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에어로빅(Aerobic)의 정의 및 역사 p 2
2. 에어로빅의 목적과 운동효과 p 4
3. 에어로빅스(Aerobics)란 무엇인가 p 5
① 에어로빅스의 유래
② 에어로빅스의 운동의 특징
4. 에어로빅스의 종류에 대하여 p 7
① 스텝 에어로빅스 ( step Aerobics )
② 태권 에어로빅스 ( Taekwon Aerobics)
③ 펑키 에어로빅스 ( Funky Aerobics )
④ 재즈 에어로빅스 ( Jazz Aerobics )
5. 언에어로빅(Unaerobic)이란 p 10
6. 언에어로빅(무산소운동)의 종류 p 11
2. 에어로빅의 목적과 운동효과 p 4
3. 에어로빅스(Aerobics)란 무엇인가 p 5
① 에어로빅스의 유래
② 에어로빅스의 운동의 특징
4. 에어로빅스의 종류에 대하여 p 7
① 스텝 에어로빅스 ( step Aerobics )
② 태권 에어로빅스 ( Taekwon Aerobics)
③ 펑키 에어로빅스 ( Funky Aerobics )
④ 재즈 에어로빅스 ( Jazz Aerobics )
5. 언에어로빅(Unaerobic)이란 p 10
6. 언에어로빅(무산소운동)의 종류 p 11
본문내용
이를 해소할 수 있는데 이에 태권로빅이 유산소성 및 칼로리 소모에 크나큰 장점
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8 -
③ 펑키 에어로빅스 I Funky Aerobics I
펑키 에어로빅스의 정의
Funk는 분절된 리듬을 사용하는 동작을 리드미컬하게 복합시킨 것이다.
리듬은 두 개의 단위로 구성되어 있는데, 강조되는 박자와 강조되지 않는
박자 사이에서 이를 교대로 사용하는 것이고 이는 아프리카 댄스에 그 기
원을 두고 있다.
펑키 에어로빅스의 효과 및 특성
- Swing"(흔들흔들하는)이라는 추진 동작을 사용한다.
- 대부분의 동작을 Flat-Foot"(자연스런 발동작)으로 사용하며 두 무릎과 힙을 구부리며 앞으로 웅크린다.
- 개인적인 감정 표현과 즉흥적인 연기를 연출한다.
- 골반 동작을 많이 사용한다. - 상호 작용을 북돋우기 위해서 가끔 부르고 대답하는 식의 안무를 사용한다. - 동작은 천
천히 그리고 조심스럽게 사용해서 회원들이 그들의 올라가 있는 심장박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댄스 동작을 사
용한다 (모든 댄스 동작이 적합한 것이 아니므로 변형을 필요로 한다) - 음악 템포: 100에서 124bpm사이.
④ 재즈 에어로빅스 I Jazz Aerobics I
재즈 에어로빅스의 정의
재즈음악과 움직임, 현대무용과 발레, 현대 리듬체조를 혼합한 에어로빅스로 에어로빅스와 JAZZ가 접목된 운동을 지
칭한다. 재즈 에어로빅스를 또한 재저사이즈(Jazzercise)라고 불리기도 한다.
Jazzercise는 1930년대에 Fred Astaire와 Ginger Rogers가 처음으로 시도하여 만들었다. 이들의 운동 목적은 심장
기능을 증진시키고, 신체를 강인하게 하기 위한 댄스 스텝과 현대 음악을 사용하여 현 시대에 맞는 즐거운 운동으
로 발전시켰다.
재즈 에어로빅스의 효과 및 특성
이 운동은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다. 심장과 폐의 근육을 튼튼히 하고 신진대사를 왕성히 할 뿐만 아니라
음악 속에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이 운동의 특징은 신체의 각 부분을 부드럽게 하고 머리로부터 시작해서 발끝
까지 모든 부분의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심폐 순환기 계통을 강하게 해주는 동작에선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
서 실시하도록 해야한다. 허벅지의 군살을 빼고 다리의 유연성을 높이는 동작도 이 운동에 있어서 핵심이 된다. 또한
다음의 장점이 있다.
- 체중 조절을 해준다. - 전신지구력을 길러 스테미너가 넘치게 한다.
- 유연성, 조정력 및 근력을 기른다. - 균형 있는 몸매를 만든다.
- 자세를 바르게 개선시킨다. - 정신적인 긴장을 풀어준다.
즉, JAZZ Aerobics는 신체 모든 요소에 영향을 주어 강한 체력과 함께 즐거움을 갖도록 하여 건강한 생활을 하도록
해준다.
- 9 -
언에어로빅(Unerobic)이란
언에어로빅(anaerobic) 이는 일명 무산소운동이라고 하며,운동 중에 산소의 공급을 받지 않고 체내에 에너지원을 이용
하여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이다. 언에어로빅은 에어로빅에 비해 에너지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무산소운동은 유산소 운
동과 반대로 근육에 저장되어있는 글리코겐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이러한체내에 저장되어 있는 같은 양의 글리코
겐을 이용하는데도 에어로빅에 비해 1/20 정도밖에 에너지를 발생하지 못한다.
