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징계
1.징계의 목적, 기준, 제한
2.징계의 정의
3.징계의 종류
4.징계의 사유
II. 해고
1.해고의 정의
2.해고의 기본 방침
3.해고의 제한 및 예고
4.해고의 종류
5.구제신청 및 재고용
1.징계의 목적, 기준, 제한
2.징계의 정의
3.징계의 종류
4.징계의 사유
II. 해고
1.해고의 정의
2.해고의 기본 방침
3.해고의 제한 및 예고
4.해고의 종류
5.구제신청 및 재고용
본문내용
징계와 해고
【징계의 목적】
규율을 위반한 종업원에 대한 신속한 처분
【징계의 기준】
1.위반의 정도
2.위반 빈도
【징계의 제한】
근로기준법 제 23 조 제 1 항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이하 “부당해고등”이라 한다)을 하지 못한다.”
【징계란】
징계의 제한
징계란 ▯ 조직의 구성원이 제반규칙을 위반하여 구두나 서면계고를 받는
일종의 벌칙으로 인사상 불이익조치를 통칭하는 것
1. 해고
2. 정직
3. 강등
4. 강임
5. 감봉
6. 견책
7. 경고
8. 강격
9. 권고사직
【징계의 종류】
1. 해고
해고란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하여
근로계약관계를
장래에 향하여 소멸시키는
법률행위
≪ … 중 략 … ≫
【해고란】
해고란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하여 근로계약관계를
장래에 향하여 소멸시키는 법률행위
1. 통상해고 ┐
│ 근로자의 사정에 의함
2. 징계해고 ┘
3. 정리해고 사용자의 사정에 의함
【징계의 목적】
규율을 위반한 종업원에 대한 신속한 처분
【징계의 기준】
1.위반의 정도
2.위반 빈도
【징계의 제한】
근로기준법 제 23 조 제 1 항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 휴직, 정직, 전직, 감봉, 그 밖의 징벌
(이하 “부당해고등”이라 한다)을 하지 못한다.”
【징계란】
징계의 제한
징계란 ▯ 조직의 구성원이 제반규칙을 위반하여 구두나 서면계고를 받는
일종의 벌칙으로 인사상 불이익조치를 통칭하는 것
1. 해고
2. 정직
3. 강등
4. 강임
5. 감봉
6. 견책
7. 경고
8. 강격
9. 권고사직
【징계의 종류】
1. 해고
해고란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하여
근로계약관계를
장래에 향하여 소멸시키는
법률행위
≪ … 중 략 … ≫
【해고란】
해고란 사용자의 일방적 의사표시에 의하여 근로계약관계를
장래에 향하여 소멸시키는 법률행위
1. 통상해고 ┐
│ 근로자의 사정에 의함
2. 징계해고 ┘
3. 정리해고 사용자의 사정에 의함
추천자료
구조조정에 따른 정리해고 이후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리나라와 미국의 정리해고 제도
근로자 해고의 승인에 대한 판례 연구
노조법상 해고의 효력을 다투는 근로자와 관련 판례 검토
노동법상 부당해고 구제신청의 이익관련 판례 연구
노동법상 정리해고, 폐업과 부당노동행위관련 주요 판례 검토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 요건으로써 경영상의 긴박한 필요성
근로기준법상 정리해고의 정당성 일반에 대한 연구
노동법상 해고를 부당노동행위로 인정한 경우의 주요 판례
노조법상 해고와 부당노동행위 관련 판례 연구
노동법상 해고와 신의성실의 원칙 연구
근기법상 해고시기의 제한 검토
근기법상 해고제한의 법리 검토
성과부진자에 대한 해고의 정당성
소개글