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상황학습이론
1. 상황학습이론의 개념 및 배경
2. 상황학습의 설계 원리
3. 상황학습의 한계점?
II. 정황학습이론
1. 정황학습의 개념
2. 정황학습의 특징 (변영계 외 2인 2007:182)
3. 정황학습의 설계 원리 (변영계 외 2인 2007:183)
4. 앵커드 수업의 진행 단계
5. 앵커드 수업 연구 및 개발 사례
6. 앵커드 수업과 교사의 역할
7. 앵커드 수업 이론의 의의 및 한계점
1. 상황학습이론의 개념 및 배경
2. 상황학습의 설계 원리
3. 상황학습의 한계점?
II. 정황학습이론
1. 정황학습의 개념
2. 정황학습의 특징 (변영계 외 2인 2007:182)
3. 정황학습의 설계 원리 (변영계 외 2인 2007:183)
4. 앵커드 수업의 진행 단계
5. 앵커드 수업 연구 및 개발 사례
6. 앵커드 수업과 교사의 역할
7. 앵커드 수업 이론의 의의 및 한계점
본문내용
다. 학생 중심 수업은 교사가 정보공급자에서 학습의 동반자로 그 역할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5. 앵커드 수업 연구 및 개발 사례
1) The young Sherlock project
"어린 셜록홈스"(Young Sherlock Holmes)라는 영화를 수업에 활용한 Video-disk 프로그램으로, 여기에서 학생들은 빅토리아 시대의 생활을 이해하기 위해서 영화에 나오는 내용들의 인과관계, 인물들의 동기, 배경의 실제성 등을 점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영화는 역사적인 이야기 특히 역사적인 시대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상황 배경으로 주어진다.
2) 재스퍼 시리즈 (Jasper Woodbury Problem Solving Series)
3) Mimi의 항해 (The Voyage of the Mimi)
‘Mimi의 항해 시리즈’는 범선을 타고 대양을 항해하는 선원으로서 학생들은 참여하여 과학과 수학 기술을 익히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리즈는 비디오, 소프트웨어, 프린트물, 학습계획서, 수행해야 할 활동 리스트, 협력 프로젝트 등을 포함하고 있다.
Mimi의 항해 시리즈 1은 고래에 대한 탐구를 약 15분 정도 걸리는 26개의 에피소드로 다루고 있다. 고래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 주목적이지만, 학생들에게 과학과 수학의 기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함이다. 첫 번째 항해를 성공적으로 마치기 위해서는 학생들은 항해의 원칙과 지도 읽는 법 등과 같은 항해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여야 한다.
Mimi의 두 번째 항해는 마야 문명을 연구할 목적으로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를 탐험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중학년(4∼8학년)을 위한 수학과 과학 개념들을 향상시키기 하여 다양한 이야기와 기록물들로 구성된 탐험거리들이 15분짜리 24개의 Video-disk 속에 들어 있다.
6. 앵커드 수업과 교사의 역할
앵커드 수업 환경에서는 교사는 기존의 지식전달자의 역할이 아닌 학생들이 새로운 생각이나 개념을 접하게 되었을 때, 문제를 찾고 해결하며, 이해하는 과정에서 변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코치(coach)로 그리고 동료학습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7. 앵커드 수업 이론의 의의 및 한계점
앵커드 수업이론은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토대로 주도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점에서 구성주의의 의미가 적극 반영되고 실천된 것이라는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실제 상황을 다룸에 있어서 실제성이 갖고 있는 그대로의 복잡하고 통제 불가능한 돌발 상황 등에 대한 실질적인 고려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앵커드 수업 이론의 과제들은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된 수업이라는 점에서 앵커드 수업이 갖는 실제성의 한계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나일주, 2007:212, 재인용)
<참고문헌>
변영계·김영환·손미(2007),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나일주(2007), 교육공학관련이론, 교육과학사
최정임(1997), 상황학습이론에 따른 학습내용구성, 교사역할, 평가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학연구
5. 앵커드 수업 연구 및 개발 사례
1) The young Sherlock project
"어린 셜록홈스"(Young Sherlock Holmes)라는 영화를 수업에 활용한 Video-disk 프로그램으로, 여기에서 학생들은 빅토리아 시대의 생활을 이해하기 위해서 영화에 나오는 내용들의 인과관계, 인물들의 동기, 배경의 실제성 등을 점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영화는 역사적인 이야기 특히 역사적인 시대를 이해하기 위한 하나의 상황 배경으로 주어진다.
2) 재스퍼 시리즈 (Jasper Woodbury Problem Solving Series)
3) Mimi의 항해 (The Voyage of the Mimi)
‘Mimi의 항해 시리즈’는 범선을 타고 대양을 항해하는 선원으로서 학생들은 참여하여 과학과 수학 기술을 익히는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시리즈는 비디오, 소프트웨어, 프린트물, 학습계획서, 수행해야 할 활동 리스트, 협력 프로젝트 등을 포함하고 있다.
Mimi의 항해 시리즈 1은 고래에 대한 탐구를 약 15분 정도 걸리는 26개의 에피소드로 다루고 있다. 고래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이 주목적이지만, 학생들에게 과학과 수학의 기능을 향상시켜 주기 위함이다. 첫 번째 항해를 성공적으로 마치기 위해서는 학생들은 항해의 원칙과 지도 읽는 법 등과 같은 항해 기술을 이해하고 활용하여야 한다.
Mimi의 두 번째 항해는 마야 문명을 연구할 목적으로 멕시코의 유카탄 반도를 탐험하는 것이다. 여기에는 중학년(4∼8학년)을 위한 수학과 과학 개념들을 향상시키기 하여 다양한 이야기와 기록물들로 구성된 탐험거리들이 15분짜리 24개의 Video-disk 속에 들어 있다.
6. 앵커드 수업과 교사의 역할
앵커드 수업 환경에서는 교사는 기존의 지식전달자의 역할이 아닌 학생들이 새로운 생각이나 개념을 접하게 되었을 때, 문제를 찾고 해결하며, 이해하는 과정에서 변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코치(coach)로 그리고 동료학습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7. 앵커드 수업 이론의 의의 및 한계점
앵커드 수업이론은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토대로 주도적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는 점에서 구성주의의 의미가 적극 반영되고 실천된 것이라는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실제 상황을 다룸에 있어서 실제성이 갖고 있는 그대로의 복잡하고 통제 불가능한 돌발 상황 등에 대한 실질적인 고려가 반영되지 않았다는 점을 한계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앵커드 수업 이론의 과제들은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계획된 수업이라는 점에서 앵커드 수업이 갖는 실제성의 한계를 반영한다고 할 수 있다. (나일주, 2007:212, 재인용)
<참고문헌>
변영계·김영환·손미(2007),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학지사
나일주(2007), 교육공학관련이론, 교육과학사
최정임(1997), 상황학습이론에 따른 학습내용구성, 교사역할, 평가원리에 대한 고찰, 교육학연구
추천자료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의 이론과 적용
교수학습이론의관점(행동주의,인지주의,구성주의)
학습부진아의 일반적 특성과 문제점 및 효율적 지도방안
문제중심학습
문제중심학습에 대해서
상황학습 이론에 대한 연구
토의식수업에 대한 모든것
학습동기 유발 전략
체육수업 모형 전체 요약본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원칙,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지향점, 국어과수업(국어교육)과 수준...
[아동수학지도] 여러가지 학습이론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에 적용할 수 있는 영유아 수학 활...
[중2 국어과 교수학습과정안] [읽기란 무엇인가 학습지도안]
교수학습이론 정리
상황학습이론에 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