또한 이 무산소 상태에서는 에너지생성과 더불어 부산물인 유산이 축적되어 근육피로를 가중시키게 되며, 이 운동은
몇십초도 지속할 수 없게 되어 체력의 한계를 느끼게 된다. 그런데 에어로빅에서미숙련자가 숙련자에 맞는 운동을 하게
되면 초보자에게는 무리한 운동이 될 뿐 아니라 언에어로빅이 될 우려가 높은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무산소운동인 언에어로빅은 필요가 없는 운동으로 인식되기 쉬우나그렇지는 않다. 물론 에너지 이용면
이나 그 효율면에서는 에어로빅 운동보다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나 단시간에 최대 운동이 요구되는 운동에서는 이 무산
소 운동이 필요한 것이다.
100. 200m 단거리 달리기는 10-20초 정도만이 소요되므로 그 짧은 시간에 호흡한 산소가 근육에까지 도달하여 에너
지원을 태워 에너지로 이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거의 완전한 무산소상태의 운동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100m를 전
력으로 뛸 때에 호흡을 하는 것이 빨리 뛸 수 있다거나, 호흡을 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두고 토론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호흡을 하든 안하든 에너지 이용에는 무관한 것이다. 또한 심폐지구력을 강화하고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
산소운동과 유산소운동을 번갈아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다시 말하면 100m를 무산소상태로 전력질주한 후 다시
200m 정도를 유산소상태로 가볍게 뛰게 되면 운동능력이 크게 강화된다고 한다. 이를 두고 인터벌 트레이닝(Interval
Training)이라고 하며, 운동선수들이 주로 하는 훈련방법이다.
이와 같이 강약을 두고 운동을 하면 훈련 효과가 극대화한다. 이와 같이 무산소운동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사실이
나 운동을 시작하는 처음 단계에서는 산소의 공급을 충분히 받는 에어로빅 운동을하고 차차 에어로빅 능력이 발달되면
곁들여 언에어로빅 운동인 무산소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10 -
무산소운동에 속하는 것에는 역도나 단거리(100m)달리기처럼 단시간에 큰 힘을 내는 운동이다. 무산소운동을 통
해서는 근육의 크기와 힘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무산소운동인 웨이트트레이닝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
다.
무산소운동은 짧은 시간에 큰 부하를 가지고 운동하며 신체가 공급될수있는 산소의 양보다 더많은 양을 요구하
게된다. 무산소운동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동안 젖산이 근육에 쌓이게 하므로 피로감을 쉽게 느낀다.
무산소운동의 종류에는 힘이 들고 숨이 차서 오래 지속할 수 없는 형태의 운동이다. 다음이 그 예다.
☆ 단거리달리기 ☆ 역도 ☆ 고중량의 웨이트트레이닝
☆ 테니스 ☆ 팔굽혀펴기 ☆ 배구, 농구
☆ 던지기경기 ☆ 서브, 스파이크 ☆ 역도
☆ 씨름 ☆ 잠수 ☆ 도약경기
< 역 도 > < 테 니 스 > < 팔 굽 혀 펴 기 >
- 11 -
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8 -
③ 펑키 에어로빅스 I Funky Aerobics I
펑키 에어로빅스의 정의
Funk는 분절된 리듬을 사용하는 동작을 리드미컬하게 복합시킨 것이다.
리듬은 두 개의 단위로 구성되어 있는데, 강조되는 박자와 강조되지 않는
박자 사이에서 이를 교대로 사용하는 것이고 이는 아프리카 댄스에 그 기
원을 두고 있다.
펑키 에어로빅스의 효과 및 특성
- Swing"(흔들흔들하는)이라는 추진 동작을 사용한다.
- 대부분의 동작을 Flat-Foot"(자연스런 발동작)으로 사용하며 두 무릎과 힙을 구부리며 앞으로 웅크린다.
- 개인적인 감정 표현과 즉흥적인 연기를 연출한다.
- 골반 동작을 많이 사용한다. - 상호 작용을 북돋우기 위해서 가끔 부르고 대답하는 식의 안무를 사용한다. - 동작은 천
천히 그리고 조심스럽게 사용해서 회원들이 그들의 올라가 있는 심장박동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댄스 동작을 사
용한다 (모든 댄스 동작이 적합한 것이 아니므로 변형을 필요로 한다) - 음악 템포: 100에서 124bpm사이.
④ 재즈 에어로빅스 I Jazz Aerobics I
재즈 에어로빅스의 정의
재즈음악과 움직임, 현대무용과 발레, 현대 리듬체조를 혼합한 에어로빅스로 에어로빅스와 JAZZ가 접목된 운동을 지
칭한다. 재즈 에어로빅스를 또한 재저사이즈(Jazzercise)라고 불리기도 한다.
Jazzercise는 1930년대에 Fred Astaire와 Ginger Rogers가 처음으로 시도하여 만들었다. 이들의 운동 목적은 심장
기능을 증진시키고, 신체를 강인하게 하기 위한 댄스 스텝과 현대 음악을 사용하여 현 시대에 맞는 즐거운 운동으
로 발전시켰다.
