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교사들이 진술하는 학교 컴퓨터교육의 실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현재 학교교육에서 인터넷을 비롯한 컴퓨터 활용수업의 시행 상황

2 보다 효과적인 컴퓨터 활용수업의 진행을 위한 교사의 역할

3 교사 스스로가 진단하는 컴퓨터 활용 수업의 교육적 가능성

4 현재 학교 현장에서 컴퓨터 활용 수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

5 교단 선진화의 일환으로 설치된 하드웨어 활용의 정도

6 제언

본문내용

환을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4. 하드웨어 보급에 치중한 학교 컴퓨터교육 기반의 구축을 지양하고 하드웨어의 지속적 관리, 소프트웨어의 개발·보급, 교사의 수업자료 개발 및 자기개발 지원 등 관련 과제에 대한 종합적, 균형적 투자가 필요하다. 교육부 자료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그 동안 학교 컴퓨터교육 기반의 구축을 위해 정부가 투자한 예산은 대부분 하드웨어 보급에 주력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물론 가장 중요한 측면이다. 컴퓨터 없이는 컴퓨터 관련 교육을 할 수 없다. 그런데 문제는 컴퓨터 기종의 고급화가 매우 빠른 기간 내에 진행되므로 계속적인 업그레이드와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보급은 하되 그 관리를 위한 지원대책이 함께 병행되지 않는다면 고장이 두려워 컴퓨터 사용을 자제하는 상황이 초래될 수 있고, 컴퓨터는 있으되 사용할 적절한 소프트웨어가 없다면 컴퓨터는 방치되는 한낱 고철에 불과하다. 더욱이 저작권과 관련하여 불법 소프트웨어의 복제를 단속하는 시점에서 단위 학교가 합법적으로 정당하게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소프트웨어가 확보되지 못한다면 컴퓨터는 자리만 차지하는 무의미한 기계일 수밖에 없다. 설령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찾았다 하더라도 특정 교사가 실시하고자 하는 자신의 수업 목적에 완전히 부합될 수 없다. 따라서 교사가 자신의 수업을 실정에 맞게 설계할 수 있도록 교과별 다양한 원 자료(raw data)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요청된다.
참고 문헌 :1999년, 김미량, 현장교사의 입장에서 본 학교 컴퓨터교육 기반의 문제점 분석, 한국 컴퓨터 교육 학회 논문지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2.07.30
  • 저작시기2002.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9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