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금의 의의, 법 규정
2. 임금지급의 원칙, 직접불의 원칙, 임금채권의 양도
3. 임금지급의 원칙, 전액불의 원칙, 상계
4. 임금지급의 원칙, 전액불의 원칙, 노조동의에 의한 임금반납
5. 임금지급의 원칙, 전액불의 원칙, 가불 등
6. 법 제43조 위반의 효과
2. 임금지급의 원칙, 직접불의 원칙, 임금채권의 양도
3. 임금지급의 원칙, 전액불의 원칙, 상계
4. 임금지급의 원칙, 전액불의 원칙, 노조동의에 의한 임금반납
5. 임금지급의 원칙, 전액불의 원칙, 가불 등
6. 법 제43조 위반의 효과
본문내용
행사의 시기가 초과지급된 시기와 임금의 정산, 조정의 실질을 잃지 않을 만큼 합리적으로 밀접하고 금액과 방법 미리 예고 되는 등 근로자의 경제생활의 안정을 해할 염려가 없는 경우나,
근로자가 그 재직 중 지급되지 아니한 임금이나 퇴직금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초과지급된 임금의 반환청구권을 자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하는 것은 무방하다.”
6. 법 제43조 위반의 효과
“근기법 제109조 및 제43조 제2항에 의한 임금의 일정기일 지급의 원칙은 사용자로 하여금 매월 일정하게 정해진 기일에 근로의 대가를 근로자에게 어김없이 지급하게 강제함으로써 근로자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그 입법취지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임금의 지급기일에 임금을 지급하지 아니함으로써 위 각 법 규정을 위반한 죄가 성립한다고 할 것이다.”
근로자가 그 재직 중 지급되지 아니한 임금이나 퇴직금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초과지급된 임금의 반환청구권을 자동채권으로 하여 상계하는 것은 무방하다.”
6. 법 제43조 위반의 효과
“근기법 제109조 및 제43조 제2항에 의한 임금의 일정기일 지급의 원칙은 사용자로 하여금 매월 일정하게 정해진 기일에 근로의 대가를 근로자에게 어김없이 지급하게 강제함으로써 근로자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그 입법취지가 있으므로, 사용자가 임금의 지급기일에 임금을 지급하지 아니함으로써 위 각 법 규정을 위반한 죄가 성립한다고 할 것이다.”
추천자료
근로기준법-퇴직금
산재보험과 근로기준법의 비교에 따른 근로기준법의 확대적용의 필요성
[노동법] 근로기준법 근로시간과 휴식
07년 개정 근로기준법에 따른 단시간근로자에 대한 쟁점
근로기준법 정리(인사노무 업그레이드)
논술 시험 대비 총정리 - 근로기준법 총칙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에 대하여
근로기준법의 적용범위 및 대상과 관련한 법적 검토
근로기준법 21조, (전차금상계의금지 규정 검토)
근로기준법의 법적 성질 및 적용대상에 대한 판례 경향 검토
근로기준법, 근로시간, 근로계약서.ppt
근로기준법의 내용분석과 대상별 근로기준정책 설명 (근로기준법 기본내용, 대상별 근로기준...
근로보호법]1. 취업규칙의 변경이 유효하기 위하여 ‘근로기준법’이 규정한 절차 및 요건에 관...
채용내정자에 대한 근로기준법 적용 문제 (노동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