재즈 에어로빅스의 효과 및 특성
이 운동은 연령에 관계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다. 심장과 폐의 근육을 튼튼히 하고 신진대사를 왕성히 할 뿐만 아니라
음악 속에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이 운동의 특징은 신체의 각 부분을 부드럽게 하고 머리로부터 시작해서 발끝
까지 모든 부분의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심폐 순환기 계통을 강하게 해주는 동작에선 균형과 조화를 이루면
서 실시하도록 해야한다. 허벅지의 군살을 빼고 다리의 유연성을 높이는 동작도 이 운동에 있어서 핵심이 된다. 또한
다음의 장점이 있다.
- 체중 조절을 해준다. - 전신지구력을 길러 스테미너가 넘치게 한다.
- 유연성, 조정력 및 근력을 기른다. - 균형 있는 몸매를 만든다.
- 자세를 바르게 개선시킨다. - 정신적인 긴장을 풀어준다.
즉, JAZZ Aerobics는 신체 모든 요소에 영향을 주어 강한 체력과 함께 즐거움을 갖도록 하여 건강한 생활을 하도록
해준다.
- 9 -
언에어로빅(Unerobic)이란
언에어로빅(anaerobic) 이는 일명 무산소운동이라고 하며,운동 중에 산소의 공급을 받지 않고 체내에 에너지원을 이용
하여 에너지를 방출하는 것이다. 언에어로빅은 에어로빅에 비해 에너지효율이 크게 떨어진다. 무산소운동은 유산소 운
동과 반대로 근육에 저장되어있는 글리코겐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이러한체내에 저장되어 있는 같은 양의 글리코
겐을 이용하는데도 에어로빅에 비해 1/20 정도밖에 에너지를 발생하지 못한다.
또한 이 무산소 상태에서는 에너지생성과 더불어 부산물인 유산이 축적되어 근육피로를 가중시키게 되며, 이 운동은
몇십초도 지속할 수 없게 되어 체력의 한계를 느끼게 된다. 그런데 에어로빅에서미숙련자가 숙련자에 맞는 운동을 하게
되면 초보자에게는 무리한 운동이 될 뿐 아니라 언에어로빅이 될 우려가 높은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무산소운동인 언에어로빅은 필요가 없는 운동으로 인식되기 쉬우나그렇지는 않다. 물론 에너지 이용면
이나 그 효율면에서는 에어로빅 운동보다 떨어지는 것은 사실이나 단시간에 최대 운동이 요구되는 운동에서는 이 무산
소 운동이 필요한 것이다.
100. 200m 단거리 달리기는 10-20초 정도만이 소요되므로 그 짧은 시간에 호흡한 산소가 근육에까지 도달하여 에너
지원을 태워 에너지로 이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거의 완전한 무산소상태의 운동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100m를 전
력으로 뛸 때에 호흡을 하는 것이 빨리 뛸 수 있다거나, 호흡을 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을 두고 토론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호흡을 하든 안하든 에너지 이용에는 무관한 것이다. 또한 심폐지구력을 강화하고 운동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
산소운동과 유산소운동을 번갈아 하는 것이 매우 효과적이다. 다시 말하면 100m를 무산소상태로 전력질주한 후 다시
200m 정도를 유산소상태로 가볍게 뛰게 되면 운동능력이 크게 강화된다고 한다. 이를 두고 인터벌 트레이닝(Interval
Training)이라고 하며, 운동선수들이 주로 하는 훈련방법이다.
이와 같이 강약을 두고 운동을 하면 훈련 효과가 극대화한다. 이와 같이 무산소운동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사실이
나 운동을 시작하는 처음 단계에서는 산소의 공급을 충분히 받는 에어로빅 운동을하고 차차 에어로빅 능력이 발달되면
곁들여 언에어로빅 운동인 무산소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10 -
무산소운동에 속하는 것에는 역도나 단거리(100m)달리기처럼 단시간에 큰 힘을 내는 운동이다. 무산소운동을 통
해서는 근육의 크기와 힘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무산소운동인 웨이트트레이닝이 중요한 이유가 바로 이것이
다.
무산소운동은 짧은 시간에 큰 부하를 가지고 운동하며 신체가 공급될수있는 산소의 양보다 더많은 양을 요구하
게된다. 무산소운동은 에너지를 소비하는 동안 젖산이 근육에 쌓이게 하므로 피로감을 쉽게 느낀다.
무산소운동의 종류에는 힘이 들고 숨이 차서 오래 지속할 수 없는 형태의 운동이다. 다음이 그 예다.
☆ 단거리달리기 ☆ 역도 ☆ 고중량의 웨이트트레이닝
☆ 테니스 ☆ 팔굽혀펴기 ☆ 배구, 농구
☆ 던지기경기 ☆ 서브, 스파이크 ☆ 역도
☆ 씨름 ☆ 잠수 ☆ 도약경기
< 역 도 > < 테 니 스 > < 팔 굽 혀 펴 기 >
-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