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금 동결의 의의
2. 임금동결의 적법절차
3. 임금동결 방식
2. 임금동결의 적법절차
3. 임금동결 방식
본문내용
임금지급과 관련하여 일응 관행이 성립된 것으로 보아야할 것임. 이 경우 근로자 집단적 의사결정방식에 의한 적법절차를 거치지 아니하고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정기승급을 동결하였다면 각 근로자별 정기승급이 이루어지는 달의 임금 정기지급일에 정기승급으로 인하여 가산되는 임금이 전액 지급되지 아니한 것으로 보고 있다.(임금 68200-649, 2000.12.5)
키워드
추천자료
연소근로자의 근로에 대한 법적인 문제
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작업장 폐쇄)의 문제 [A+대박자료]
노사관계론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습니다.
쟁의행위에 관해서
쟁의행위 제한, 금지 규정 법적 검토
노사가 단체협약 규정을 다르게 해석하는 경우의 법적 문제 검토
공공기관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체결한 단체협약의 법적 효력 검토
기업 인사적체 해소 방안으로써 직급정년제 도입의 법적 제반 문제점 검토
근로기준법상 휴게시간에 대한 법적 규제
근로계약의 효력 전반에 관한 법적 검토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 및 대상과 관련한 법적 검토
[A+받은레포트]쌍용자동차 노조 파업에 관하여... 경희대 석사 레포트
연차유급휴가제도 전반의 법적 검토
배치전환 명령의 제한 관련 법적 검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