개선방안
방과 후 학교가 나온 지 10년이 지난 지금 방과 후 영어수업의 참여율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 앞으로 효과적인 방과 후 영어수업을 위해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와 학생들의 방과 후 영어수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저렴한 수업료와 교육환경의 부실이다. 학부모들은 사설 학원과 별개의 방과 후 영어수업으로 생각하고 단지 사설학원의 힘든 수업을 하기 전 단계, 학원가기 전 시간 채우기 시간으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학부모들의 인식이 학생들에게 그대로 영향을 미쳐 학생들 또한, 그렇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수업의 질에 영향을 미쳐 상대적으로 사설 학원보다 싼 방과후 수업료만큼의 질을 생각하게 되어 경쟁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게다가 다양한 시간 때의 수준별 수업시간과 프로그램이 없는 것, 기자재를 갖춘 어학실 부족 또한, 부정적 인식을 더 가지도록 도와주고 있었다. 이 부정적인 인식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에서 방과 후 운영에 대한 예산을 지원하여 기자재를 갖춘 어학실과 다양하고 흥미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연극, 챈트, 동화책 읽기 등)하고 수준별 반 편성을 한다면 부정적 인식이 점차 개선되어 단지 사설학원의 중간단계, 시간 채우기의 수업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내실 있는 공교육의 영어수업으로 인식이 전환될 수 있을 것이다. 단, 수준별 반편성은 한 학교에서만 운영하기에는 학생의 수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고 방과 후 선생님의 수도 많아야 하기에 인근의 가까운 학교와 영어수업을 연계하여 수준별 수업을 하고 수업시간을 다양하게 할 경우 이 문제점들은 해결될 것이다(김혜경, 2011).
둘째, 방과 후 선생님과 학교와의 관계이다. 현재 학교와 계약이 된 선생님도 있고 방과 후 업체와 계약이 된 예도 있으나 이 모두 양쪽의 두 선생님모두 학교에 와서 단지 수업만 하고 가기에 정규 영어교과과정의 수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어떤 출판사의 교재를 쓰고 있는지 잘 알지도 못하고 직책이 강사이다 보니 학교와의 괴리감이 생겨 행정적이 업무를 할 때만 학교 관계자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이 많았다. 상황이 이러니 학교사정을 모르고 있는 강사들은 꼭 필요한 행정적인 서류를 내야 함에도 너무 많은 행정적인 서류를 내고 있는 것은 아니냐는 오해도 있는 거 같다. 또한, 학교역시 방과 후 영어수업만 개설해 놓으면 운영이 될 거라는 안일한 인식만을 가진 채 방과 후 학교를 운영하고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으로 학교에서 방과 후 관련 수업에 대한 회의를 열어 강사도 적극 참여하게 하여 학교의 방과 후 운영에 관한 시스템을 인식하게 하여 학교 또한, 방과 후 영어수업이 어떻게 진행이 되며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서로 파악하여 협력한다면 더욱 나은 방과 후 영어수업의 진행과 운영이 이루어질 것이다.
셋째, 방과 후 영어 선생님들과의 서로 활발한 정보 교류를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체계적인 커리큘럼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방과 후 강사들은 개인적으로 각각의 학교의 업무에 충실하고 서로 교류는 없었다. 그래서 어떠한 좋은 방과 후 프로그램이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또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서로 모르는 상태였다. 서로 모여서 각 학교에 대한 방과 후 영어프로그램에 관하여 정보 교류를 하다 보면 좋은 아이디어가 생기게 되고 다양한 프로그램 및 커리큘럼 기법 등 개발,좋은 교재 개발·선택 등 쉽게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넷째, 방과 후 선생님과 학생·학부모와의 잦은 의사소통 필요하다. 선행연구에서 살펴보면 방과 후 선생님은 단지 지각·결석일 때 그리고 분기별로 학부모님과 상담을 하고 있었다(소진, 2013). 사설 학원과 비교하면 너무 소극적인 상담을 하고 있었고 학부모들이 어떤 다양한 수업을 원하는지 모르고 있었다. 게다가 학생들도 방과 후 영어 수업시간이 제한적이어서 학생과의 상담 또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러한 원인은 강사들이 업체와의 계약으로 여러 이유로 불만이 많아 적극성이 모자라 임시직이라는 인식으로 적극성이 빠져있는 경우가 있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우선 업체와의 계약은 가능하면 하질 않아 강사 선생님의 처우 개선을 해 주어야 할 것이다. 가능하다면 학교와 직접 계약을 맺도록 하여 강사의 불만을 줄인다면 강사가 지녀야 할 자부심을 느끼고 적극적인 자세로 가르치는 데 힘을 쓸 것이며 자연스럽게 학생과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이 늘어나 학생, 학부모의 의견을 반영한 좋은 수업을 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소진, 2013).
[참 고 문 헌]
교육과학기술부(2008),“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 개정 고시(안)참고자료.
교육인적자원부. (2007). 방과 후 학교 운영계획.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2004). 2. 17보도자료.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사교육비경감 대책).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 (2005). 영어교육 활성화 5개년 종합 대책.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김경미(2010),“초등학교 방과 후 학교 영어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신정. (2004). 초등학교 특기적성 영어 교육에 대한 바람직한 교수방법및 운영 방안.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연(2010),「방과 후 학교 운영 현황 및 인식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혜경(2011),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에 대한 강사의 인식도 조사”,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소진(2013), “초등학교 방과후 영어교육의 인식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완기(2009),「초등영어 교육론」,서울:문진미디어.
양선영(2011),“2011년 방과 후 학교 현황 분석(‘11.6월 기준)”,교육과학기술부.
울산교육청(2012),“방과 후 학교 운영 현황”,A,B,C 초등학교.
전희정(2009), “영어 특기·적성 교육의 실태와 개선점”,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1.28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3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