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Ⅱ. 실시요건
Ⅲ. 효과와 적용제외
Ⅳ.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연장근로
Ⅴ. 관련문제
Ⅱ. 실시요건
Ⅲ. 효과와 적용제외
Ⅳ.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연장근로
Ⅴ. 관련문제
본문내용
이 다른 경우
i) 정산기간 내의 실제근로시간이 서면합의로 정해진 총근로시간보다 많은 경우에는 당해 정산기간내의 초과근로시간에 대해 정해진 임금에 추가하여 지급해야 하고, ii) 적은 경우에는 미달시간분에 해당하는 임금을 감액하여 지급할 수 있을 것이다.
2.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야간근로
1) 선택적 근로시간대에 야간근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근로자가 야간근로시간에 자유롭게 근무해도 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야간시간대에 근로하면 야간근로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
2) 선택적 근로시간대에 야간근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사전요청이나 근로자의 사전통지에 따른 사용자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는 가산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지만, 그렇지 않고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한 경우에는 지급의무가 없다.
i) 정산기간 내의 실제근로시간이 서면합의로 정해진 총근로시간보다 많은 경우에는 당해 정산기간내의 초과근로시간에 대해 정해진 임금에 추가하여 지급해야 하고, ii) 적은 경우에는 미달시간분에 해당하는 임금을 감액하여 지급할 수 있을 것이다.
2. 선택적 근로시간제와 야간근로
1) 선택적 근로시간대에 야간근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근로자가 야간근로시간에 자유롭게 근무해도 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야간시간대에 근로하면 야간근로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
2) 선택적 근로시간대에 야간근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사전요청이나 근로자의 사전통지에 따른 사용자의 승인이 있는 경우에는 가산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지만, 그렇지 않고 근로자가 자발적으로 한 경우에는 지급의무가 없다.
추천자료
97년 노동동관계법 개정내용
근기법/ 산재법상 보상과 민사상 손해배상제도
연봉제에 대하여
종업원관계 가족과 직장간의 갈등해결 방안
신자유주의적인 입장에서 바라본 노동시장 변화 추이
[주5일근무제][주5일제근무]주5일근무제(주5일제근무)의 도입현황, 주5일근무제(주5일제근무)...
[주5일근무제][주5일제근무][근로시간단축][노동시간단축]주5일근무제의 의의, 주5일근무제의...
신자유주의적인입장에서바라본 노동시장변화추이
비자발적 이직의 관리
인사관리에 대해서
[인적자원관리]단체교섭사례
[기업관리][기업][공기업 관리][국내기업 관리][대기업 관리][중소기업 관리][벤처기업 관리]...
한국노동시장(勞動市場) 유연화가 평생교육에 끼친 영향에 대해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