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의 기능과 개발과정 및 검정에 관하여 알아보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과서의 기능과 개발과정 및 검정에 관하여 알아보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수·학습과정의 선도 기능
2. 세계 인식의 안내 기능
3, 교과서 개발 과정
1) 내용 선정
2) 조직 내용
4.교과서 검정 원칙과 검정과정
5.교과용 도서 검정 기준
1) 공통 기준
2) 교과서 공통기준. 지도서 공통기준
3) 교과기준
6.검정위원, 연구 위원 위촉
7.검정 교과서의 특징



Ⅲ. 맺는말

본문내용

그러하며, 11,4%(140명)은 크게 그러하다고 하여 전체 응답자의 63,2%(827명)가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물론 32.7%의 (402명)의 응답자가 그저 그렇다고 하여 개선된 것을 별로 인정하지 않고 있지만, 부정적인 응답이 4.1%(51명)에 지나지 않은 것을 보면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지식 요약형이 아닌 학생 활동 중심교과서’라는 항목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교과서의 활용형에 대한 평가도 61.6%(757명)로 긍정적인 평가를 한 반면. 5,2%(64명)만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그리고 창의성과 사고력을 기르는 교과서인가에 대해서도 52.8%(690명)는 긍정적으로 답변하였고, 5.2%(66명)만 부정적으로 보았다. 그러나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와 수준별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인가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평가보다 그저 그렇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리고 고등학교에서도 반응은 유사 하였다. ‘ 재미있고 편리한 교과서인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저 그렇다‘는 평가를 한 응답률이 높았다. 물론 학습량 감축과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한 교과서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한 반응이 각각 37.6%(335명)와 38.1%(339명)이나 된다는 점은 인정해야 한다.
교고서의 개편에도 불구하고 과목별로 전통적인 교육내용 요소를 줄이기 어렵다는 교과 교육의 현실 상황이나, 수준별 교육을 하기 어렵다는 교사의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특히 단계형, 심화·보충형은 모두 정교한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한데, 아직 그러한 방법이 충분하게 보급되지 않아서 교사들이 수준별 지도를 하기 어렵다고 인식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창의력과 사고력을 기르는 교과서 인가라는 문항에 대해 ‘ 그저 그렇다’ 다소 그렇다‘는 반응이 같은 정도로 나타난 것도, 학교 황이 여전히 암기 위주의 교수·학습법을 벗어나기 힘들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긍정적인 평가는 검정이라는 경쟁 체계에 따른 민간 저작자의 창의성 발휘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검정 교과서에도 문제점은 많이 있다. ’교과서 전반에 대해 언급하고 싶은 점이 있으시면 적어 주십시요‘라는 서술형 질문에 대한 응답자가 주로 언급한 내용은 수업 현장에 맞는 교수·학습 방법과 내용을 선정했으면 좋겠다는 것인데. 그 구체적인 양상을 보면 ’내용의 현실성 부족, 탐구활동과 자료의 중복, 학습 내용에 맞지 않는 탐구 자료, 내용 구성의 치밀성 부족, 저자의 전공분야에 따른 편향성, 기본 개념에 대한 설명 부족 등이다.
Ⅲ. 맺는말
좋은 교과에 질적 상한선은 없지만, 최소한의 기본 조건은 필요하다. 내용의 정확성과 어법에 맞는 문장 기술, 그리고 체계를 갖춘 논리성 등이 그러하다. 아무리 외형 체계를 개선하여도 이 조건에 어긋나면 우수한 교과서라고 할 수 없다. 그러므로 교과서 질 관리는 우선 최소한의 조건인 오류 방지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의 충족 여부는 ‘저작자의 치밀한 집필과 검토-엄정한 검정 심의-사용자의 비평-발행사의 사후 관리’ 등 여러 과정을 통해 검증 할 수 있다. 집필사의 문제는 저작자의 도덕적 책무로 귀결되고, 검정 심의는 진행 과정과 심의위원의 학문적 토대에 따르며, 사용자의 비평은 교사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련된다. 그리고 사후 관리는 발행사의 이윤동기에 처한 경영 상황과 직접 연계되는 일이다. 이 문제는 모두 검정 제도라는 체제적 조정을 통해 해결해야 할 일 이다.
시장 경제 체제의 민간 부문은 이윤 동기에 따라 자발적으로 움직인다. 교과서 산업에 투자하여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고 판단하는 발행사는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투자를 할 것이다. 수준 높은 교과서 개발에는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에, 정부는 민간이 장래를 예측할 수 있도록 정책을 펴야 한다. 그리고 검정 심의과정에 참여하는 위원에게도 성취 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보상 체계를 마련해 주어야 한다.
교과서는 저작자와 발행사만의 소유물이 아니다. 장차 우리 국민의 지적 수준과 사고 방향을 결정 할 수 있는 공공재 이기 때문에 정부가 관여하여 질적 수준을 가리고자 검정 심의 를 한다. 검정 기능의 수준은 참여 주체의 몰입도에 따라 달라 질수 있다. 정부는 발행자와 저작자의 이윤 동기를 자극하여 질 높은 도서를 개발할 수 있도록 예측 가능한 장기 정책을 세우고, 검정 심의 과정에 사회의 전문적 자원을 동원하여 검정 심의 기능의 수준을 향상 시키는 방향을 나아가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10.11
  • 저작시기2015.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41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