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의 운영과 교원 능력개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의 운영과 교원 능력개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과 교원의 반응
1.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2.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적응 태도

Ⅱ. 교육과정의 전개와 교원의 전문성
1. 교육과정 전개의 두 논리
1) 도구적 전달행위로서의 교육과정 전개
2) 상황적 실천행위로서의 교육과정 전개
2. 교육과정 전개와 교원의 전문성
1) 공학적 이해와 교사효율성
2) 성찰적 연구자로서의 전문성
3. 교원의 능력개발을 위한 몇 가지 제언
1) 국가교육과정 개발 체제의 재검토
2) 교과서 발행 및 활용 체제의 다양화
3) 교육과정 실천 연구조직의 활성화
4) 시․도 교육청 및 학교단위 교육과정 연수 확대
5) 교사의 능력과 전문성에 대한 신뢰

본문내용

과 탐색에 나서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국가나 연구기관은 이러한 교사의 요구를 뒷받침해 주는 역할을 맡으면 될 것이다. 교과서의 발행과 활용 체제에 유연성을 부연하여 교사들이 자신의 교육과정을 만들어 갈 수 있는 여백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고 본다.
3) 교육과정 실천 연구조직의 활성화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전개는 교사의 계속적인 자기성찰과 연구를 통하여 가능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이러한 교사의 노력은 개인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보다 좋은 방법은 동료 교사들과의 상호 교류와 공동 노력을 통하여 협동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갖는 공통의 관심과 필요성에 따라 연구조직을 구성하고, 함께 정보를 교환하고 자료를 개발하는 모임체의 구성은 적극 권장되고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나 교육청 또는 국가가 이러한 교사들의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위한 자발적인 연구모임이나 써클을 후원하고 권장하는 것은 좋지만, 교사들의 자발적인 조직체를 학교나 교육청에 의해 공조직화하는 것은 피해야 할 것이다. 다소간의 예산 지원을 빌미로 이를 공조직화한다면, 교사들의 자율적인 성장 노력은 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4) 시도 교육청 및 학교단위 교육과정 연수 확대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학교현장 교사들의 논의가 여러 방면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물론 7차 교육과정이 학교 현장의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점이 있고, 여건의 미비로 실천이 어려운 사항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부정적인 인식에는 교육과정 자체의 문제 이외에 근자에 취해진 몇 가지 교육정책에 대한 불신과 사회적 상황에 따른 영향도 부분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교육청 단위의 교원연수를 통하여 이해와 협조를 구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자체에 대한 안내와 연수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 자체의 본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사항에 대해서는 정부도 이를 수용하고 즉시 보완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제7차 교육과정의 구현과 정착에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
5) 교사의 능력과 전문성에 대한 신뢰
교사의 전문적 능력 신장은 교사 자신의 자질과 개인적 노력이 큰 요인이 되지만, 이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교사들이 그들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는 제도적 또는 구조적인 체제라고 할 수 있다. 아무리 전문성이 있는 교사라도 그것을 발휘하고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지 않거나, 전문성을 무시하는 업무들이 강요된다면 교사의 전문성은 자리를 잡을 수 없는 것이다.
교직이 전문직으로 대우받기 위해서는 교사 스스로의 전문적 자긍심과 자존적인 노력 그리고 전문가로 인정해주는 사회적인 인식과 신뢰가 수반되어야 한다. 심지어 학교의 교장이나 교감 또는 교육청의 장학진이 교사의 전문성을 인정하고 신뢰해 주지 않는다면, 사회의 어느 누가 교원의 전문성을 인정해 주겠는가? 교사를 믿는 행정가는 지도자가 되지만, 교사의 능력을 불신하는 행정가는 감독자가 될 뿐이다
참 고 문 헌
곽병선(1996). 교육과정 2000 연구개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구조안. 한국교육개발원.
김복영 외(역)(2001). 교육과정 담론의 새 지평. 서울: 원미사.
김재복 외(1999). 학교현장의 교육과정 혁신안 적용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김상원(1981). 교육과정과 교수학습론. 서울: 학문사.
박영배 외(1999). 교과교육을 통한 제7차 교육과정의 실천방안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박영숙 외(2000). 제7차 교육과정 운영대비 정규교원과 계약제 교원의 합리적 배치 및 직무기준 설정방안. 한국교육개발원.
이화진 외(1999). 제7차 교육과정 실행대비 점검평가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최희선, 허숙(1990). 교사교육의 현실과 전망. 서울: 배영사.
한명희(1997). 중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 교사양성 교육과정의 전문성 확보. 1997년도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교육학회.
홍후조 외(1999).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교육과정 실행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허 숙(1992).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수활동의 논리. 인천교대 논문집. 인천교육대학교.
허 숙(1995). 교육과정과 목적. 서울: 교육과학사.
허 숙(2001). 초등교육의 문제와 진단. 초등교육의 문제와 진단.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한국초등교육학회.
Aoki, T. T.(1984). Competence in teaching as instrumental and practical action: A critical analysis. Short, E. C.(eds.). Competence : Inquiries into its meaning and acquisition in educational settings. Lanham: University Press of America.
Henderson, J.G.(1996). Reflective teaching : The study of your constructivist practices. Englewood Cliffs, N.J.: Merrill.
Pinar, W.F.(1975). Curriculum theorizing: The reconceptualist. Berkeley: McCutchan.
Pinar, W. F. et.al.(1995). Understanding curriculum. New York: Peter Lang.
Schon, D. A.(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San Francisco: Jossey-Bass Pub.
Smyth, J. & Shacklock, G. (1998). Re-making teaching : Ideology, policy and practice. London: Routledge.
Stenhouse, L.(1975). An introduction to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London: Heinemann.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10.16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6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